Petrology of the basalt in the Udo monogenetic volcano, Jeju Island

제주도 우도 단성화산의 현무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 Koh Jeong Seo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Yun Sung-Hy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Hyeon Gyeong Bong (Department of Earth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Jeju Jungang Girl's High School) ;
  • Lee Moon W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angwon National University) ;
  • Gil Young-Woo (Nano Material Team,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 고정선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
  •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
  • 현경봉 (부산대 지구과학교육과, 제주 중앙여자고등학교) ;
  • 이문원 (강원대 과학교육과) ;
  • 길영우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나노소재팀)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lucidate the petrograph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meori Basalt in the Udo monogenetic volcano, eastern Jeju Island. The Someori basalts consist of plagioclase, olivine, orthopyroxene, clinopyroxene and ilmenite. The Someori basalts are plotted into subalkali rock series on the TAS diagram, and belong to tholeiitic basalts in the diagram of alkali index against to Al₂O₃ contents. The basalts belong to tholeiitic rock series, having normative quartz (less than 3.9%) + hypersthene + diopside.

제주도 동부의 우도 단성화산체내에 넓게 분포하는 소머리현무암의 암석기재적 특징과 주구성 광물의 화학성분을 알아보고, 주성분 원소의 함량 조성 특성을 알아보았다. 소머리현무암은 사장석, 감람석, 사방휘석, 단사휘석과 티탄철석으로 구성된다. 주성분원소의 조성으로 볼 때, TAS성분도에서 서브-알칼리계열에. Al₂O₃에 대한 알칼리지수의 판별도에서는 쏠레이아이트현무암의 영역에 도시된다. 소머리현무암은 노옴 석영(3.9% 이하)+하이퍼신+투휘석을 가지는 쏠레이아이트 조성의 영역에 도시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준범, 권성택, 1993, 제주도 화산암의 지화학적 진화: 제주 북부 지역의 화산층서에 따른 화산암류의 암석기재 및 암석화학적 특징. 지질학회지, 29, 39-60
  2. 원종관, 1976, 제주도의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인 연구. 지질학회지, 12, 207-226
  3. 원종관, 이문원, 이동영, 박계헌, 1993, 성산도폭설명서. 제주도청
  4. 윤성효, 원종관, 이문원, 고정선, 이정숙, 1997, 제주도 동부지역의 쏠레이아이트 용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암석학회 발표요약문, 14, 42p
  5. 윤성효, 이윤종, 정원우, 1998, 제주도 하부 기반암 중의 화강암에 대한 암석학 및 저어콘 결정 형태 연구: (I) 백악기 화강암, 한국지구과학회지, 19(5), 486-494
  6. 윤성효, 이윤종, 정원우, 고정선, 1999, 제주도 하부 기반암중의 화강암에 대한 암석학 및 저어콘 결정 형태 연구: (II) 선백악기 화강암, 한국지구과학회지, 20(3), 277-281
  7. 이정숙, 1998, 제주도 동부 지역의 쏠레이아이트 용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2 p
  8. 정은주, 2002, 제주도 동부 성산일출봉 일대 현무암의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p
  9. 황상구, 1992, 우도응회구의 분출기구와 분출과정, 암석학회지, 1(2), 91-103
  10. 황상구, 1993, 우도 분화구에서의 일윤회 화산과정, 광산지질, 26(1), 55-65
  11. Anderson, A.T., 1968, Oxidation of the LaBlache lake titaniferous magnetite deposit, Quebec, J. Geol., 76, 528-547 https://doi.org/10.1086/627358
  12. Deer, W.A., Howie, R.A., and Zussman, J., 1963, Rock forming minerals. v.4., Framework Silicates, Longmans, 435p
  13. Heiken, G.H., 1971, Tuff rings: examples from the Fort Rock-Christmas Lake Valley Basin, south-central Oregon, J. Geophys. Res., 76, 5615-5626 https://doi.org/10.1029/JB076i023p05615
  14. Hyndman, D.W., 1985, Prtrology of igneous and metamorphic rocks. 2nd edition. McGrow-Hill, 786
  15. Irvine, T.N. and Baragar, W.R.A., 1971, A guide to the chemical classification of the common volcanic rocks. Can. J. Earth Sci., 8, 523-548 https://doi.org/10.1139/e71-055
  16. Kim, D. H., Hwang, J. H, and Hwang, S. K., 1986, Tuff rings and cones on Jeju Island, Korea., J. Geol. Soc. Korea., 22, 1-9 https://doi.org/10.1144/GSL.SP.1986.022.01.01
  17. Le Bas, M.J., Le Maitre, R.W., Streckeisen A. and Zanettin B., 1986, A chemical classification of volcanic rocks based on the total alkali-silica diagram. J. Petrol., 27, 745-750 https://doi.org/10.1093/petrology/27.3.745
  18. Lee, M.W., 1982,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eju volcanic Island, Korea. Sci. Rep. Tohoku Univ. Series., 3, 15, 177-256
  19. MacDonald, G.A. and Katsura, T. 1964, Chemical composition of Hawaiian Lavas. J. Petrol., 5, 82-133 https://doi.org/10.1093/petrology/5.1.82
  20. Middlemost, E.A.K., 1975, The basalt clan. Earth Sci. Rev., 11, 337-364 https://doi.org/10.1016/0012-8252(75)90039-2
  21. Middlemost, E.A.K., 1989, Iron oxidation ratios, norm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volcanic rocks. Chem. Geol., 77, 19-26 https://doi.org/10.1016/0009-2541(89)90011-9
  22. Morimoto, N. (1989), Rock-forming mineral. Tokyo Univesity Press, pp.239
  23. Sohn, Y.K., 1992, Depositional models of basaltic tuff rings and tuff cones in Cheju Island, Korea. Ph. D dissertation, SNU, 121-163
  24. Wohletz, K.H. and Sheridan, M.F., 1983, Hydrovolcanic explosion II. evolution of basaltic tuff rings and tuff cones. Am. J. Sci., 283, 385-413 https://doi.org/10.2475/ajs.283.5.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