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Volume 7 Issue 1
- /
- Pages.98-106
- /
- 2005
- /
- 1229-5671(pISSN)
- /
- 2288-1859(eISSN)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for Hydrologic Monitoring in the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 Preliminary Results
광릉 소유역의 수문 관측을 위한 전기비저항탐사 - 예비결과
- Choi In-Hyuk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Moon Sang-Ki (Global Environment Laboratory, Yonsei University) ;
- Woo Nam-Chil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Kim Joon (Global Environment Laboratory, Yonsei University,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Yonsei University)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Groundwat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water and carbon cycles in Gwangneung forest watershed located in a complex landscape. Because groundwater affects electrical resistivity (ER) of underground materials, the depth to water table and water content in subsurface can be investigated through measuring ER. Accordingly, the ER survey has been employed more frequently in recent hydrological investigations. Quantitative applications of the results of ER survey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examination of water budget closure at various spatiotemporal scales. This paper presents the preliminary results of the ER survey conducted at Gwangneung forest watershed to determine proper locations and depths of monitoring wells. Such use of ER survey, in conjunction with an integrated geophysical investig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an provide more effective examination of underground structure and optimal locations of monitoring wells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groundwater.
지하수는 복잡 경관에 위치한 광릉 산림 소유역의 물과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지하수가 지하 매질의 전기비저항(ER)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ER을 사용하여 지하수의 깊이와 지하 수분 함량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전기비저항 탐사를 통해 토양수분과 지하수 함양률, 수위변동을 측정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정량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온다면 전기비저항 탐사가 다양한 시간과 공간규모의 물 수지의 닫힘을 확인하는 데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릉 산림 소유역에서 지하수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설치될 지하수 관정의 정확한 깊이와 위치를 파악하고자 실시한 ER 현지 조사의 예비 결과를 제시하였다 앞으로의 연구는 유용성이 입증된 전기비저항 탐사와 더불어 GPR 탐사, 전자탐사, 탄성파 탐사 등의 복합 물리탐사와 GIS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더 정확한 지하구조의 정보와 지하수공 최적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