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Impact on the Inter-Regional Transportation System

고속철도 개통후 지역간 교통체계의 변화

  • Published : 2005.01.01

Abstract

To relieve congestion in the current system of intercity transportation, the Korea decided in 1990 to construct a high-speed railroad between Seoul and Busan and it is now in operation. This new mode of transportation significantly cut travel time between major cities and a trip from Seoul to the southeastern port of Busan. Since the KTX opening, average daily passenger numbers on both the Gyeongbu and Honam lines have increased about 1.3 fold over 2003 levels. As of December 2004, the KTX trains are carrying about 81,000 people a day. On KTX routes, the daily number of airline passengers dropped. Express long-distance bus traffic also dropped by 20% to 30%, while that on short-distance routes (100km or less) increased by about 20%. These figures clearly indicate that the Korean transportation network is becoming railroad-centric. However, the number of KTX passengers is fewer than anticipated possibly due to the Korean economic downturn and the operation of the KTX will leave many existing Saemaul and Mugunghwa train sets idle, which will be put into operation for areas, not covered by the KTX. When all the existing major lines have been electrified, more high-speed rail services will be phased in using direct connections to maximize operational efficiency. And also, the dual management by KTX and conventional rail will be regarded as the promotion of the benefit of the public.

2004년 4월에 개통한 고속철도는 철도수송시장 뿐만 아니라 지역간 교통수단의 변화 등 국가 전체적으로 적지않은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측수요와 실제치간의 차이를 파악하고, 실제 이용치에 대한 경부축 중심의 지역간 교통수단분담률과, 경부축 주요 구간(경부축 주요 4개 구간 대상: 서울권~천안권, 대전권, 대구권, 부산권)의 철도역간 수송수요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간 교통수단 및 철도차종별 수용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경부축의 지역간 교통수단의 분담률 변화는 고속철도 개통전과 개통후의 지역간 이용수요를 분석하여 비교하고, 다음으로 KTX 개통 이후 철도시장내에서의 열차 차종별 분담률을 비교함으로써 차종별 열차 선호도와 이용수용의 분담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지역간 여객수송에서 철도의 역할이 크게 증대되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그 영향력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지역간 여객수송에서 항공이 독점하고 있던 장거리 고급수단으로서의 이미지가 철도로 확대되고, 도로부분은 지역간 단거리 여객수송 시장에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수송효율적인 철도수소의 증대는 전체 교통시장의 관점에서도 바람직한 현상이며, 점진적으로 고급수단인 KTX와 새마을호 및 무궁화호를 통합한 일반철도 이원화체계가 운영자 입장이나 이용자 입장에서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Ben-Akiva, M. and S. Lerman (1985), Discrete choice Analysis, MIT Press, Cambridge, MA
  2. Cambridge Systematics, Inc. (1996), Forecasting freight transportation demand: A guide for planners and policy analysts. NCHRP Report 8-30.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 Daganzo, C. F. and Y. Sheffi (1977), On stochastic models of traffic assignment. Transportation Science. Vol. 11. No. 3 https://doi.org/10.1287/trsc.11.3.253
  4. Goulias, K. G. and R. Kitamura (1996), A dynamic model system for regional travel demand forecasting. Chapter 13 in T. Golob, R. Kitamura, and L. Long (eds.) Panels for transportation planning: Methods and applications. New York: Kluwer Academic Publishers
  5. Kanafani, A. (1983), Transportation demand analysis. New York: McGraw-Hill
  6. Ortuzar, J. de D. and L. G. Willumsen (1994), Modelling transport.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7. Washington, S. P., Matthew G. Karlaftis and Fred L. Mannering (2003),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CRC
  8. 김경태 . 이경철 . 이진선 . 김현웅 (2004), 고속철도 개통과 철도수송시장의 변화, 한국철도기술 통권 49호, pp.20-26
  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03), 경부고속철도 연계교통체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연구
  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03), 고속철도의 성공적 시장진입을 위한 마케팅 실행방안 수립
  11. 교통개발연구원 (1991), 경부고속전철 기술조사
  12.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1995), 경부고속철도의 기존선 활용 기본계획
  13. 교통개발연구원 (1997), 경부고속철도 기본계획보완
  14. 철도청 (1999), 21세기 국가철도망 구축 기본계획 수립
  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1998), 고속철도와 기존철도의 직결운행에 대한 타당성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