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Foodservice Quality Performance of Middle Schools in Busan

부산 일부지역 중학생 급식에 대한 성과평가

  • Iyu Eun-Soon (Food Science & Biotechnology,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yung-A (Dept. of food Nutrition, Dong-pusan College)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이경아 (동부산대학 식품영양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교 급식의 품질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학교급식을 시행하고 있는 부산지역 중학교 중에서 8개 학교를 대상으로 학교급식 서비스 품질의 급식 성과와 잔식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급식서비스의 품질 특성의 급식성과에 대한 결과, 전체 평균은 2.93점이고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음식의 영양>음식의 맛>식단의 다양한 순으로 급식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건의사항의 반영, 불만처리의 신속함, 반납장소의 청결 항목은 급식성과가 2.50점 이하로 전체 평균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급식경험 기간이 낮은 학생들이 급식경험 기간이 높은 학생들에 비해 급식서비스 품질특성 다섯 영역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0.01)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리고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결식을 하는 학생들에 비해 식단의 다양함, 배식시간의 정확성,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에서 유의적(p <0.01)으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2. 학생들의 급식되는 음식에 대한 섭취정도에 대한결과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김치(>0.01)와 국 및 찌개(<0.0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섭취율을 보였다. 또한 매일 아침식사를 하는 학생들이 아침식사횟수가 적은 학생들 보다 모든 식단에서 유의적으로 섭취율이 높게 나타났다. 3. 급식된 음식을 남기는 이유에 대한 결과에서, 밥의 경우에는 양이 너무 많아서, 국 및 찌개와 반찬의 경우에는 음식 맛이 없어서, 김치의 경우에는 자주 배식되어서가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4. 학생들이 개선되기를 바라는 항목은 위생적인 음식> 식기류의 청결> 반찬 맛 순으로 높은 개선 요구도를 나타내었다 아침식사 횟수가 주 2회 이하인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에 비해 #반찬수의 증가(<0.01)#,#음식양의 증가(<0.05)#,#급식종사자의 친절함(<0.05)#과 #공지된 식단의 정확한 배식(<0.05)#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급식개선 요구도를 나타냈다. 5. 급식경험 기간과 급식성과 점수간의 상관관계에서, 급식성과는 급식경험 기간과 음(-)의 상관관계를, 아침식사횟수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비스 품질의 특성 영역은 각 영역들에 대한 급식성과 점수가 높을수록 다른 영역의 급식성과 점수가 높은 유의적인(p <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균형된 영양공급이 다른 어느 시기보다 더 중요한 우리의 청소년들의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학교급식에 대한 식단 작성 시 학생들이 학교에서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에 대한 의견을 받고 그 의견에 대한 결과를 게시하여 학생들이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을 급식 시 제공하여 학생들이 식단선택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또한 영양사는 학급의 반대표와의 정기적인 모임을 가짐으로서 학생들의 불만사항 및 개선 요구사항에대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설문지조사가 아닌 직접적인 대화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겠다. 특히 아침식사의 결식 빈도가 높았고 이는 급식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섭취정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학생들에게 학부모와 전담교사 및 학교영양사는 학생들에게 이상적인 아침식사에 대한 교육은 물론이고 아침식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에 대해 함께 연구해야 하겠다. 정부차원에서 학교급식에 아침식사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아침을 결식하는 학생이 학교에서 수업시작 하기 전에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는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부산광역시 교육청. 2004. http://www.pen.go.kr
  2. 서울시교육청. 1992. 학교급식효과 분석(1986-1989)
  3. 이영희. 1994 서비스 질의 측정 개선을 위한 연구. 경영연구 5:209-246
  4. 하영주, 김초일, 계승희, 이행신. 1996. 중.고등학생의 성장 발육 및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 96 춘계학술대회 초록. pp.51
  5. Barsky JD, Labagh R. 1992. A strategy for customer satisfaction. The Cornell H.R.A. Quarterly 33:32-40 https://doi.org/10.1177/001088049203300524
  6. Choi YS. 2000. A study on the hige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f school food service. DM Sejong University of Korea. pp 62-64
  7. Cronin JJ, Taylor SA. 1992. Measuring Service Qi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tion. Journal of Marketing. 56:55-68
  8. Han KS, Hong SH. 2002a. A study of the operation of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and menu pre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4): 559-570
  9. Han KS, Hong SH. 2002b. The menu preference of middle school student in contracted management middle school foodservice. Korean J. Dietary Culture 17(1): 1-15
  10. Jang YA, Han SS, Lee HS, Won HS, Kim SH, Kim HY, Kim WK, Oh SY, Cho SS. 2000. A study for dietary attitude and food behavio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8(8):85-97
  11. Ko YJ, Kim YN, Mo SM. 1991. A study on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Korean J. Nutrition 24(5): 458-468
  12. Kim JH, Choi JH, Lee MJ, Mun SJ, 1998. An Ecological Study on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2): 292-307
  13. Kim SH, Lee KA, Yu CH, Song YS, Kim WK, Yoon HR, Kim JH, Lee JS, Kim MK.2003. Comparisations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school foodservice programs in middle and high school by food service management types. Korean J. Nutrition 36(2): 211-222
  14. Lee KA, Lyu ES. 2005. Comparison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of middle school by place for meal service in Busan area. J. Korean Soc.Food Sci. Nutr 34(2): 209-218 https://doi.org/10.3746/jkfn.2005.34.2.209
  15. Lee KS, Choi KS, Yoon EY, Lee SY, Kim CI, Park YS, Mo SM, Lee WM. 1988. Effectof school lunch programs on urb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ition 21(6):392-409
  16. Mo SJ, Suh JS, Lyu ES. 2005. An the evaluation of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employees for foodservice characteristics of in high schools in the Busan a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2): 250-262
  17. Mo SM, Son SM, Kim BH, Kim JH, Kim HK, Choi HM. 1993. A Study on Food Ecology According to Obesity Index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 High Socioeconomic Apartment Complex in Seoul. Korean J. Dietary Culture 8(3): 275-287
  18. Park EJ. 2004. A comparative study of SERVQUAL and SERVPERF models in measuring service quality of self-managed high school foodservice and analysis of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service value as well as on customer satisfaction.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of Korea. pp 69-75
  19. Park JS, Han JS, Heo SM, Seo BS, Park KB. 1996. Articles /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of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by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Dietary Culture 11(1): 23-35
  20. Park MH, Choi YS, Kim YJ. 2002. Comparison of dietary attitudes to the school lunch servic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same reg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1):3-13
  21. Park YS, Lee JW, Lee MS. 1997. Comparision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of school lunch program in middle school by foodservice management.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2): 218-231
  22. Schuster K. 1996. How to find out what your customers really want. Food Management 74:38-45
  23. Sim KH. 1993. Utilization State of Fast-foods Among Korean Youth in Big Cities. Korean J. Nutrition 26(6): 804-811
  24. Woo MK, Hyun TS, Lee SY, Mo SM. 1986. A study of ecology in food focused on breakfast of students and adults with professorial occupations in the urban areas.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4(3): 103-118
  25. Yang IS. 1997. Enhancing the school foodservice management through national school breakfast program.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3(2): 223-238
  26. Yoo YJ, Hong WS, Choi YS. 2000. The assessment of high school students' foodservice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ype of foodservice managemen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6(1): 11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