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Modelling Readability Formulas: Focus on Primary and Secondary Textbooks

텍스트의 언어적 난이도 측정 공식 비교 연구 - 초중고 교과서를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ether readability formulas based on linguistic factors are suitable for secondary and older primary age texts. A comparison among fomulas for primary age texts, some for both primary and secondary age, and some for secondary age revealed that exclusive ones for narrow age range were more effective. A model estimating readability scores from the average number of sentences in paragraphs or a model with two factors, the average number of sentences and paragraphs in texts was found to be good one for secondary age. While a model based on total number of unique syllables or a model from total number of unique syllables and new syllable occurrence ratio was good for primary age.

본 연구는 언어적 난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텍스트수준점수 측정공식을 구성하는 방법론이 초등학교 텍스트는 물론 중고등학교 텍스트까지 확장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텍스트가 확장됨에 따라 나타나는 새로운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초중고 텍스트 통합공식, 중고등학교 텍스트 전용공식, 초등학교 텍스트 전용공식을 구성하여 각 공식들의 특징을 비교한 결과 텍스트의 범위를 넓게 잡아 통합 공식을 구성하는 것보다는 소규모 집단으로 분리한 후 전용공식을 구성하는 것이 해당 집단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우수한 공식을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고등학교 텍스트의 점수를 측정하려면 단락내문장수요인, 문장수 $\cdot$ 단락수요인을 사용하고 초등학교 텍스트의 점수를 측정하려면 이형어절수요인, 이형어절수$\cdot$새어절출현비율요인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심재홍. 1991. '글의 이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독성 측정의 모형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2. 이병기. 2003. 웹 기반의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14(2): 13-25
  3. 이선희. 1984. '문장기독성 측정공식과 이를 통해 본 현대 국어 매스컴 문장의 가독성 측정조사'.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4. 이흥수. 1985. 문장의 이독성에 대한 측정 모형. '영어영문학', 31(2): 321-337
  5. 전정재. 2001. '독서의 이해'. 서울: 한국방송 출판
  6. 조현재. 1999. '고등학교 생물 I.II 교과서의 이독성 측정 도구로서의 Cloze 검사의 타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7. 차배근. 1988. 국문 이독성 측정 방법 개발을 위한 서설적 소고. '서울대신문연구소학보', 25: 113-132
  8. 최인숙. 2005. 독서교육시스템을 위한 텍스트수준 측정 공식구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2(3): 213-232
  9. 최재완. 1995. '신문 경제기사의 독이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정치학전공
  10. 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민순영, 손원경. 2003. '영유아.아동연구에서의 SPSS 자료 분석'. 서울: 창지사
  11. Accelerated Reader 홈페이지. [cited 2005.4]
  12. Dale, E., and J. S. Chall. 1948. 'A Formula for Predicting Readability.' Educational Research Bulletin, 27: 11-20, 28
  13. Flesch, R. 1948. 'A New Readability Yardstic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2(2): 111-113
  14. Fry, E. 1977. 'Fry's Readability Graph: Clarifications. Validity and Extension sion to Level17.' Journal of Reading, 21(3): 242-252
  15. Gunning, R. 1952. The Technique of Clear Writing. New York: McGraw-Hill
  16. Harrison, C. 1980. Readability in the Classroom. Cambridge Educational
  17. International Readability Association. 1985. 'NCTE Take Stand on Readability Formulae.' Reading Today, 2(3): 1
  18. Klare, G. R. 1984. 'Readability.' In Pearson P. D. ed. 1984.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New York: Longman. 재인용: 심재홍. 1991. '글의 이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이독성 측정의 모형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
  19. McLaughlin, H. 1969. 'SMOG Grading A New Readability Formula.' Joumal of Reading, 22: 639-646
  20. Pinnel, G. S. 1999. 'Effective Literacy Programs.' Council Connections, Winter: 9-11
  21. Powers, R. D., W. A. Sumner. and B. E. Kearl. 1957. 'A Recalculation of 4 Readability Formulae.' Joumal of Educational Psychology, 49: 99-105
  22. Reading A to Z 홈페이지. [cited 2005.4]
  23. Spache, G. 1953. 'A New Readability Formula for Primary Grade Reading Materials.' Elementary School Journal, 55: 410-413
  24. Sticht, T. G. 1973. 'Research towards the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Job-Functional Literacy Training Program for the US Army.' Literacy Discussion, 4(3): 339-369
  25. Thorndike, E. L. 1921. A Teacher's Word Book of 10,000 Words.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Cited by

  1. Suitability and Readability Assessment of Printed Educational Materials on Hypertension vol.41, pp.3, 2011, https://doi.org/10.4040/jkan.2011.41.3.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