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환경 소음 개선을 위한 작업자 관점의 우선순위 파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ority Ranks to Improve Work Environments in the Worker's Point of View

  • 김화일 (부산가톨릭대학교 환경과학부)
  • Kim, Hwa-Il (School of Environmental Science, The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투고 : 2005.02.15
  • 심사 : 2005.12.10
  • 발행 : 2005.12.30

초록

This study was aimed at rating the existing work environment noise components and alternatives in point of worker's view. To answer the purpos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is adopted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 AHP method, this research abstracts a mathematically rigorous noise components and alternative's weights and proven process for priority and decision-making. By reconstructing complex hearing conservation programs to a series of pair-wise comparisons, and then synthesizing the results, this study not only helps establishments of noise countermeasure, but also provides a clear rationale for noise alternativ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Job satisfaction index and noise identification index are 63, 56 respectively. 2) Noise level(15.7%), frequency(14.1%) and directivity(13.6%) are main reasons in worker's ground. 3)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ion of worker's identification and that of work sites. 4) Low noise machine(14.7%), enclosure(13.2%) and shielding(9.6%) are chosen for noise protection method by workers. 5) Noise environment improvement should be focused on noise source rather than personal protection. 6) By the AHP method, noise source countermeasure have a key role at work environ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근로복지공단. 2004년도 양산지역 산업재해보험가입사업장 현황. 2004
  2. 김규상, 이경종, 임종한, 이철갑, 강성규 , 이상준, 조수헌. 모 자동차제조업체 근로자의 청력-검사기에 따른 순음청력검사 역치의 차이-산업보건 2004;199:10-21
  3. 김성천, 모 금속제품 제조업 근로자들의 소음난청과 고혈압에 관한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1;1(1):56-61
  4. 김광종, 차철환. 산업장 소음의 강도 및 주파수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1;1(2):181-191
  5. 노동부. 2002년도 건강진단 실시결과 분석, 서울:노동부,2003
  6. 문영한, 박종연, 이경종, 조명화, 근로자들의 건강상태가 작업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2;4(1):81-90
  7. 박경옥, 이명선, 산업장의 소음푹로 수준과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1996;29(2):239-254
  8. 박현.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다기준 분석 방안 연구.한구개발연구원 보고서 2000.12
  9. 이광묵. 사업장의 청력보호계획에 관한 검토, 한국의 산업의학 1984;23:77-82
  10. 이용환. 산업장 소음환경과 근로자 청력손실의 변동에 관한 조사, 예방의학회지 1989;22(3):337-354
  11. 박진국. 임남구, 노재훈, 장규엽, 송재석, 원종욱, 김치년, 도장근로자의 작업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9;9(1):73-86
  12. 임무혁, 신중규, 이송권, THI를 이용한 소음이 근로자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조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3;13(1)7-15
  13. 정성필, 김수영, 이태용, 조영채, 이동배, 심혈관 위험요인과 청력역치의 상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2): 189-202
  14. 차봉석 등, 일부 생산직 근로자의 소음과 사회심리적 요인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2):244-257
  15. 피영규, 노영만, 우리나라 소음노출 기준 초과업종의 특성,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3;13(1):53-61
  16. 한국개발연구원, 국가환경종합정보시스템 사업 2004년도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2004.8
  17. 함완식, 이광묵, 황병문, 소음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이 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9;9(1):41-55
  18. DyerRF, Forman EH. An Analytic Approach to Marketing Decisions. Prentice-Hall. 1991
  19. Klitman S, JM Stellman. The impac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ffice workers. Soc. Sci. Med. 1989;29 (6):733-742 https://doi.org/10.1016/0277-9536(89)90153-6
  20. Malchie JB, Mulllier M. Occupational exposure to noise and hypertension; a retrospective study. Ann Occp Hyg 1979;22:63-66 https://doi.org/10.1093/annhyg/22.1.63
  21. RobinsonJC. Robinson JC. Work responses to workplace hazards. Journal of Health Politics, Policy and Law 1987;12 (4):664
  22. Satty T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 Hill.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