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eaching Status and Capability of Sex Education between School Health Educators an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초등학교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성교육 실시정도와 수업능력 비교

  • Lee, Jung-Ran (School Health Educator, Donghyun Elementary School) ;
  • Ahn, Suk-Hee (Department of Nursing,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이정란 (부산 동현초등학교 보건교사) ;
  • 안숙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조교수)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compare the teaching status of sex education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eaching capability for sex education between school health educators and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Methods: A total of 307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including 182 school health educators and 125 teachers who gave sex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Busan,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and $\chi^2$-test using SPSS WIN (version 10.0).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the school health educators carried out sex education more than the teachers, and perceived a higher level of teaching capability for sex education than the teachers when they were given four areas of sex education cont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sex and health; sex, culture and ethics; and understanding of 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a larger number of school health educators perceived that they were more qualified and more highly recognized as sex educators than the teache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chool health educators must be more active as sex educators and that sex education should be adopted as a regular course and the school hours for sex education must be secured.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성교육 활성화 추진계획 (2002).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인적자원부 성교육 활성화 추진계획 (2003). 교육인적자원부
  3. 김선희 (1997). 초등학교 성교육 실태와 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영혜 (1998) 한국 교사들의 성역할인지, 성교육요구 및 성교육 의식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4(2), 131-146
  5. 박성정 (1996). 청소년의 성(이성교제, 성행동, 혼전성허용성, 성지식, 성역할 특성, 성교육)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배정일 (2002).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성교육 수업 실태와 교수능력 인식비교. 한국학교보건교육 연구회 학술논문
  7. 부산시 교육청 교육동계 (2004). 부산시 교육청
  8. 성폭력피해 상담소 (1996). 편견없는 성교육(2). p62-68
  9. 유승직 (2001). 고등학교 학생들의 성교육 요구도 및 성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갑순 (1998). 건강교육 - 간호과정의 적용 서울:현문사. pp257
  11. 이성혜 (2002) 성교육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순열, 배병주 (1997). 성교육 학습지도안. 서울: 도서출판 한빛
  13. 이영숙 (2002). 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이은주 (2000). 양호교사와 관련교사의 성교육 이행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은주, 김영혜, 이화자 (2002) 보건교사와 일반교사의 성교육 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8(2), 199-200
  16. 장일원 (1985). 성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의식 조사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정하성 (1992). 청소년과 성. 한국청소년문제연구소
  18. 질병관리본부 (2005). http://www.cdc.go.kr/html/kor_html/index.html
  19. 하숙영 (1998). 성교육이 여자 중학생의 성 지식과 성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한국여성민우회 부설 가족과 성 상담소 (1996). 학교성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21. Stop Teen Aids, 1318 정보센터 (2005). http://www.sta1318.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