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st Vegetation Structures and Successional Trends in Young-il Soil Erosion Control District

영일사방사업지(迎日砂防事業地) 산림식생(山林植生)의 구성적(構成的) 특성(特性)과 천이경향(遷移傾向)

  • Cho, Hyun-Je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조현제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Received : 2005.08.22
  • Accepted : 2005.09.27
  • Published : 2005.12.31

Abstract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uccessional trends of actual forest vegetation in Youngil soil erosion control district, South Korea, were studied and described by the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s and diameter measurement. And also the incremental growth pattern of the major trees for erosion control analyzed using increment core. Sixty-eight releves were sampled with $100m^2$ plots. Two main vegetation types (Lespedeza bicolor-Miscanthus sinensis-type and Alnus firma-Styrax japonica-type) have been distinguished and typified nine vegetation units. Constancy classes diagram showed that the higher species (${\geq}IV$) have only 2.6% and that most species occurred were rare and had low abundances. The successional trends of the actual forest vegetation would be mostly changed as Quercus serrata forest. Annual diameter growth was 3.0~3.4 mm in case of conifer (Pinus rigida and Pinus thunbergii), and the broad-leaved trees (Alnus firma, Robinia pseudo-acacia, and Alnus hirsuta) showed 4.3~4.9 mm. The incremental growth patterns showed to be decreased rapidly since twenty to twenty-five years regardless of the species of trees.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황폐된 임지의 인공복원 성공지인 영일사방사업지를 대상으로 산림식생의 구성적 특성과 천이경향이 총 68개 조사구를 토대로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매목조사법에 의하여 연구되었으며, 주요 사방조림목의 생장패턴이 연륜심 분석을 통하여 파악되었다. 이 지역의 식생형은 싸리-억새형과 사방오리-때죽나무형 등 2개 광역그룹으로 대별되었으며, 9개의 하위 식생단위가 유형화되었다. 상재도 패턴은 고상재도종(${\geq}IV$)은 2.6%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종들이 저상재도종으로 생육분포하고 있었다. 식생천이경향은 대부분이 졸참나무림으로 변화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요 사방조림목의 연평균 생장 폭은 수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곰솔과 리기다소나무 등 침엽수는 3.0~3.4 mm, 사방오리, 아까시나무, 물오리나무 등 활엽수는 4.3~4.9 mm로 나타났으며, 생장패턴은 수종에 관계없이 조림후 20~25년이 지나면서 급격한 생장감소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산지보전협회

References

  1. 경상북도 1977. 영일지구사방사업사. 경상북도. 286pp
  2. 기상청 1971-2000. 기상연보 기상청
  3.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232pp.
  4. 이창복. 1996.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pp.
  5. 정인구. 1979. 영일니암지대 식생불생육지의 토양성질에 관한 연구. 학술연구발표요지 . 한국임학회 43: 87-88
  6. 주성현. 1981. 영일사방사업지의 토양단면 및 식생구조의 변화.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pp.
  7. 최 경, 이천용. 1987. 사방지 식생 천이와 토양변화에 관한 연구(중부화강암지대를 중심으로). 학술연구발표요지 . 한국임학회지 76(3): 312-313
  8. 한국산지보전협회 . 2004 영일사방사업지 및 해안사구 산림생태계 보전과 질적 기능 개선을 위한 관리방안. 242pp.
  9. 홍성천, 이종운, 김영호. 1978. 사방지 보호를 위한 조림학적 고찰(영일지구 사방사업지를 중심으로). 학술연구발표요지. 한국임학회지 37: 69-70
  10. 홍성천. 1982. 영일사방사업지의 삼림생태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58: 41-47
  1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Y. 865pp.
  12. Cox, G.W. 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m.C.Brown, Dubuque. Iowa. 112pp.
  13.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The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4.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stuttgart. 136pp.
  15. Kovach W.L., 1999. MVSP-A multivariate statistical pacakage for windows, ver 3.1. pentraeth: Wales: Kovach Computing Services
  16. Legendre, L. and P. Legendre. 1984. Ecologie numerique, 2 Vol. Masson, Paris and Presses de I'Universite de Quebec. pp.260-335
  17. Podani, J. 1994. Multivariate Analysis in Ecology and Systematics. SPB Academic Publishing, Amsterdam. 316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