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잉어과)의 골격 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 송호복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손영목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Song, Ho-Bok (Division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on, Yeong-Mok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Seowon University)
  • 투고 : 2005.01.05
  • 심사 : 2005.03.02
  • 발행 : 2005.03.31

초록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의 골격형성과 연골의 골화 과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장 $6.82{\pm}0.08mm$ 에 부설골 (parasphenoid), 치골 (dentary), 익상골 (pterygoid), 각설골 (ceratohyal), 새궁(branchial arch) 등과 미골 (caudal skeleton)의 일부 등이 생성되었다. $7.76{\pm}0.09mm$에는 전두골 (frontal)과 두정골 (parietal)의 발달이 현저하였고, 주상악골 (maxillary)이 나타났으며, 흉대 (pectoral girdle)의 방사기골(proximal), 견갑골 (scapula), 오훼골 (coracoid)이 형성되었다. 또한 신경극 (neural spine)과 혈관극 (hemal spine)이 미추(caudal vertebrae)에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9.68{\pm}0.14mm$에 내장골 (vesceral skeleton)의 주새개골(opercle)과 새조골 (branchiostegals)이 나타났으며, 12.94 mm에는 흉대의 후측두골 (post temporal)이 생성되었다. 골격의 골화는 $9.68{\pm}0.14mm$를 전후하여 일어났으며, 부설골, 인두골 (pharyngeal bone), 치골, 전상악골(premaxillary), 주상악골, 주새개골 등과 늑골 (pleural rib), 신경극, 혈관극이 골화되었으며, 흉대의 의쇄골(cleithrum)과 상의쇄골 (supracleithrum) 그리고 미골의 미부봉상골 (urostyle)과 꼬리지느러미 (caudal fin)가 골화되었다. $11.52{\pm}0.13mm$에는 척추골이 생성되면서 골화되었고, $15.30{\pm}0.68mm$에 두부의 전두골, 전새개골(preopercle), 하새개골 (subopercle), 설악골 (hyomandibular)등이 경골화되었다. 본 종의 골격 형성과 골화는 다른 어종에 비하여 비교적 늦게 발달하였다.

Osteolgical development of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Cyprinidae), were investigated using cartilage and bone staining. The parasphenoid, dentary, pterygoid, ceratohyal, branchial arch and parts of the caudal skeleton were formed first as cartilaginous elements at $6.82{\pm}0.08mm$ total length (TL). Formation of frontal, parietal, and maxillary were notable at $7.76{\pm}0.09mm$ TL, and the proximal radial, scapula,and coracoid in the pectoral girdle were developed at this stage. At the same time, the neural and hemal spine were present in the caudal vertebra. The opercle and branchiostegals were observed at $9.68{\pm}0,14mm$, and the posttemporal was formed at $12.9{\pm}40.64mm$ TL, respectively. Ossification in the parasphenoid, pharyngeal bone, dentary, premaxillary, maxillary, and opercle began at about $9.68{\pm}0.14mm$ TL. The cleithrum, supracleithrum, urostyle, and caudal fin were calcified at this stage. The vertebral column was formed and ossified at $11.52{\pm}0.13mm$ TL, and the frontal, preopercle, subopercle, and hyomandibular were ossified at $15.30{\pm}0.68mm$ TL. This fish was late in developing the skeletal formation and ossification as compared with other fish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서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참고문헌

  1. Aldridge, D.C. 1999. Development of European bitterling in the gills of freshwater mussels. J. Fish BioI., 54 : 138-151 https://doi.org/10.1111/j.1095-8649.1999.tb00618.x
  2. Balon, E.K 1985. Early life histories of fishes: New devel­opmental, ecological and evolutionary perspectives. DR W. Junk Pub., pp. 33-55
  3. Gregory, W.K 1933. Fish skulls: a study ofthe evolution of natural mechanisms. Trans. Amer. Phil. Soc., 23 : 75-481
  4. Itazawa, Y. 1963. The ossification sequence of the veterbral column in the carp and the snake-head fish. Bull. Jap. Soc. Sci. Fish., 29: 667-674 https://doi.org/10.2331/suisan.29.667
  5. McElman, J.F. and E.K. Balon. 1979. Early ontogeny of walleye, Stizostedion vitreum, with steps of saltatory development. Env. BioI. Fish., 4 : 309-348 https://doi.org/10.1007/BF00005523
  6. Mook, D. 1977. Larval and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sheephead, Archosargus probatocephalus. Copeia(1) : 126-133
  7. Paxton, J.R. 1972. Osteology and relationships of the lan­tern fishes (family Myctophidae). Bull. Nat. Hist. Los Angeles County Sci., 13 : 1-81
  8. Potthoff, T. 1980. Development and structure of fins and fin supports in dolphin fishes, Coryphaena hippurus and Coryphaena equiselis (Coryphaenidae). Fish. Bull., 78: 277-312
  9. Pottoff, T., S. Kelley, M. Moe and F. Young. 1984. Descrip­tion of porkfish larvae (Anisotremus virginicus, Hae­mulidae) and their osteological development. Bull. Mar. Sci., 34: 21-59
  10. Weisel, G.F. 1967. Early ossification in the skeleton of the sucker (Catostomus macrocheilus) and the guppy (Poe­cilia reticulata). J. Morphol., 121 : 1-18 https://doi.org/10.1002/jmor.1051210102
  11. 김소영. 1997. 각시붕어(Rhodeus uyekii)의 골격학적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9 : 130-140
  12. 김용억. 1978. 어류학 총론. 태화출판사, 부산, pp. 67-73
  13. 김용억.한경호. 1991.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3 : 67-83
  14. 김익수.김소영. 1998. 가시납지리 (Acanthorhodeus gracilis)의 골격학적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10 : 231-240
  15. 김치홍. 1991. 한국산 납자루속 (잉어과) 어류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2 pp
  16. 남명모. 1991. 한국산 잉어과(Cyprinidae) 어류의 계통분류, - 외형과 골격계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3 pp
  17. 명정구.김용억. 1993. 한국산 연어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II, 초기 발육단계에 있어서의 연어, Oncorhynchus keta의 골격 발달. 한국어류학회지, 5 : 68-84
  18. 명정구.문진희.김진구.박경동.강충배.김용억.박준택. 2001.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자치어의 골격 발달. 한국어류학회지 13 : 129-135
  19. 박양성.김용억. 1987. 날치의 자치어에 관한 연구, II. 자치어의 골격발달. 한국수산학회지 20 : 447-456
  20. 백현민. 2005.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 (잉어과)의 생태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6 pp
  21. 송호복. 1994.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 (잉어과)의 생태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1pp
  22. 송호복.권오길. 1994. 줄납자루, Acheilognathus yamatsutae(Cyprinidae)의 패류 체내 산란. 한국어류학회지 6 : 39-50
  23. 이승휘.박은호. 1989. 암수동체성 점박이송사리 Rivulus ocellatus marmoratus (진구아강 : 점박이송사리과)의 골격계. 한국동물학회지 32 : 177-210
  24. 한경호.노병을.이성훈.추은경.김두용. 1999. 버들치(Moroco oxycephalus) 자치어의 성장에 따른 골격 발달. 1999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 요지집, pp. 506-507
  25. 한경호.임상구.김광수.김철원.유동재. 2001. 한국산 붉은쏨뱅이, Sebasticcus tertius (Barsukov et Chen) 자치어의 골격발달. 한국어류학회지 13 : 6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