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식품섭취 다양성과 일상생활기능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Variety and Activities of Daily Life in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of Chungnam Province

  • 지경희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Chi, Kyung-He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Ch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6.30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식생활지침을 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식품섭취의 다양성과 일상생활수행동작(ADL) 및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동작(IADL)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충청남도 금산군과 청양군 두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439명(남자 196명, 여자 2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면접조사를 통해 조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일상생활습관, 식품섭취 다양성, ADL 및 IADL 상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2004년 6월에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식품종류별 섭취빈도를 보면, 어패류, 육류, 계란류, 해조류 및 유지류의 섭취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우유 및 유제품류, 콩 및 콩제품류, 녹황색채소류, 감자류 및 과일류 섭취빈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비율이었다. 각 식품군에 대해서 "거의 매일 먹는다"라고 응답한 비율을 보면 녹황색채소류가 가장 높은 비율이었고, 다음으로 감자류, 콩 및 콩제품류, 과일류 등의 순위를 보였으나, 어패류, 육류, 계란류, 우유 및 유제품류, 해조류 등은 매우 낮은 비율을 보였다. 2. 전체 조사대상자의 식품섭취 다양성 점수 분포를 보면, 1~3점이 68.3%, 4~6점이 23.2%, 7~10점이 8.4%의 분포를 보여 점수가 높은 군일수록 비율이 낮아졌으며, 남자보다 여자에서, 75세 이상 군보다 74세 이하 군에서, 학력이 높아질수록, 독신으로 사는 경우보다 부부가 함께 살거나 가족과 함께 생활할수록, 월수입이 높을수록, 좋은 일상생활습관을 갖고 있는 군에서 식품섭취 다양성 점수가 높았다. 3. 조사대상자의 ADL과 IADL 상태를 보면 정상범위 노인군(normal-range group)이 각각 93.2%, 72.9%의 분포였으며, 기능장애 노인군(impaired ADL group)이 6.8%, 27.1% 분포였다. 한편 남자보다 여자에서, 74세 이하 군보다 75세 이상 군에서, 학력이 낮을수록, 독신보다는 부부세대나 가족과 함께 사는 경우, 월수입이 낮을수록, 좋지 않은 일상생활습관 군에서 기능장애 노인군의 비율이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식품섭취 다양성에 따른 ADL과 IADL의 관계를 보면 식품섭취 다양성 점수가 높은 군일수록 정상범위 노인군의 비율은 높아지는 반면, 기능장애 노인군의 비율은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ADL에서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IADL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ADL과 IADL을 종속변수로, 식품다양성 점수 군을 설명변수로 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ADL 기능장애노인군의 상대위험도는 식품다양성 점수 4~6점군에서 0.84, 7~10점군에서 0.63으로 점수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IADL 기능장애노인군의 상대위험도는 식품다양성 점수 4~6점군에서 0.52(p<0.01), 7~10점군에서 0.41(p<0.05)로 점수가 높아질수록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식품섭취의 다양성이 낮을수록 일상생활기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식품섭취의 다양성이 일상생활기능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urve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which can be available as a baseline in the set up of dietary guidelines for assuring community-based self-support of the rural elderly,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of the various dietary consumptions with their ADL and IADL. Methods: The study subjects, 439 rural residents(male: 196, female:243) aged over 65 in Kumsan Kun and Chongyang Kun, Chungchongnamdo Province were interviewed, in June of 2004, about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aily life styles, the variety of dietary consumption, ADL and IADL with the following major findings: Results: In terms of the scores' distribution to show variety of food consumption among all subjects, 68.3% got 1~3 points, 23.2% 4~6 points, and 8.4% 7~10 points with a decreasing proportion of subjects in higher points. In terms of their functional status, normal-range groups showed 93.2% of ADL and 72.9% of IADL whereas, impaired ADL group 6.8% of ADL and 27.1% of IADL, respectively. Concerning the relation of ADL and IADL with the variety of their consumed food, the greater scores for food variety was associated with the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normal ADL group and the lower proportion of impaired ADL group.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DL and IADL as dependent variables, and food variety scores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relative risk of impaired-ADL group was 0.84 in the food variety group of 4~6 points, 0.63 in 7~10 points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lative risk of impaired- IADL group was 0.52(p<0.01) in the food variety group of 4~6 points, 0.41(p<0.05) in 7~10 point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s: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lower dietary variety, the lower functional capacity of daily living, and the variety of dietary is associated with the functional capacity of daily living in rural elderly.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 2003 고령자통계. 통계청, 2003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요구조사자료. 1998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1999: 29: 30-40
  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1년도 국민건강 . 영양조사결과. 2001
  5. Kant AK, Block G, Schatzkin A. Dietary diversity in US population, NHANES II, 1976-1980. J Am Diet Assoc 1991; 91: 1526-1531
  6. 厚生省 保健醫療菊. 健康づくりのための 食生活指針, 健康づくりの食生活指針の指導要領について 1985: 48-5317
  7. WHO. The use of epidemiology in the study, report of a WHO scientific group on the epidemiology of aging. WHO technical report series 706, 1984
  8. Breslow L, Belloc NB. Relationship of physic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s. Preventive Med 1972; 1: 409-421 https://doi.org/10.1016/0091-7435(72)90014-X
  9. 熊谷修. 紫田 博, 度邊修一郎. 地域在宅高齡者における食品攝取の多様性と高次生活機能低下の關連. 日本公衛誌 2003: 50(12): 1117-1124
  10. Katz S.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J of Am Med Assoc 1963: 185: 914-919 https://doi.org/10.1001/jama.1963.03060120024016
  11. Pfeiffer E: Multidimensional functional assessment: the OARS methodology. A manual. Durham, North Carolina: Duke University, Center for the Study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975
  12. 須山淸男,芳賀 博, 紫田 博. 地域在宅老人の食品攝取パタンとその關連要因. 老年社會科學 1992: 14: 24-33
  13. Walker D, Beauchene RE. The relationship of loneliness, social isolation, and physical health to dietary adequacy of independently living elderly. J Am Diet Assoc 1991; 91: 300-304
  14. 熊谷 修, 紫田 博, 度邊修一郎. 地域高齡者の食品攝取パタンの生活機能(知的機能性)の變化に及ぽす影響. 老年社會科學 1995: 16: 146-155
  15. 熊谷 修,紫田 博, 度邊修一郎. 地域高齡者の食品攝取パタンと生命豫後. 厚生の 指標 1997; 44: 3-8
  16. 湯川晴美, 鈴木隆雄, 紫田 博. 都市近郊 在住の高齡女性における骨密度と榮養攝取の關連. 日本公衆衛生雜誌 1998; 45: 968-978
  17. 熊谷 修, 紫田 博. 高齡者の低榮養, 低榮養と疾病の關係. Geriat Med 1988: 35 : 739-744
  18. Drewnowski A, Hendderson SA, Driscoll A. The dietary diversity score: assessing diet quality in healthy young and older adult. J Am Diet Assoc 1997; 97: 266-271 https://doi.org/10.1016/S0002-8223(97)00070-9
  19. Corti M, Salive ME, Guralink JM. Serum albumin and physical function as predi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and incidence in older person. J Clin Epidemiol 1996: 49: 519-526 https://doi.org/10.1016/0895-4356(95)00562-5
  20. Reuben DB, Ix JH, Greendale GA. The predictive value of combined hypoalbuminemia and hypocholesterolemia in high functioning community dewelling older persons: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J Am Geriatric So 1999: 47: 402-406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9.tb07230.x
  21. Fujiwara Y, Shinkai S, Kumagai S. Longitudinal changes in high level functional capacity of an older population living in a Japanese urban community. Arch Gerontol Geriatri 2003; 36: 141-153 https://doi.org/10.1016/S0167-4943(02)00081-X
  22. 芳賀 博, 紫田 博, 上野滿男. 地域老人の 活動能力とその關連要因. 老年社會科學 1992: 14: 2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