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for the Fruit by Rubus coreanus Miq. Clones

복분자딸기 클론별 과실특성과 항산화 활성 탐색

  • Kim, Sea Hyun (Dept. of Forest Genetic P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Chung, Hun Gwan (Dept. of Forest Genetic P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Jang, Yong Seok (Dept. of Forest Genetic P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Young Ki (Dept. of Forest Genetic P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Hyung Soon (Dept. of Forest Genetic P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Sun Chang (Dept. of Forest Genetic Pesourc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세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정헌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장용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박영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박형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 김선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
  • Received : 2004.10.22
  • Accepted : 2005.03.18
  • Published : 2005.03.31

Abstract

Fruit characteristics, saccharin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elected clones of Rubus coreanus, grown in Korea, well-known as edible and medical resources, frequently used and which has an excellent pharmacological activity are examined and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esult of surveying characteristics for the fruit and saccharinity variation by collection time, there a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examined clones and the collection time, exception of the fruit width. From the clones, SG 3 is the biggest in size, the highest in the saccharinity out of five clones, on the other hand, CJ 18 and SH 3 are the opposite. Meanwhile, comparing examined saccharinity factor with maximum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ut of daily climates at Suwon Meteorological Observatory at the same period, on the day the highest temperature is $29.5^{\circ}C$, saccharinity distinctively ascends, but on the day the precipitation is recorded 121.5 mm and next day, the saccharinity descends. Also, five-day saccharinity until the precipitation lower than 0.1 mm per day shows from 10.4 to 11.5 Brix higher than the average saccharinity of 9.7 Brix. Fifteen clones including CA 6 about frui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llection layer and saccharinity variation were examined, there is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examined clones, but about the collection layer, only saccharinity factor has meaningful significance. For clones, MJ 11 is the biggest and excellent character of 15 clones but the saccharinity, 10.3 Brix lows a bit, MC 9 and HAE 5 are the worst fruit in character but saccharinity is 13.4 Brix and 10.6 Brix which is higher than the average saccharinity of 9.8 Brix. About saccharinity for the collection layer, the fruit average saccharinity, collected from the upper layer which is good at lightness and temperature condition, is 10.2 Brix which shows higher than the one of the fruit, 9.7 Bix and 9.5 Brix collected from the middle or the lower layer. The saccharinity of fruit collected from the middle or the lower layer is lower than the average saccharinity of 9.8 Brix out of 15 surveyed clones. Surveying antioxidative activity resulted from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out 30 clones of fruit in total, there is difference between surveyed clones. Especially, Immatured fruit extracts exhibited highe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94.5 to 97.5% which indicates the similarity to Ascorbic acid, unlike other clones, on the concentration of 250 to 1,000 ppm.

식 약용 자원으로 활용도가 매우 높고 약리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잘 알려진 우리나라 자생 복분자딸기 선발클론의 과실특성과 당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과실의 채취시기별 특성과 당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과실횡경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에서 클론간, 채취 시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클론별로 SG 3호가 5클론들 중 가장 높은 당도를 나타낸 반면에 CJ 18호와 SH 3호 등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조사된 당도요인과 동일 기간 수원기상대에서 측정된 최고기온, 강수량 등 일별 기상자료들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최고기온이 $29.5^{\circ}C$ 이상일 때에는 전일에 비하여 당도의 상승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121.5 mm의 강수량이 기록되었던 7월 22일과 그 다음날에는 당도의 하향 경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일강수량이 0.1 mm만을 기록한 7월 18일 오후까지의 당도는 평균 당도인 9.7 Brix보다도 높은 10.4- 11.5 Brix로 나타났다. 과실의 채취층위별 특성과 당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조사된 클론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채취층위에 있어서는 당도요인만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클론별로는 MJ 11호가 15클론들 중 가장 크고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당도에 있어서는 10.3 Brix로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고 HAE 5호와 MC 9호는 불량한 과실특성을 나타낸 반면에 당도는 10.6 Brix와 13.4 Brix로 평균 당도인 9.8 Brix보다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채취층위별 당도는 상층부에서 채취한 과실의 평균 당도가 10.2 Brix로 중 하층부에서 채취한 과실의 평균 당도 9.7 Brix와 9.5 Brix 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총 30클론의 과실에 대한 Free radical 소거능에 기인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된 클론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미숙과는 250~ 1,000 ppm의 농도에서 94.5~95.7%의 높은 소거능 활성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만조. 2000. 복분자딸기 재배 및 전망. 산림지 (8) p. 110-113
  2. 김만조 . 김세현 . 이 욱. 2002a. 대립다수성 복분자딸기 선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1 (1): 96-101
  3. 김만조 . 이 욱 . 김세현 . 정헌관. 2002b. 복분자의 잎, 결과 및 과실 특성 변이. 한국육종학회지 34(1) : 50-56
  4. 김민선. 1996. 복분자 딸기 잎의 페놀성 화합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pp. 98
  5. 김민선 . 방근철 . 이민원. 1996. 복분자 딸기 잎의 탄닌. 약학회지 40(6) : 666-669
  6. 김민선 . 방근철 . 이민원. 1997. 복분자딸기 잎의 플라보노이드. 약학회지 41 (1): 1-6
  7. 박영서 . 장학길. 2003. 복분자의 유산발효와 생리활성 평가.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46(4) : 367-375
  8. 방근철 . 김민선 . 이민원. 1996. 복분자딸기 열매의 가수분해성 탄닌. 생약학회지 27(4): 366-370
  9. 신공식 . 박필재 . 부희옥 . 고정연 . 한성수. 2003 국내산 복분자 열매에 대한 화학적 조성 및 생리활성 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6(2): 109-117
  10. 양성우 . 호진녕 . 이유현 . 신동훈 . 홍범식 . 조흥연. 2004 복분자로부터 Helicobacter pylori Urease Inhibitor의 분리 및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5) : 769-777
  11. 윤 인 . 위지향 . 문제학 . 안태희 . 박근형. 2003. 복분자 열매에서 항산화 활성을 지닌 quercetin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과학회지 35(3) : 499-502
  12. 윤 인 . 조정용 . 국주희 . 위지향 . 장미영 . 안태희 . 박근형. 2002. 복분자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의 동정 및 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4(5) : 898-904
  13. 이미경 . 이현수 . 최근표 . 오덕환 . 김종대 . 유창연 . 이현용. 2003. 복분자 열매 추출물의 유용 생리활성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1): 5-12
  14. 이민원. 1995. 복분자딸기 잎의 페놀성. 약학회지 39(2) : 200-204
  15. 이용님 . 김영수 . 송근섭. 2000. 미숙 복분자 분말을 첨가한 건면의 품질 특성. 한국농화학회지 43(4) : 271-276
  16.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 990
  17. 차환수 . 박민선 . 박기문. 2001. 복분자딸기의 생리활성. 한국식품과학회지 33(4): 409-415
  18. 최 연 . 신건재 . 최근표 . 도재호 . 김종대. 2003 흰쥐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홍삼, 섬백초, 복분자 추출물의 상승효과, 한국약용작물학회지 11(2): 148-154
  19. 홍재식 . 김인권 . 김명곤 . 윤 숙. 1995. 농림수산부 농림수산 특정연구과제 보고서 - 복분자주 제조기술 개발-농림수산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설 농림수산기술관리센타, 서울. pp. 73
  20.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s. Nature 181 : 1199-2000 https://doi.org/10.1038/1811199a0
  21. Bohm, B. A. 1998. Introduction to flavonoids-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organic natural products (Vol II). Hardwood academic Pub., Australia. p. 339-394
  22. Branen, A. 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cty 52 : 59-65 https://doi.org/10.1007/BF02901825
  23. Cheung, L. M., C. K. Peter, and V. E. C. Ooi. 2003. Antioxidants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Food Chemistry 81 : 249-255 https://doi.org/10.1016/S0308-8146(02)00419-3
  24. Lee Y. A. and M. W. Lee. 1995. Tannins hum Rubus coreanum. Korean Journal of Pharmacogn 26(1) : 27-30
  25. Maxwell, S. J. 1995. Prospects for the use of antioxidants therapies. Drugs 49(3): 345-361 https://doi.org/10.2165/00003495-199549030-00003
  26. Quiroga, E. N., A. R. Sampietro, and M. A. Vattuone. 2001. Screen antifungal activities of selected medicinal plant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4: 89-96 https://doi.org/10.1016/S0378-8741(00)00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