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Study of Acute Pyogenic Osteomyelitis in Children

소아 급성 화농성 골수염의 임상적 고찰

  • Park, Ji Soo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eom, Jeong Su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wang, Sun Chul (Department of Orthoped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Eun Si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eo, Ji 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im, Jae 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an H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Woo, Hyang Ok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Youn, Hee Sha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박지숙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염정숙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황선철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박은실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서지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임재영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박찬후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우향옥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윤희상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5.03.24
  • Accepted : 2005.05.06
  • Published : 2005.07.15

Abstract

Purpose : Acute pyogenic osteomyelitis is uncommon in children. Delayed diagnosis and inappropriate treatment are leading to growth failure and deformation. We review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of acute osteomyelitis in children according to age.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made of 32 patients who underwent antibiotic management or operation between Aug 1989 and Dec 2003 for acute pyogenic osteomyelitis in age from 0 to 15 years old. Results : The study group was composed of 21 boys and 11 girl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age : 0-1 yr(n=6), 1-5 yr(n=11), 6-10 yr(n=8), and 11-15 yr(n=7). Nineteen cases were diagnosed in Winter. Femur was the most common infected site(37.5%). There were no predisposing factor in 17 patients, and 7 of 15 patients had trauma history. Sepsis was important predisposing factor in neonates. The chief complaints were pain, swelling and fever. S. aureus(61%) is the most common organism. Twenty-nine patients were treated with operation and concomitant antibiotics. Two cases had sequelae in follow-up period : One is avascular necrosis of femur and the other is discrepancy of leg length. Conclusion : In our review, because of poor prognosis in septic neonates, we recommend to treat actively neonatal sepsis and prevent or detect osteomyelitis early. Because most of patients were diagnosed and treated in orthopedic surgery, the rate of operation was too high. So, protocol for further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cute osteomyelitis in pediatric patients were needed.

목 적 : 급성 화농성 골수염은 소아에 주로 발생하며 진단 지연 및 부적절한 치료시 성장 장애와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저자들은 급성 화농성 골수염으로 치료받은 소아에서 연령, 임상증상, 호발 부위, 원인균, 진단과 치료, 후유증 등에 대하여 고찰하여 치료 및 후유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년 8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에서 화농성 골수염으로 진단, 치료받은 15세 이하의 소아, 총 32명을 의무 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 과 : 총 32명 중 남녀비는 1.91 : 1이었다. 평균 연령은 6.14세였다. 연도별 발생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령에 관계 없이 주로 겨울에 호발하는 양상이었다. 이환된 부위로는 전 연령에 걸쳐 대퇴골과 경골이 가장 많았다. 선행 요인 및 기저 질환으로 외상(7례)이 가장 많았으나 불확실하거나 없는 경우가 17례로 가장 많았다. 신생아에서는 패혈증으로 치료받던 도중 골수염이 병발한 경우가 3례였다. 주요 임상 증상은 의사 소통이 불가능한 연령대에서는 연부 조직의 부종과 운동 제한이 가장 많았고, 큰 소아들에서는 동통과 부종이 주 증상이었다. 가장 많이 분리된 원인균은 황색포도알균으로(61.1%) 모두 penicillin에 저항성을 보였고, 3균주는 methicillin에도 저항성을 보였다. 검사실 소견으로 진단 당시 적혈구 침강 속도와 C-반응 단백은 모든 환자에서 상승되어 있었으나 백혈구 증다증은 43.8%에서만 보였다. 초기 경험적 항생제로 cephalosporin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평균 사용 기간은 29.1일이었다. 32례 중 29례에서 수술적 치료(90.6%)를 시행하였다. 장기적인 추적 관찰 중 후유증이 발생한 경우는 신생아 시기에 진단받은 2례로, 대퇴골 무혈성 괴사와 침범된 하지의 단축증이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패혈증으로 치료를 하던 신생아에서 생긴 급성 화농성 골수염에서 예후가 나빴으므로, 미숙아나 신생아 패혈증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골수염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또한 환자의 90% 이상이 수술적 치료를 받았는데, 이는 정형외과로 입원한 환아가 많았고, 다른 병원에서 진단되어 본원 정형외과로 전원 되어서라고 생각된다. 과거 전산화되기 이전의 영상검사 결과를 직접 재검토하지 못하고 의무 기록에 의존하였고, 소아과보다는 정형외과로 입원해서 치료받은 환자가 많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소아과에서도 골수염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조기 진단을 함으로써 항생제 투여만으로 치료가 되는 경우와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와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Lew DP, Walvogel FA. Osteomyelitis. Lancet 2004;364:369- 79 https://doi.org/10.1016/S0140-6736(04)16727-5
  2. Choi IS, Kwon OY, Cho YH. Clinical observation of acute hematogenous osteomyelitis in children. J Korean Orthop Assoc 1985;20:826-32
  3. Blockey NJ, Waston JT. acute osteomyelitis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1970;52:77-87
  4. Nahm KC, Kim NH, Oh HY, Lee YB. Clinical observation of pyogenic osteomyelitis. J Korean Orthop Assoc 1980;15: 753-9
  5. Kim NH, Kang KS, Kwon SW, Chang JD. A clinical study of acute pyogenic osteomyelitis. J Korean Orthop Assoc 1985;20:310-8
  6. Lee HK, Ahn BW, Song HS. Clinical observation on acute pyogenic osteomyelitis and arthritis in infancy. J Korean Orthop Assoc 1980;15:735-45
  7. Kwak YH, Park SE, Hong JY, Jung HS, Park JY, Choi JH, Lee HJ, Choi IH. Etiologic agents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pyogenic osteoathritis in children. J Korean Pediatr Soc 2000;43:506-13
  8. Glimour WN. Acute hematogenous osteomyelitis. J Bone Join Surg 1962;44:841-52
  9. Morrey BF, Peterson HA. Hematogenous pyogenic osteomyelitis in children. Orthop Clin North Am 1975;6:935-51
  10. Gillespie WJ. Epidemiology in bone and joint infection. Infect Dis Clin North Am 1990;361-76
  11. Dich VQ, Nelson JD, Haltalin KC. Osteomyelitis in infants and children. Am J Dis Child 1975;129:1273-8
  12. Lee SH, Hur CY, Chang JS, Song HY, Mun JY. A clinical study upon acute osteomyelitis and pyogenic arthritis. J Korean Orthop Assoc 1991;26:1981-97
  13. Park SG, Hong YS, Kang SJ, Kim SG, Choi PH. Clinical observation of osteomyelitis in childhood. J Korean Pediatr Soc 1990;33:499-505
  14. Gillespie R. Septic Arthritis of childhood. Clin Orthop Relat Res 1973;96:152-9
  15. Lunseth PA, Heiple KG. Prognosis in septic arthritis of the hip in children. Clin Orthop Relat Res 1979;139: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