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ate and Improvements of Health Education in Schools

학교보건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Purposes: This review is design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education in Korea, to identify problems within the curriculum,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health education in Korea. Results: Korean schools currently lack a regular standardize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Subjec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are presently taught in other disciplines, such as physical education, home management, biology, and other related subjects. The Korean health education curriculum suffers from many significant problems, including a lack of educational goals for health education, absence of designated time for health education, a lack of continuity between contents, knowledge-oriented health education, and an overall disconnect with the needs of the students. Other problems include an exclusion of health education experts in th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no designated times for health education within the regular curriculum, and a lack of health teachers in schools. Conclusion: To improve health education in schools, standar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Health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be sequential, comprehensive, and skill-based. Health education needsto be a essential subject, health teachers need to be trained, and provided with technical support.

Keywords

References

  1. 건강사회를 위한 보건교육 연구회(2004). 학교보건 교육 내실화를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2004.12.1. 건강사회를 위한 보건교육 연구회
  2. 교육인적자원부(2005). 교육인적자원부 홈페이지 소개교실 중 일반현황, 본부 및 소속기관 소개. retrieved on Oct 29. 2005. available at http://www.rme.go.kr_sidiary_sidiary01-01.html?Dept_Name=교육과정정책과
  3. 김 준(1998). 광주시내 초등학교 교사의 보건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조선대 환경보건대학원
  4. 김가옥(2002).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보건교육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 대학원
  5. 김경렬(2004). 7차 교육과정 시행 후 초등 보건교사의 보건교육 실태. 부산대 교육대학원
  6. 김보은(1999). 전남지역 양호교사의 보건교육 실태와 개선인식. 조선대 환경보건대학원
  7. 김영임, 안지영(1999). 우리나라의 학교보건교육 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2(1), 85-95
  8. 김영주, 김정순(2003).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관련내용 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6(2), 71-84
  9. 김옥순(1996). 부산시 중학교 양호교사의 보건교육 실시상태. 인제대 보건대학원
  10. 김화중(2001). 학교보건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001년도 정책보고서. 새천년 민주당
  11. 김화중, 윤순녕, 전명자(2002). 지역사회간호학. 수문사
  12. 김해영(2000). 양호교사의 보건교육 실시 현황과 교사 직무 능력에 관한 연구. 경상대 대학원
  13. 김현주(2002). 양호교사의 보건교육 실태와 교사직 무능력 인식정도에 관한 조사 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
  14. 도은영(1992). 고등학교 보건교육내용 설정을 위한 기초조사. 북대 보건대학원
  15. 문기내(2002). 중고등학생들의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연구. 경산대 보건대학원
  16. 문영희, 김명화(2002).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내용 분석.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5(1), 107-121
  17. 박남수 (1995). 학교보건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8. 박정주(2002). 보건교사의 학교보건업무 실태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보건교사회(2005). 학생건강증진을 위한 대토론회-학생을 건강하게, 국민을 건강하게- 자료집. 2005.1.7. 보건교사회
  20. 신경옥(2004). 보건교육관련 설문분석. 학교보건교육 내실화를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25-97
  21. 오종식(1999). 중학교 보건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중학교 교과과정내 보건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서울대 보건대학원
  22. 우옥영(2004). 보건교육내실화를 위한 모색 - 사후 처치에서 예방 교육으로, 입시교육에서 인간화교육으로, 보건교과 설치와 인프라 구축을 -. 학교보건 교육내실화를 위한 대토론회 자료집, 1-31
  23. 유재복(1990). 중학교 교과과정에 따른 보건교육 내용 분석 연구. 중앙대 사회개발대학원
  24. 유선미, 조흥준, 박은옥, 이원영(2005). 미래사회대비 평생건강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학교보건 강화 방안. 고령화 및 미래사회위원회 &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25. 윤영옥(998). 시내 일부 중학교의 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보건교육 교육과정개발을 위하여. 이화여대 대학원
  26. 윤순녕, 김영임, 최정명, 조희순, 김영희, 박영남, 오경순, 이분옥, 조선녀, 조소영, 한선희, 하영미(2005). 초.중.고등학교 학생.학부모.일반교사의 보건교육 영역별 요구도와 보건교육.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8(1). 1-14
  27. 이명숙(999). 고등학교 보건교육 현황과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 교육대학원
  28. 이보은(1997). 고등학교 보건교육 교육과정 선정을 위한 조사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29. 이영자(1996). 국민학교 보건교육의 교재 내용 분석. 한국교원대 대학원
  30. 이지영(2003).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체육교과 내의 보건교육 내용 분석. 강원대 교육대학원
  31. 임경호(1999). 중고등학교 체육교사의 보건교육 실시 실태 및 보건의식 행태 조사. 산대 보건대학원
  32. 장창곡, 조정순, 천성수, 손애리(2000). 학교보건.급식 50년사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 자원부 정책연구과제 보고서
  33. 전소은(2002). 초동학교 보건 기본방향 및 보건업무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조선녀(2004).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보건교육 내용과 시간 분석. 전남대 교육대학원
  35. 주일남(2001). 초중등학교 교과서의 보건교육 관련 내용 분석. 경북대 보건대학원
  36. 통계청(2004). 사망원인 통계 연보. 통계청
  37. Australian Health Promoting Schools Association(2004). A national framework for health promoting schools(2000-2003). National Health Promoting Schools Initiative. AHPSA. retrieved on Oct 29, 2005. available at http://www.ahpsa.org.au/files/framework.pdf
  38. Allensworth D. Lawson E, Nicholson L, Wyche J.(1997). Schools and Health: Our Nation's Investment. Institute of Medicine
  39. Brandis, C.D., Irwin, C.E., Jr., Ozer, E.M., Handley, M., Knopf, D.K., Millstein, S.G.(1997). Improving adolescent health: An analysis and synthesis of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San Francisco, CA: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National Adolescent Health Information Center
  4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Center for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Division of Adolescent and School Health,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 Maternal and Child Health Bureau. Office of Adolescent Health. National Adolescent Health Information Cente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2004). Executive Summary-Improving the health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 guide for state and communities. Atlanta, GA
  41. Connell. DB., Turner. R.R., Mason. E.F.(1985). Summary of findings of the school health education evaluation: Health promotion effectiveness. implementation, and costs. Journal of school health, 55(8). 316-321 https://doi.org/10.1111/j.1746-1561.1985.tb05656.x
  42. Meeks L, Heit P, Page R.(2003). Comprehensive school health education. Mc Graw Hill
  43.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1996). Effective school health promotion: Toward health promoting schools. NHMRC Health Advancement Standing Committee.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44. Summerfield, L.M.(1995). National standards for school health education. retrieved on Oct 26. 2004. available at http://www.ericfacility.net/ericdigests/ed387483.html
  45. WHO(1997). Promoting health through schools. Report of a WHO expert committee on comprehensive school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