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c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Bijin and Yongcho Islets

비진도와 용초도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 Kim, In-Taek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Tae-Ho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ae-Eu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인택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박태호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최재은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2005.08.30

Abstract

The vegetation of Bijin and Yongcho Islets was investigated from February 1, 2000 to March 30, 2002, and forest structure was constructed. Vascular plants of this area consisted of 12 forms, 59 varieties, 476 species, 352 genera, 112 families and 37 orders. Among them, 37 species (6.8% out of the total 547 taxa) of evergreen broad leaved trees, 36 species (6.6% out of the total 547 taxa and 19.7% out of the total naturalized plants in Korea) of naturalized plants, 6 species of endemic plants and 41 species of cultivated plants were observed.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clude 1 taxa: Crypsinus hastatus ('98-4). The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9 communities (Pinus thunbergii,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Camellia japonica, Neolitsea sericea, Machilus thunbergii, Quercus variabilis, Carpinus coreana, Platycarya strobilacea,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1 afforestation (Alnus firma).

본 조사는 2000년 2월 1일부터 2002년 5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비진도와 용초도를 중심으로 식물종을 조사하고 관속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본 지역의 식생을 분석하기 위해 상재도표와 군락조성표 등을 작성하였다. 본 조사지역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37목, 112과 352속 476종 59변종 12품종으로 총 547종류가 기록되었다. 그리고 그 중 귀화식물은 메귀리, 능수참새그령, 미국개기장 등 36종류, 상록 활엽수는 모밀잣밤나무, 모람, 멀꿀, 생달나무, 육박나무, 센달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동백나무 등 36종류, 재배식물은 삼나무, 편백, 보리, 은사시나무 등 41종류, 그리고 한국특산식물은 개고사리, 풀싸리, 회양목 등 6종류가 기록되었다. '98년도 환경부 지정 보호야생식물은 고란초(Crypsinus hastatus, 98식-4) 1종류가 기록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삼림식생을 식물사회학적으로 분석, 정리한 결과 곰솔군락, 모밀잣밤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참식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억새군락, 사방오리식재림 등 총 9개 자연군락과 1개의 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상남도, 1991-2000. 통영시통계연보
  2. 김윤식, 신봉기, 정규영, 전의식. 1988. 욕지도의 식물상 조사. 고려대학교
  3. 김인택. 1988. 가조도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논문집 10(1):231-264
  4. 김인택. 1989. 칠천도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논문집 11(1): 271-317
  5. 김인택. 1996a. 북병산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6. 김인택. 1996b. 노자산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7. 김인택. 1996c. 거제남부지역 식물상. 한국생물상연구지 제1집 17-46
  8. 김인택, 이상명, 변두원. 1993a. 가덕도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5(1): 81-102
  9. 김인택, 변두원, 이상명, 오갑수. 1993b. 춘도의 식생에 관한 생태학 적 연구. 국립창원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환경연구논문집 제2집 73-89
  10. 김인택, 이상명, 송민섭. 1994. 자연생태계 지역정밀조사보고서(거제도남단). 환경부. 17-54
  11. 김준호, 조경제, 조도순, 민병미. 1984. 지심도 상록활엽수림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27(2): 51-60
  12. 류병혁. 1997. 거제도 삼림식생에 식물사회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언진. 1998. 매물도 및 인근도서 식생에 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집. 65p
  14. 백양기. 1997. 사량도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학석사학위 논문집. 81p
  15. 양인석. 1969. 거제도의 식물상. 경북대 논문집 13: 63-81
  16. 양인석, 김원. 1972. 한국남부도서에 대한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관계.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2): 11-18
  17.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624p
  18. 이우철. 1996. 한국식물명고(I, II). 2383p
  19.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990p
  20. 이창복. 1983. 한국의 특산식물과 분포. 관악수목원 연구보고. 4:71-113
  21. 이호준, 김인택, 방제용, 전영문, 강재구, 김원식. 1994. 거제도 장목만 일대의 삼림식생과 식물현존량 및 순1차생산량의 추정. 건국대학교 이학논집 19:43-78
  22. 진영규. 1998. 한산도 및 인근도서식생에 관한 생태 교육학적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환경처. 1990. '90 자연생태계 전국조사(II-3). pp. 343-386
  24. 환경부. 1998. 특정야생 동.식물화보집
  25. Braum-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p
  26.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547p

Cited by

  1. A Review of Vegetation Succession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vol.32, pp.1, 2018, https://doi.org/10.13047/KJEE.2018.32.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