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for Shorebirds on the Southernmost of Nakdong Estuary

낙동강 하구 최남단 사주의 도요.물떼새류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08.30

Abstract

Estuary islets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because they are important places for birds to rest and bre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of islets where the sand banks are located from east to west on the southernmost of Nakdong estuary during a year (September 2003 $\sim$ August 2004). The research showed that 59 species and 19,148 individuals were found in the area A (Jangja Shinja-Do) and 61 species and 28,394 individuals in the area B (Saja-Do; Beakhapdeung Doyodeung). Totally, 74 species and 47,539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both of this estuary. Shorebirds are the most observed species in both areas. In area, most of individuals were especially observed in the spring when Shorebirds migrate northward for breeding. In B area, various species were also observed in the fall when they migrate southward for wintering. Therefore, many groups of birds are observed around Shinja-Do in the spring. They passed the winter in Doyodueng, associated with feeding in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mainly. Although the southernmost sand bar is the breeding place to access to outside without interception, invasion by human beings and predators (mice, weasels and etc.) gives a fatal blow for birds to breed or rest. The reed which is a tall herbaceous plant is flourish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ecological succession. Therefore, the sand bar becomes a land. It results in reduction of habitats and breeding grounds for birds. In conclusion, these areas where birds can use the islets as habits and breeding places must be preserved by restraining luxuriance of reed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human beings and predators is necessary.

조류들이 휴식하고 번식하는 사주의 체계적인 관리가 요망되어 본 연구는 2003년 9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일년 동안 낙동강 하구의 최남단 동 서로 뻗어 있는 사주의 조류를 조사하였다. 조사 걸과 A지역(장자 신자도)에서 총 59종 19,148개체, B지역(사자;백합 도요등)에서 총 61종 28,391개체로 최남단 두 지역에서 총 74종 47,539개체가 관찰되었다. 각 지역별 종수와 개체수의 분류군별에서 도요 물떼새류는 두 지역 모두에서 가장 많은 종수가 관찰되었다. 개체수에서 A지역은 번식을 위해 북상하는 시기인 봄에 많은 개체가 관찰된 반면에, B지역은 월동지로 남하하는 시기인 가을에 다양한 종이 관찰되었다. 신자도 주변(A지역)에서 봄에 많은 무리가 관찰된 것은 섭금류가 번식을 위해 상단부 대마등과 장자도 주변의 갯벌에서 먹이를 섭취하고 신자도에서 휴식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 최남단의 사주는 일반적인 번식지와는 달리 외부와의 접근이 차단되어 있는 천혜의 번식장소임에도 불구하고, 인간 및 포식자의 침입(집쥐, 족제비 등)이 새들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입혀 먹이를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을 방해한다. 식생의 천이과정에 따라 키가 큰 초본류인 갈대가 번성하여 사주가 육역화되어 새들의 서식지와 번식지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새들이 사주의 나대지를 서식지와 번식지로 이용할 수 있는 이러한 지역들에 있어 갈대의 번성을 억제시켜 보존하는 방안과 인간과 침입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절실히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석윤, 하정수. 2001.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34(3): 268-278
  2. 박성근. 1995. 서해안의 영종도에 도래하는 섭금류의 생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1p
  3. 반용부. 1986.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과 표층퇴적물 분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6p
  4. 부산광역시. 2000. 철새도래지 생태계조사: 낙동강 하구 일원 환경관리기본계획. pp. 87-188
  5. 오건환. 1993. 낙동강 하류 철새 도래지 생태계 학술조사 보고서.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pp. 437-459
  6. 오홍식, 임인추, 김병수, 김완병, 박행신. 2002. 제주도의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류의 현황. 한국조류연구소 연구보고 8(1): 9-25
  7. 원병오, 함규황. 1985. 낙동강 하구의 조류. 경희대학교 논문집 14: 57-74
  8. 이시환, 이한수, 유정칠, 제종길, Colin Levings, 백운기. 2002.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물새류의 분포요인 및 보전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 34-45
  9. 이시환, 유정칠. 2003. 강화도 여차리 갯벌에서 먹이원에 따른 민물도요의 취식양상. 한국조류학회지 10(1): 1-16
  10.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a.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20p
  11. 이우신, 박찬열, 임신재. 2000b. 한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3(3): 273-279
  12. 홍순복. 2003. 낙동강하구의 조류상. 한국조류학회지 10(1): 51-63
  13. 홍순복. 2004. 낙동강 하류 권역별 조류군집의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7(5): 269-281
  14. 환경부. 1998. 서해안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봄, 가을 조사. 120p
  15. 환경부. 2003. 전국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부산광역시)
  16. Bibby, C.J. and N.D. Burgess. 1992. Bird Census Techniques. Acdemic Press. London. 257p
  17. Cramp, S. and K.E.L. Simmons. 1983.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tic. Vol. III.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8. Hong, S.B. 1997. Fauna of Water Birds and Breeding Behavior of Little Tern and Kentish Plover in the Nakdong Estuary, R. O. Korea. D. Thesis, Hokkaido Univ. Hokkaido
  19. Hong, S.B., Y.T. Woo and S. Higashi. 1998. Effects of clutch size and egg-laying order on the breeding success in the Little Tern Sterna albifrons on the Nakdong Estuary, Republic of Korea. Ibis 140: 408-414 https://doi.org/10.1111/j.1474-919X.1998.tb04601.x
  20. Howard, R. and A. Moore. 1994. A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2nd ed. Academic Press, London
  21. Kalejta, B. 1992. Time budgets and predatory impact of waders at the Berg River Estuary, South Africa. Ardea 80: 327-342
  22. Kawaji, N., S. Shiraish and H. Hayashi. 1978. Birds on the north coast of the sea of Ariake: Seasonal changes in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n the representative birds. Yamashina Inst. Bull. 10: 82-93 https://doi.org/10.3312/jyio1952.10.82
  23. Kim, K.H. and G. van Houweninge. 1983. The Nakdong estuary barrage and land reclamation project. Wat. Sci. Technolo., 16 : 207-222
  24. Thompson, W.L., G.C. White and C. Gowan. 1998. Monitoring Vertebrate Populations. Academic Press. 233 p
  25. Yi, J.Y., J.C. Yoo and P.O. Won. 1994. Foraging behavior and energy intake of premigratory Australian Curlews Numenius madagascariensis on Kanghwa Island, Korea. Kor. J. Orni. 1: 1-13
  26. Zwarts, L. 1988. Numbers and distribution of coastal waders in Guinea-Bissau. Ardea 76: 4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