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Bacterial Population in the Artificial Lake Geumgang Near Estuary Barrage

금강 하구둑 인근에서 미생물군집의 특성

  • Bae, Myoung-Sook (Faculty of Science & Techn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hk-Hwan (Faculty of Science & Techn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Choi, Gang-Guk (Environmental Biotechnology Laborator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
  • Lee, Keun-Kwang (Department of Skin and Beauty Arts, Naju College) ;
  • Lee, Geon-Hyoung (Faculty of Science & Techn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배명숙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기술학부) ;
  • 박석환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기술학부) ;
  • 최강국 (한국생명공학원 환경생명공학연구실) ;
  • 이근광 (나주대학 피부미용과) ;
  • 이건형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기술학부)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The monthly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 in the artificial Lake Geumgang near estuary barrage. Sixty heterotrophic bacteri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by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of 16S rDNA. Water temperature, pH, and inorganic nutrients($NH_4$-N, $NO_2$-N, $NO_3$-N, $PO_4$-P) were measured. Concentrations of DO, BOD, and inorganic nutrients were lower than in the middle-stream of Geum river The population densit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total coliforms varied from $4.1{\pm}1.0\times10^2$ to $6.7{\pm}1.1{\times}10^3\;cfu\;ml^{-1}$, and 0 to $2.3{\pm}0.6{\times}10^2\;cfu\;ml^{-1}$, respectively. Among the measured numbers of physiological groups of bacteria, cellulolytic bacteria showed higher population densities than those of other physiological groups.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was analysed based on 16S rDNA partial sequencing. Among 60 isolates, dominant genus was Pseudomones (20 strains).

금강호에서 이화학적 수질과 미생물학적 수질을 월별로 측정하고, 조시기간 중 분리된 60균주에 대하여 16S rDNA를 증폭하고 부분석인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하여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하였다. 측정 결과 조사기간 중 수온은 $2\sim30.8^{\circ}C$, pH $3.9\sim9.14$, DO는 $5.04\sim14.95\;mg\;l^{-1}$의 범주에서 변화하였다. BOD와 무기영양염류($NH_4$-N, $NO_2$-N, $NO_3$-N, $PO_4$-P)의 농도는 금강 중류지역에 비해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냈다. 종속영양세균과 총대장균군의 균체수 변화는 각각 $4.1{\pm}1.0{\times}10^2\sim6.7{\pm}1.1\times10^3\;cfu\;ml^{-1}$$0{\sim}2.3{\pm}0.6{\times}10^2\;cfu\;ml^{-1}$의 범주에서 변화하였다. 생리적 특성균으로 단백질 분해 세균, 전분 분해 세균, 지방분해 세균 및 셀룰로스 분해 세균의 분포를 측정하였다. 조사기간 중 셀룰로스 분해 세균이 다른 생리적 특성균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다. 분리된 60 균주는 16S rDNA 분석 결과 우점속은 Pseudomonas 속 20 균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용, 최청일. 1988. 영산호의 식물플랑크톤 현종량. 한국조류학회지 3(2): 183-192
  2. 김기성, 이우범, 주현수, 이제철, 조재위, 전순배, 이성우, 박종천. 2000. 강진만 생태계에서의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군집의 계절적 분포. 미생물학회지 36: 285-291
  3. 김명, 전은형, 안태영. 2003. 삽교호의 세균 다양성과 계통분류학적 분석. 미생물학회지 39: 272-276
  4. 김원진, 이혜주. 1998. 낙동강 하구의 환경요인 및 미생물 분포. 한국육수학회지 31(1): 25-31
  5. 권용훈, 장재철. 1997. 금강호의 이화학적 수질환경에 관한 탐구. 군산대학교. 기초과학 논문집 12: 37-47
  6. 남귀숙, 손형식, 차미선, 조순자, 이광식, 이상준. 2003. 이화학적 수질인자가 부영양화된 마산저수지의 세균분포에 미치는 영향. 미생물학회지 39: 95-101
  7. 민경희, 최순영, 허성남, 유재근. 1999. 팔당호의 생태학적 수질환경의 변화와 미생물 분포.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0: 33-45
  8. 이건형. 1986. 금강하구 퇴적토에서의 종속영양세균의 분포와 부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0 p
  9. 이건형, 이영옥, 이규춘. 1991. 만경강하류 생태계에서의 종속영양 세균의 계절적 분포와 이화학적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24: 27-25
  10. 이종태, 이진일, 남윤규, 한규옹. 1999. 금강수계 농업용수의 수질. 한국환경농학회지 18: 122-125
  11. 이기성, 고동규, 박영식, 최청일, 최영길. 1995. 대청호 및 금강수역의 유기물 분해능과 오염의 신호지표. 환경생물학회지 13: 24-44
  12. 장윤경, 전숙례. 1996. 아산호 수환경의 연 변화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 논문집 7: 63-69
  13. 최청일, 정영호. 1985. 영산호의 육수학적 연구(I). 하구에 새로이 형성된 호수의 일반적 그리고 물리적 환경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18(3): 15-26
  14. 한석균, 이일규, 안태영. 1998. 16S rRNA 유전자 계통분석에 의한 한강수계의 세균 다양성. 미생물학회지 34: 194-199
  15. APHA-AWWA-WPCF.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 18th. (ed.) APHA, AWWA, WPCF, Washington D.C
  16. Brock, T.D. 1997. Microbial activities in nature. In Biology of Microorganisms (8th ed.). Prentice-Hall, Inc., Engle Wood Cliffs, New Jersey. pp. 406-456
  17. Choi, C.H., K.W. Han, J.Y. Cho, J.C. Chun and S.J. Kim. 2000. Pollutant loading and changes of water quality at the Namdae-cheon watershed in Keum river districts. Kor. J. Environ. Agric. 19(1): 26-31
  18. Gerhardt P.M., W.A. Wood and N.R. Krieg. 1994. Methods for general and molecular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
  19. Joung P.M., K.S. Shin, J.S. Lim, I.S. Lee and S.J. Park. 2001. Diversity of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communities on plant leaves in the industrial area and the natural forest area based on 16S rDNA. Kor. J. Microbiol. 37: 265-272
  20. Jung, J.B., B.J. Kim, and J.K. Kim. 1997a. Water pollution in agricultural areas along Nakdong River. Korean J. Environ. Agric. 16: 187-192
  21. Jung, Y.S., Y.K. Yang, Y.S. Park, M.H. Choi, and S.C. Choi. 1997b. Water quality of streams and agricultural wells related to agricultural practices in small catchments of the Han Basin. Korean J. Environ. Agric. 26: 199-205
  22. Wagner, M., R. Amann, H. Lemmer, and K.H. Schleifer. 1993. Probing activated sludge with oligonucleotides specific for Proteobacteria: Inadequacy of culture-dependent methods for describing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ppl. Environ. Microbiol. 59: 1520-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