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ioration Assessment for Conservation Sciences of the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Buyeo, Korea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보존과학적 풍화훼손도 평가

  • Kim, Yeong-Taek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Myeong-Seo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김영택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명성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rocks of the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Jeongrimsaji temple site are 149 materials in total with porphyritic biotite granodiorite. They include pegmatite veinlet, basic xenolith and evenly developed plagioclase porphyry. This stone pagoda has comparably small fracture and cracks which are farmed in the times of rock properties, but surface exfoliation and granular decomposition are in process actively since the rocks are generally weakened from the influence of air contaminants and acid rain. Structural instability of constituting rocks in the 4th roof materials are observed to occur from distortion and tilt. Such instability is judged to threat stability of the upper part of the stone pagoda. Also, chemical weathering is operating even more as the contaminants, ferro-manganese hydroxides eluted from water-rock interaction on the rock surface. Most of the rock surface is covered with yellowish brown, dark black and light gray contaminants, and especially occur in the lower part of the roof rocks on each floor. The roof underpinning rocks are severe in surface pigmentation from manganese hydroxides and light gray contaminants. The surface of rocks lives bacteria. algae, lichen, or moss and diverse productions in colors of light gray, dark Bray and dark green. Grayish white crustose lichen grows thick on the surface with darkly discolored by fungi and algae in the first stage on basement rocks, and weeds grows wild on the upper part of each roof rocks. This stone pagoda must closely observe the movements of the upper part rock materials through minute safety diagnosis and long term monitoring for structural stability. Especially since the surface discoloration of rocks and pigmentation of secondary contaminants are severe, establishment of general restoration and scientific conservation treatment are necessary through more detailed study for this stone pagoda.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반상 흑운모 화강섬록암으로 총 149매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구성암석은 페그마타이트 세맥과 염기성 포획암을 함유하고 있으며, 사장석의 반상조직이 고르게 발달되어 있다. 이 탑은 부재의 탈락 및 파손이탈은 많지 않으나 대기오염과 산성비의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석질이 약화되어 표면박리와 입자박락이 왕성하게 진행 중이다. 석탑의 4층옥개석을 구성하는 부재는 뒤틀림과 이격으로 인해 구조적인 불균형이 관찰된다. 이 불균형은 석탑 상층부의 안정성에 위협을 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암석의 용해반응으로 용출된 철과 망간산화물의 오염물질이 부재의 표면에 침착되어 화학적 풍화작용을 가중시키고 있다. 석탑의 거의 모든 표면은 황갈색, 암흑색 및 회백색 오염물로 피복되어 있으며, 특히 각층의 옥개석 하단부와 옥개받침에서 망간산화물과 회백색 침전물에 의한 표면착색이 심각하다. 부재의 표면에는 균류, 조류, 지의류나 선태류들이 기생하면서 연회색, 암회색 덴 암흑색 등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인다 .기단부에는 일차적으로 균류와 조류에 의해 검게 변색된 표면 위를 회백색 고착 지의류가 밀생하고 있으며, 각층 옥개석의 상부에서는 수근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석탑은 구조적인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해 정밀안전진단과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상층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거동을 면밀하게 검토해야 말 것이다. 특히 부재의 표면변색과 이차오염물질의 침착현상이 심각하여 정밀진단을 통한 종합적 보존방안의 수립과 임상실험을 통한 과학적 보존수복을 실시해야 한다.법성과 적법성 문제에 대한 갈등을 기본 서사구조로 제시한 채, 노동계를 포함한 시민사회와 정부기관이 대립적인 행위자로 등장했다. 사건의 갈등 해소 단계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두 신문이 대통령과 야당 지도자간의 정치적 해결과 노동법 통과에 대한 위헌론 제기를 중심으로 한 노동단체들의 지속적인 연대를 중심 서사구조로 각각 제시했다. 이 시기에서 주요 행위자들의 대립관계는 종료되었다. 조응분석 결과, 사건 발생과 위기 고조 단계, 그리고 갈등 해소 단계등 모든 시기에서 두 신문의 주요 행위자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 조선일보는 기본적으로 총파업을 둘러싼 문제의 구성과 발전, 해소 과정에서 정당이나 대통령, 야당 지도자 등과 같은 정치관련 행위자를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에, 한겨레는 대체로 로든 사건진행 단계에서 노동 관련 단체들과 시민단체의 역동적인 연대와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술 후 24시간에 599.4$\pm$145.6, 678.8 $\pm$256.4였다(t-test, p < 0.05). 동종 수혈은 RAP군에서 34명 중 7명에서(20.6$\%$), 대조군에서는 46명중 16명에서(34.8$\%$) 시행되어, RAP군에서 유의하게 빈도가 낮았다(Chi-square test, p < 0.05). 결론: 역행성 자가 충전법은 심폐바이패스의 충전에 의한 혈액희석을 최소화함으로서, 개심술 후 출혈과 동종수혈을 또한 줄이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화, 홍순호 (1990) 풍화현상에 수반되는 화강암의 물성변화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23권, p. 221-232
  2. 김정환, 이제용, 기원서 (1994) 백악기 부여분지의 구조적 진화. 지질학회지, 30권, p. 182-184
  3. 남기상, 조규성 (1993) 암석의 풍화에 따르는 주요성분의 상대적 이동. 광산지질, 26권, p. 67-81
  4. 대전지방기상청 (2005) 기후자료. 부여, http://www.daejeon.kma, go.kr
  5. 문화재관리국 (1985) 한국의 고건축 7. 문화재관리국, p. 4-19
  6. 민경희 (1985) 하등식물의 석조문화재에 미치는 영향. 보존과학연구, 6권, p. 1-11
  7. 민경희 (2000) 석조문화재의 생물학적 훼손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2권, p. 10-12
  8. 윤무병 (1981) 부여정림사지발굴조사보고서. 충남대학교 박물관, p. 15-39
  9. 이찬희, 서만철 (2002) 대원사 다층석탑의 지질학적 및 암석학적 안전진단. 자원환경지질, 35권, p. 355-368
  10. 이찬희, 최석원, 한경순, 원경식 (2001) 경주 석악동 삼존불 입상의 기계적 훼손과 보존과학적 접근. 지질학회지, 37권, p. 611-627
  11.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최석원, 김만갑 (2004a) 감은사지 서탑의 풍화훼손도 진단 및 석재의 산지추정. 자원환경지질, 37권, p. 569-583
  12. 이찬희, 김석덕, 한병일, 김영택, 이명성 (2004b) 진천 태화4년명 마애블의 풍화훼손도 평가와 보저처리. 보존과학회지, 16권, p. 39-51
  13. 장태우, 황재하 (1980) 논산도폭 지질보고서 (1:50,000). 자원개발연구소, p. 15-17
  14. 조선총독부 (1916) 조선고적도보 4. 경인문화사, p. 1413-1414
  15. 홍사준 (1964)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미술사학연구, 47권, p. 533-534
  16. Ashurst, J. and Dimes, EG. (1998) Conservation of building and decorative stone. Butterworth-Heinemann Publications, Oxford, p. 1-254
  17. Banfield, J.E and Eggleton, R.A. (1990) Analytica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tudies of plagioclase, muscovite and K-feldspar weathering. Clay and Clay Minerals, v. 38, p. 77-89 https://doi.org/10.1346/CCMN.1990.0380111
  18. Bock, E. and Koops, H.-R (1992) The genus nitrobacter and related genera. The Prokaryotes, Springer-Verlag, New York, p. 2302-2309
  19. Fidler, J. (2002) Stone building, construction and associated component system: their decay and treatment. English Heritage Research Transactions, v. 2, p. 1-104
  20. Govindaraju, K. (1989) Compilation of working values and samples description for 272 geostandards. Geostandards Newsletter, v. 13, p. 1-113
  21. Hoke, G.D. and Turcotte, D.L. (2004) The weathering of stones due to dissolution. Environmental Geology, v. 46, p. 305-310
  22. Lee, C.H., Choi, S.W. and Suh, M. (2003) Natural 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granite standing Buddha of Daejosa Temple, Republic of Korea. Geotechnical and Geological Engineering, v. 21, p. 63-77 https://doi.org/10.1023/A:1022935923851
  23. Lee, C.H., Lee, M.S., Suh, M. and Choi, S.W (2005) Weathering and deterioration of rock properties of the Dabotap pagoda (World Cultural' Heritage),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al Geology, v. 47, p. 547-557 https://doi.org/10.1007/s00254-004-1177-y
  24. Lee, S.G. and De Freitas, M.H. (1989) A revision of the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weathered granite and its application to granites in Korea. Qua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 22, p. 31-48 https://doi.org/10.1144/GSL.QJEG.1989.022.01.03
  25. Lisci, M., Monte, M. and Pacini, E. (2003) Lichens and higher plants and stone: a review.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v. 51, p. 1-17 https://doi.org/10.1016/S0964-8305(02)00071-9
  26. May, E., Lewis, EJ., Pereira, S., Seaward, M.R.D. and Allsopp, D. (1993) Microbial deterioration of building stone - a review. Biodeterioration Abstracts, v. 7, p. 109-123
  27. Nesbitt, H.W and Young, G.M. (1982) Early Proterozoic climates and plate motions inferred from major element chemistry of lutites. Nature, v. 299, p. 715-717 https://doi.org/10.1038/299715a0
  28. Nesbitt, H.W. and Young, G.M. (1984) Prediction of some weathering trends of plutonic and volcanic rocks based on thermodynamic and kinetic considerations. Geochem. Cosmochem. Acta, v. 48, p. 1523-1534 https://doi.org/10.1016/0016-7037(84)90408-3
  29. Nockolds, S.R. and Allen, R. (1954)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v. 65, p. 1007-1032 https://doi.org/10.1130/0016-7606(1954)65[1007:ACCOSI]2.0.CO;2
  30. Price, C.A. (1996) Stone conservation. An overview of current research.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31. Reiche, E (1943) Graphic representation of chemical weathering of rock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 13, p. 58-68
  32.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Blackwell, Oxford, 312p
  33. Young, M.E. and Urquhart, D.C.M. (1998) Algal growth on building sandstone: effects of chemical stone cleaning methods.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 31, p. 315-324 https://doi.org/10.1144/GSL.QJEG.1998.031.P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