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열대야 현상 발생의 시.공간적 특징과 최근의 변화

Spatial-Temporal Patterns and Recent Changes of Tropical Night Phenomenon in South Korea

  • 최광용 (미국 럿거스 뉴저지주립대학교 지리학과) ;
  • 권원태 (기상청 기상연구소 기후연구실)
  • Choi, Cwangyong (Department of Geography,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
  • Kwon, Won-Tae (Climate Research Laboratory,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발행 : 2005.12.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야간의 시간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열대야 현상의 평균적인 시${\cdot}$공간적 패턴과 기후인자와의 관련성 그리고 최근의 변화경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간(1973-2004) 우리나라 61개 관측지점의 야간 6시간별(9PM, 3AM) 기온 및 일 최저기온 자료를 바탕으로 각 시간대별 열대야 현상의 평균 발생빈도를 산출하였다. 시간적으로, 우리나라 열대야현상은 연중 여름철 장마휴지기(7월 하순-8월 초순)에 집중하여 발생하며, 저녁(9PM)열대야 현상이 심야(3AM)나 새벽열대야 현상에 비해 많이 발생한다. 공간적으로, 저녁열대야 현상이 도시열섬 현상으로 저위도 내륙의 대도시에서 많이 발생하는 반면, 심야열대야 현상과 새벽열대야 현상은 따뜻한 해양의 열 관성의 영향을 받는 해양으로부터 30km이내 해안가 지역을 따라서 많이 발생한다. 대조적으로, 저녁(새벽)열대야 현상은 고도상승에 따른 기온감률 때문에 태백${\cdot}$소백 산맥의 해발고도가 800m(300m)이상이 되는 고지대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결과, 위도, 해발고도, 해양과의 인접성, 인구밀도 등의 자연적${\cdot}$인위적 기후인자는 야간에 시각에 따라 열대야 현상의 발생빈도에 다양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1990년 이후에는 이전에 비하여 늦장마 시기의 변화와 도시화의 심화로 인해 열대야 현상의 발생빈도가 주로 대도시를 중심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차후에는 인위적으로 증가하는 도시열대야 현상을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relationships between climatic factors and spatial-temporal patterns and recent changes of tropical night phenomenon(TN) occurring through nighttime stages in South Korea. Frequencies of daily TN at different times of night are extracted from long term(1973-2004) 6 hourly nighttime(9PM and 3AM) temperature and daily minimum temperature data at 61 weather stations. Temporally, the occurrences of TN are more pronounced in the evening(9PM) and during the Changma Break period(late July - early August). Spatially, the TNs in the evening frequently occur in the urbanized inland cities at low latitudes due to urban heat islands, whereas the TNs in the middle of night(3AM) or at dawn frequently appeared along the coastal areas within 30km from ocean due to the thermal inertia of ocean. By contrast, the evening(dawn) TN is not seen in the highlands whose elevation is greater than 800m(300m) along the Taebaek and Sobaek mountain ridges due to temperature lapse rates with height Correlation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reveal that the impacts of human or physical climatic factors, such as latitude, elevation, proximity to ocean, and population density, are diverse on the frequencies of TN according to nighttime stages. Recent temporal changes of the late Changma period and intensified urbanization during the 1990s have increased the occurances of TN in urban areas. Therefore, strategies to mitigate the increasing urban TN should be prepared in the near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용규, 1984, '한국 주변 해양 표면 수온의 계절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9(1), 31-35
  2. 기상연구소, 2001a, 한국기후도 1971-2000, 기상청
  3. 기상연구소, 2001b, 온실가스 저감 기술 개발 사업: 기후변화 시그널 검출 기술 개발, MR-J.CG-01-B-29
  4. 기상연구소, 2004, 한국의 기후, MR044C30
  5. 김연옥, 1999, 기후학 개론(개정), 정익사
  6. 김용상, 홍성길, 1996, '늦봄 또는 초여름에 영동지방에서 나타나는 유사푄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2(4), 593-600
  7. 김해구, 민경덕, 김경익, 이광목, 1997, '한반도 하계 이상 저온과 북반구 대기 순환의 특성 제 1부: 이상저온의 출현과 종관 개요,' 한국기상학회지, 33(1), 138-154
  8. 김해구, 민경덕, 윤일희, 문영수, 이동인, 1998, '1987년과 1994년에 일어난 하계 이상 고온의 특징,' 한국기상학회지, 34(1), 47-64
  9. 박병익, 1996, '한국의 하계 기온 분포형과 냉하형에 관하여,' 지리교육논집, 35, 14-22
  10. 이병설, 김성삼, 1983, '장마계의 종관적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19(1), 1-11
  11. 이장렬, 1977, '남한에 있어서 하계 일 최고기온의 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지리학과 지리교육, 7, 43-65
  12. 이현영, 2000, 한국의 기후, 법문사
  13. 최광용, 최종남, 권호장, 2005, '높은 체감온도가 서울의 여름철 질병 사망자 증가에 미치는 영향 1991-2000,' 예방의학회지, 38(3), 283-290
  14. 최광용, 최종남, 김종욱, 2000, '20세기 한반도 중부지방의 여름철 기온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5(4), 519-528
  15. 최광용, 최종남, 김종욱, 손석우, 2002, '남한의 체감 무더위의 기후학,' 대한지리학회지, 37(4), 385-402
  16. 최영은, 2004, '한국의 극한 기온 및 강수 사상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9(5), 711-721
  17. 최효, 2004, '산악 연안 도시에서 열대야(야간고온),' 한국환경과학회지, 13, 965-985
  18. 통계청, 1991,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19. 한국 일보 2005년 7월 25일자
  20. 행정자치부, 2005, 2005년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구역 및 인구현황(2005.1.1현재)
  21. Bonsal B.R., Zhang X., Vincent L.A., and Hogg W.D., 2001, Characteristics of daily and extreme temperatures over Canada, Journal of Climate, 14, 1959-1976 https://doi.org/10.1175/1520-0442(2001)014<1959:CODAET>2.0.CO;2
  22. Colombo T., Pelino V., Vergari S., and Bonasoni P., 2005, A study on detection of climate variations over Italy based on surface instrumental observations, Global and Planetary Change (submitted)
  23. Easterling D.R., Horton B., Jones P.D., Peterson T.C., Karl T.R., Parker D.E., Salinger M.J., Razuvayev V., Plummer N., Jamason P., and Folland C.K., 1997,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trends for the globe, Science, 277, 364-367 https://doi.org/10.1126/science.277.5324.364
  24. Gaffen D.J., and Rebecca J.R., 1998, Increased summertime heat stress in the U.S., Nature, 396, 529-530 https://doi.org/10.1038/25030
  25. Gaffen D.J., and Ross R.J., 1999, Climatology and trends of U.S. surface humidity and temperature, Journal of Climate, 12(3), 811-828 https://doi.org/10.1175/1520-0442(1999)012<0811:CATOUS>2.0.CO;2
  26. Ho C.-H., Lee J.-Y., Ahn M.-H., and Lee H.-S., 2003, A sudden change in summer rainfall characteristics in Korea during the late 1970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1), 117-128 https://doi.org/10.1002/joc.864
  27. Landsberg H.E., 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NY: Academic Press
  28. Oliver J.E., and Hidore J.J., 2002, Climatology: an atmospheric science(2nd ed.), Prentice Hall
  29. Vana M., and coauthers, 2001, Quality of the natural environments in the Czech Republic at the regional level, Czech Hydrometeolological Institution
  30. Oke T.R., 1987, Boundary Layer Climate(2nd ed.), Routledge
  31. Sakakibara Y., and Owa K., 2005, Urban-rural temperature differences in coastal cities: influence of rural sit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5(6), 811-820 https://doi.org/10.1002/joc.1180
  32. Shimoda Y., 2003, Adaptation measures for climate change and the urban heat island in Japan's built environment,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31(3-4), 222-230 https://doi.org/10.1080/0961321032000097647
  33. Wang J.X.L., and Gaffen D.J., 2001, Late-twentiethcentury climatology and trends of surfacel humidity and temperature in China, Journal of Climate, 14(13), 2833-2845 https://doi.org/10.1175/1520-0442(2001)014<2833:LTCCAT>2.0.CO;2
  34. Zhai P.M., Sun A., Ren F, Liu X., Gao B., and Zhang Q., 1999, Changes of climate extremes in China, Climatic Change, 42, 203-218 https://doi.org/10.1023/A:1005428602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