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ried Female Teachers' Family Strengths and Teacher-Efficacy

기혼 여교사의 가족건강성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 Jeong Hye-Young (Major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 ;
  • Oh Yoon-Ja (Major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
  • 정혜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 ;
  • 오윤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교육)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s and teacher-efficacy among married female teach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value of family strength was 3.98 on a five-point Likert scale, which meant that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having a relatively high-level of family strength. Second, the average value of leather-efficacy was 3.14 on a five-point Likert scale, which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own efficacy were also relatively high.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affected the level of the family strength, whereas the leather-efficacy was affected by age, years in teaching, duration of marriage, and the age of the eldest child. Finall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ir techer-efficacy were positive communication, social connectedness, and the age of the eldest child.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희(1989). 대도시 기혼 여고사의 가정생활과 학교생활과의 갈등상황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통계연보(2003).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
  3. 강성희(1989). 대도시 기혼여교사의 가정생활과 학교생활과의 갈등상황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구혜령(1991). 전문직 취업주부의 역할갈등과 갈등대처 전략.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명순(2002). 기혼 여교사의 다중역할과 직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진(2003).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아영 . 김미진(2004).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8(1), 37-58
  8. 김연화(2002) 도시 부부 생활 예절 수행, 가족체계 역동성, 심리적 복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영상(1999) 교사의 효능감 판단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17(1)
  10. 김유숙(1998).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11. 김인숙(2000). 초등 여교사의 승진욕구와 직무만족의 관계분석.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판갑(2003). 초등학교 여교사의 교직문화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홍경(2001) 중등 기혼 여교사의 가정 내 역할과 직무 수행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권대희(200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 존중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남경우(1997). 취업주부의 역할갈등과 취업 중단의사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관성(1999)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를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영신 . 김의철 공역(2001).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건강.운동.조직에서의 성취/Albert Bandura 저. 서울: 교육과학사
  18. 박회자(2003) 기혼 여교사가 지각하는 다중역할 갈등과 그 해소 방안 탐색.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반여기(1996). 기혼 여교사의 역할기대 및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서병숙(1994) 건전가정 육성을 위한 실천적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75-279
  21. 송인록(2002).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및 교수효과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심순아(2004). 중등 기혼 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심영택(1999). 초등학교장의 수업지도성과 교사효능감 및 교수 효과성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안용자(2000). 배우자의 특성에 따른 기혼 여교사의 역할 갈등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유영주(2001) 건강가족연구. 서울:교문사
  26.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5), 119-152
  27. 유계숙(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5), 25-42
  28. 윤정숙(1992). 국민학교 여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경민(2001). 여교사의 자존감과 삶의 만족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경희(2004). 중등 기혼 여교사의 다중역할 갈등.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민선(2000). 기혼 여고사의 생활사건에 의한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양옥(2004). 전남지역 초등 여고사의 승진 저해요인 분석.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연화(2002). 초등학교 여교사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34. 어은주 . 유영주(1997). 한국 도시 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 연구: 자녀 교육기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69-285
  35. 이정연 . 이창숙(2004). 논어에 나타난 건강가족적 함의.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89-200
  36. 이진숙(1992). 기혼여교사의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행태 분석.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현정(1998). 교사효능감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미경(2001). 초등학교장의 갈등관리전략과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임성택(1996). 교사의 특성과 학급경영방식 변인으로서 교사의 효능감. 교육연구정보, 24, 84-86
  40. 임현지(2003). 초등교사 효능감과 전문적 역할수행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장병옥(1997). 취업주부의 부부역할수행, 가정생활기여도 및 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장혜경 . 김영란(1998)
  43. 전영자(1992). 전문직 취업주부의 역할갈등, 대처방안,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정방자 . 최경희(1995). 건강한 부모-자녀관계를 위한 정신역동적 연구. 영남대학교 학생연구, 1-12
  45. 정주희(2003).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교사효능감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옥희(2004).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지영숙 . 이영호(1996) 한국 가정의 건전도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232-249
  48. 진선미(1997). 교사가 지각한 교사효능감과 문답과정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최동선(1996).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 건강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최선희(1999). 한국인의 가족 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한국가족관계 학술대회 자료집(2004). 건강가족문화 확산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활성화 방안. 2004년 한국가족관계학회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52. 홍계옥(2000). 여교사 직무의 실태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홍승규(1997). 초등학교 교사의 효능감과 학생들과의 대인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Anderson, R, Green, M. & Loewen, P.(1988).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thinking skill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Albert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4(2), 148-165
  55. Ashton, P. T.(1984) Teacher efficacy: A mdticvatinal pardigome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9
  56. Ashton, P. T. & Webb, R. B.(1986). Making a difference: Teacher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NY: Longman
  57. Bandura, A.(1986) Sei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3
  58. Beavers, W. R. & Hampson, R B.(1990). Successful families. NY: Norton
  59. Boyer, E. L.(1983) Teacher- Renewing the profession. In high school: A report on secondary education in America New York: Harper & Row, 154-185
  60. Bloom, B. L.(1985) A factor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family functioning. Family Process, 24, 225-239 https://doi.org/10.1111/j.1545-5300.1985.00225.x
  61. Casas, C, Stinnett, N., DeFrain, J., Williams, R & Lee, P.(1984) Latin American family strengths. Family Perspective, 18, 11-17
  62. Fisher, B. L. & Sprenkle, D. H.(1978) Therapists' perception of healthy family functioning. Int. Journal of Family Counseling, 29
  63. Gibson, S. & Dembo, M. D.(1985)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d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459-582
  64. Hoy, W. K. & Miskel, C. G.(1991)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NY: Mcgraw-Hill
  65. Moor, W. & Esselman, M.(1992). Teacher efficacy, power, school climate and achievement: A desegregating district's experi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66. Olson, D. H. & DeFrain, J.(2003) Marriage and the families: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4th). Mountain View, CA: Mayfield Publishing Co
  67. Ross, J. A.(1992). Teacher efficacy and the effect of coaching on student achievement,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 17(1), 51-65 https://doi.org/10.2307/1495395
  68. Stinnett, N. & DeFrain, J.(1985).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le, Brown
  69. Stinnett, N. & Sauer. K. H.(1977).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tro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s, 11, 3-11
  70. Walsh, F.(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Y: Guilford Press
  71. Woolfolk, A. & E, Hoy. W.(1990) Prospective teacher's efficacy and belief about contro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81-89 https://doi.org/10.1037/0022-0663.82.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