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oposal of Cohousing for Dual Income Families in Korea - on the Basis of Interview and Mimic Test -

맞벌이 가족을 위한 코하우징 제안 -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와 모의실험을 기초로 -

  • Hahn Joo-Hee (Division of Consumer & Housing Studies, Faculty of Human Ec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Choi Jung-Shin (Division of Consumer & Housing Studies, Faculty of Human Ec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한주희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 주거학) ;
  • 최정신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소비자 주거학)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duce the burden of household management and the difficulty of rearing children, which are two most important obstacles for a dual-income family. For this, we suggested a cohousing project, as an alternative concept to conventional housing, where people can soci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share mutual cooperation for a better quality of life. We surveyed the lifestyle of dual-income families in Korea, how they understood the cohousing project and their opinions on it. We carried out a survey with the wives from dual income families who wer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including Seoul. We contacted 30 wives for the survey to determine the reality of the double income couple family and interviewed them to make a detailed plan for cohousing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and needs. In the results, many women who responded to the interview agreed that cohousing was an ideal housing arrangement for the dual-income family. However, they were anxious that it would take too much time and effort to develop their own housing estate by themselves. Therefore, we looked for a way to save time, efforts and cost in developing a cohousing project and came up with the remodeling as a solution.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주택단지 견학회(2002). 한국주거학회 춘계견학회 자료집
  2. 김남효(2003). 리모델링과 실내건축. 한국실내건축가 협회지, 통권 59, 70-75
  3. 김상희(2000). 한국에서의 거주자 참가형 주택 개발의 방향. 경남대 교육문제연구소. 교육이론과 실천, 10(2), 303-321
  4. 김상희(2001). 거주자 참여형 주택개발을 위한 주의식 조사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2(2), 13-23
  5. 김수경(1999). 중산층 맞벌이 가족의 주거요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수경, 정유선, 윤정숙(2002). 한.일 취업주부의 가사생활 실태 및 주거요구 비교.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3(1), 1-9
  7. 남궁서영(2001). 코하우정의 공동생활시설 계획.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1999.5). 가사.생활일체 및 재택근무형 주택개발 연구. 대한주택공사
  9. 대한주택공사(2004). 주택통계편람
  10. 문숙재, 김순미, 윤소영(1996). 취업여성의 노동중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6), 99-112
  11. 신용재(2001), Cohousing 에서 추구하는 프라이버시와 커뮤니티의 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2(1), 45-55
  12. 신혜경(1991). 여성학적인 접근방법으로 본 도시여성 환경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경희(2000). 공동주택 개발에 있어서 서구의 협동주택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2), 185-202
  14. 이옥경(2001). 한국의 노인용 코하우정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임윤희(2002). 코하우정의 공동육아환경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지영, 小林秀樹(2004). 日本의 다세대형 Co-housing의 Common Space 에 관한 거주자 참가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4(2), 55-58
  17. 제갈진(2004).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Aging in Place 개념으로서의 노인용 코하우정 계획안.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성은(1997).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조인숙(2004). 코하우정 계획을 위한 전문가 의식조사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23-128
  20. 주거학연구회(2000). 세계의 코하우징. 교문사
  21. 주택법시행령개정령안(2002). 건설교통부, 116-118
  22. 주택통계편람(2004). 대한주택공사
  23. 채로, 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24. 천현숙(2003). 아파트 주거 확산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7, 72
  25. 최정신(1999, 10). 이웃끼리 어울려 사는 미래주거의 새로운 대안, 주택저널, 102-107
  26. 최정신(2003). 덴마크 자치관리모텔 노인용 코하우징의 디자인 특성. 대한가정학회지, 41(4), 1-19
  27. 최정신(2003). 제3의 연령대를 위한 고령화 사회에의 도전: 스칸디나비아의 노인용 코하우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47(6), 55-63
  28. 최정신(2003). 스칸디나비아 노인용 코하우징 주민의 이주동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2), 129-138
  29. 최정신(2004). 한부모가족의 생활지원 주거대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29-138
  30. 최정신, 한주희(2003.10). 거주자참여에 의한 코하우징 디자인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34
  31. 최정신, 한주희(2004. 11). 맞벌이 가족의 코하우징 계획을 위한 조사(1).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111-116
  32. 최정신, 한주희(2004. 12). 수도권 주부의 취업유무에 따른 가사작업수행과 코하우징 요구의 차이. 대한가정학회지, 42(12), 175-190
  33. 통계청(200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제 9권. 주거실태편
  34. 통계청(2000).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제11권. 여성.아동편
  35. 한국여성개발원(1984). 현대가정과 자녀교육. 한국여성개발원
  36. 한국여성개발원(1998). 취업주부의 역할분담과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37. 한국여성개발원(2002). 제4차 여성의 취업실태조사. 한국여성개발원
  38. 한국여성학회(1996). 생활문화에 대한 여성학적 고찰. 한국여성학회 제12차 춘계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73-103
  39. 홍서정(2004). 한국 농촌형 코하우징 계획에 대한 연구. 가툴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홍형옥(1995). 인간과 주거. 문운당
  41. 홍형옥, 이경희, 김대년, 최정신, 조재순, 권오정(2003). 2020년 노인의 주거환경을 전망한다. 미래인력 연구보고서
  42. Betty Carter & Monica McGoldrick, 정문자 역(2003). 가족생활주기와 치료적 개입, 중앙적성출판사, 33
  43. Fromm, D. (1991). Collaborative Communities. Van Nostrand Reinhold
  44. Jung-Shin Choi (2004). Perceptions of Senior Cohousing amongst Korean 50s Living in Seoul Area, ENHR 2004, 2-15
  45. Jung-Shin Choi, Jan Paulsson (2003). A Study of Life and Physical Environment of Senior Coho using in Scandinavian Countries The Stockholm Symposium on Nordic Studies, 55-73
  46. Koyabe. I. (1994). Residents's Participation in The Design of Housing, A Study of the Swedish Collective House Fiirdkniippen: School of Architecture, KTH, Stockholm
  47. McCamant & Durrett (1994). Cohousing. Ten Speed Press
  48. Vestbro, D. U. (1997). Collective Housing in Scandinavia-How Feminism Revised A Modernist Experiment.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ηg Research, 14(4), 329-342
  49. Vestbro, D. U. (2000). From Collective Housing to Cohousing.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ηg Research, 17(2), 164-177
  50. 渡辺眞理, 木下庸子(1998). 孤の集住体. 住まいの圖書 館出版局
  51. コウハウジング研究會, チャールズ.デュレ, キャサリ ン.マッカマン(2000). コウハウジング. 風土杜
  52. 小谷部育子(1997). コレクティブハウジィグの幕らそう. 丸善株式會社
  53. 小谷部育子 編著(2004). コレクティブハウジィグで募ら そう. 丸善柱式會社
  54. 小谷部育子, 岩村和夫, 卯月盛夫, 延藤安弘, 中林由行 (1997). 共に住むかたち, 建築資料研究杜
  55. コレクティプハウジィグ體驗ツアー參加グループ編著 (2003). 豊かな時が流れゐ ストッホルムのコレクテ ィブハウジィブ. NPOコレクティプハウジィグ社
  56. 建築とまちづくり(2003.3). 特輯 住みての協同で住まい とコミュニティをつくゐ. 新建築家技術集園
  57. http://www.cambridgecohousing.org
  58. http://www.cohousing.org
  59. http://www.ekbo.se/index2.htm
  60. http://www.kollektivhus.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