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창동(2001). 조선조 성리학 이념과 교육문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39(4), 1-18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2001). 한국 민속의 세계 5: 세시풍속.전승놀이.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김상기(1985). 고려시대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김영옥 백혜리(2000). 조선시대 아동양육방법에 관한 문헌적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4(1), 5-24
- 김영찬(1982). 생활.문화.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 문미옥, 류칠선(2000). 소학에 나타난 아동교육론. 아동학회지, 21(1), 215-234
- 민족문화추진회 편(1979). 益齋集. 서울: 솔출판사
- 민족문화추진회 편(1979). 牧隱集.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 민족문화추진회 편(1979). 陽村集. 서울: 솔출판사
- 민족문화추진회 편(2003). 牧隱集. 7.8.9.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 배종호(1988). 성리학의 수용과 그 의의. 국사편찬위원회(편). 한국사론.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 백혜리(1999). 백동자도를 통해 본 조선후기의 아동인식(1). 유아교육연구, 19(2), 59-76
- 백혜리(2000). 백동자도를 통해 본 조선후기의 아동인식(2). 아동학회지, 20(2), 67-81
- 백혜리(2001). 조선중기 양아록(養兒錄)을 통해 본 아동 인식. 아동학회지, 22(2), 205-218
- 변동명(1995). 고려후기 성리학수용 연구. 서울: 일조각
- 신양재, 김영주(1992). 한국신문에 실린 아동양육에 관한 기사내용분석(I)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동아.조선일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0(4), 249-260
- 신양재(1994a). 고려시대 아동양육 연구: 고려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2(4), 49-162
- 신양재(1994b). 삼국사기.삼국유사에 나타난 아동기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32(5), 125-134
- 신양재(1994c). 조선시대 풍속지에 나타난 아동양육 고찰: 동국세시기.열양세시기.경도 잡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19-228
- 신양재(1995a). 조선시대 교훈서에 나타난 부모 역할에 관한 연구: 자녀훈육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3(1), 155-168
- 신양재(1995b). 조선시대 교훈서에 나타난 아동 연령기대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16(1), 183-195
- 신양재(1995c). 고려시대 문집에 나타난 아동양육 고찰(I).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33-144
- 신양재(2004a). 조선시대 아동교육용 문헌에 나타난 정서과정에 대한 규범적 기대(I). 대한가정학회지, 42(8), 147-167
- 신양재(2004b). 조선시대 아동교육용 문헌에 나타난 정서과정에 대한 규범적 기대(I). 대한가정학회지, 42(11), 17-30
- 신용국(1997). 전통 사회의 교육(1): 고대와 중세의 교육.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편). 한국 교육사. 서울: 교육과학사
- 우영희(1989). 조선시대 교훈서를 통해 본 자녀양육 -동몽선습, 격몽요결, 사소절, 고암 가훈을 중심으로-.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 유가효(1995). 한국과 미국의 자녀양육 방식의 비교. 조복희 편. 아동발달의 이해, 366-389. 서울: 교육과학사
- 윤사순(1987). 고려후기 성리학의 도입과 섭취. 한국철학회 편. 한국철학사, 105-127. 서울: 동명사
- 윤사순(1987). 조선초기 성리학의 전재. 한국철학회 편. 한국철학사, 129-153. 서울: 동명사
- 이가원, 임창순 監修(1982). 漢韓中辭典. 서울: 동아출판사
- 전관응(1988). 불교학대사전. 서울: 홍법원
-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사연구회 편(1987). 교육사상가 평전 1: 한국편. 서울: 교학연구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허흥식(1986). 고려불교사연구. 서울: 일조각
- Archard, D. (1993). Children: right & childhood. New York: Routledge
- Cole, M. (1998). Culture in development. In M. Woodhead, D. Faulker, & K. Littleton(Eds.), Cultural worlds of early childhood, (pp. 11-33). New York: Routledge
- D'Andrade, R., & Strauss, C. (1992). Human Motives and Cultural Model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oodnow, J. (1988). Children's household work: its nature and functions. Psychological Bulletin, 103, 5-26 https://doi.org/10.1037/0033-2909.103.1.5
- Harkness, S., & Super, C. (1992). Parental ethnotheories in action. In I. E. Sigel, A. V. McGillicuddy-Delici, & J. J. Goodnow(Eds),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pp. 373-392).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Lightfoot, C., & Valsiner, J. (1992). Parental belief systems under the influence: Social Guidance of the construction of personal cultures. In I. E. Sigel, A. V. McGillicuddy-Delici, & J. J. Goodnow(Eds),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 (pp. 393-414). New Jersey: Lawrence
- Muuss, R. E. (1999). 청년발달의 이론(정옥분, 윤종회, 도현심 공역). 서울: 양서원
- Schwartz, S. H., & Bilsky, W. (1990). Toward a theory of the universal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extensions and cross-cultureal replication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78-891 https://doi.org/10.1037/0022-3514.58.5.878
- Schwartzman, H. B. (1978). Transformations: the anthropology of children's play. New York: Plenum Press.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 Super, C. M., & Harkness, S. (1998). The development of affect in infancy and early childhood. In M. Woodhead, D. Faulker, & K. Littleton(Eds.), Cultural worlds of early childhood, (pp. 34-47). New York: Routledge
- Wolfenstein, M. (1955). The fun morality. In M. Mead & M. Wolfenstein(Eds.), Childhood in contemporary cultures(pp. 168-178).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