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ty of Separable Evaluation of the Vegetation Cover Rates and Vegetation Vigor Using Spectral Reflectance

분광반사 특성을 이용한 식생피복율과 활력도 분리평가의 효용성

  • 최승필 (관동대학교 건설교통공학부) ;
  • 박종선 (관동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형진 (관동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Since vegetations are near the wavelength range in 700nm and have absorbent as well as reflective wavelength ranges, there is a much difference in terms of its reflection rate. There are currently many researches on vegetation index being conducted in order to apply the remote-sensing technology to vegetations rising their characteristics of absorbent and reflective wavelength ranges.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Perpendicular Vegetation Index (PVI) have been most commonly used. It is usually the evaporation, carbon-dioxide consumption, and chlorophyll density that represent the activity of vegetation, but chlorophyll density is the most commonly used among them. Since the red wavelength range used to obtain the NDVI and PVI has a strong extinction of chlorophyll, it is also useful to test chlorophyll density. The NDVI, in particular, is used to identify the vegetation conditions summarily, and thus, is suitable for initiative researches. Nevertheless, since these vegetation index produce mixed information of the Vegetation vigor and vegetation cover, it is essential to monitor a wavelength range that is independent from redundancy of the Vegetation vigor and vegetation cover. Although many vegetation indices have evaluated both the vegetation vigor and Vegetation cover simultaneously, this research intends to emphasize the utility of separable evaluations of the Vegetation vigor and Vegetation Cover rate through an experiment with grasses. As a result of evaluating vegetation index using spectral reflectance, a separable evaluation of the vegetation vigor and cover has been found more useful.

식생은 700nm근처에서 명확한 흡수파장대와 반사파장대를 갖고 있으므로 그 반사율의 차이가 상당히 크다. 이러한 식생의 흡수 및 반사파장대에 착안하여 식생에 관한 리모트센싱 기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많은 식생지수가 연구되어지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식생지수로는 정규식생지수(NDVI)와 수직식생지수(PVI)가 있다. 일반적으로 식생의 활력도를 나타내는 것은 증산속도나 이산화탄소 소비량 그리고 클로로필농도등 이지만 주로 클로로필농도를 이용한다. NDVI나 PVI을 구하는데 이용되는 적색파장대는 클로로필의 흡광작용이 강하므로 클로로필 농도를 파악하는데도 유효하다. 특히 NDVI는 개략적인 식생상황을 파악하는데 주로 사용되기 때문에 초기조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생지수는 활력도와 식생피복에 관한 정보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활력도와 식생피복간의 중복이 없는 독자적인 파장대에 패하여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많은 식생지수는 식생의 활력과 식생피복이 혼재되어 있어서 함께 평가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활력도와 식생피복율을 분리평가하기 위하여 잔디를 이용한 실험을 행하여 분리 평가의 효용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분광반사특성을 이용하여 식생지수를 평가한 결과 식생의 활력과 피복을 분리하여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응남 (2003),근적외선 디지털 카메리를 이용한 식생지수의 추출,대한토목학회 2003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대한토목학회,pp. 4397-4400
  2. 김주훈,김경탁,신사철 (2003),원격탐사 및 GIS에 의한 잠재증발산량 산정,대한토목학회 2003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대한토목학회,pp. 2512-2515
  3. 박정술,김경탁,김주훈 (2005),식생지수와 가뭄지수를 활용한 가뭄감시 가능성 분석,2005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대한원격탐사학회,pp. 157-160
  4. 양인태,김응남 (1999),근적외선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수목의 NDVI추출과 분석,대한토목학회 논문집,대한토목학회,Vol 19,No. III-1,pp. 49-57
  5. 최승필,박종선 (2004),산불피해지역에서 정규산화율지수와 정규식생지수의 비교분석,한국측량학회지,제22권,제3호 pp. 261-268
  6. Richardson,A. J. and Wiegand,C. L. (1977),Distinguishing Vegetation from Soil Background Information,Photogra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43:1541-155
  7. Rouse,J.W., R.H. Haas,J.A. Schell and D.W. Deering. (1974),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eht Great Plains with ERTS,Proceedings,Third 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l Symposium,Greenbelt,NASASP-351,pp. 301-317
  8. 伊藤建吾 (1997),反射スペクトルによる植物の態解析,博士學位論文,鳥取大乾燥地究 センタ―
  9. 平田泰雅,李雲慶,沢田治雄 (1993),ランドサシトTMデ―タによる中國タクラマカン地域の植生 狀況の把握,第14回學術講演會論文集,學會,pp. 59-62
  10. 稻田勝美 (1984),光と植物生育一光選利用の基礎と應用一, 養賢堂,pp. 7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