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mage Degree Valuation of Forest Using NDVI from Near Infrared CCD Camera and Spectral Radiometer in a Forest Fire Area

근적외 CCD카메라와 분광반사계의 식생지수를 이용한 산불 발생지역에서의 산림 피해도 평가

  • 최승필 (관동대학교 토목교통공학부) ;
  • 김동희 (지바대학교 자연과학연구과) ;
  • 박종선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Recently, forest damage has occurred often and made big issues. Among them, the damage by forest fire is not only damage of itself but also being connected with secondary damage like a flood. This is the fact that a forest fire is caused rather artificially by people than nature. In this study, we try to investigate damage of a forest fire through spectral reflectance of a plant community surveyed using a near infrared CCD camera and a SPM (Spectral Radiometer) as advanced work to use satellite image data. That is, damage of a forest fire by the naked eye observation was divided into the No damage, the light damage, the serious damage and we estimated activity of forest and grasped revival possibility of fores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pectral reflectance by SPM and the near infrared CCD camera, we could get high correlation in the No damage and light damage. Therefore, when we surveyed damage of a forest fire, we could grasp damage, that is hardly observed by the naked eye by, using jointly the spectral radiometer and the near infrared CCD camera.

최근 들어 자주 발생하는 산림피해는 세계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산불에 의한 피해는 그 자체로서의 피해뿐 만이 아니라, 홍수 등으로 이어지는 2차 피해로 연결이 된다. 또한 산불 등은 자연적인 원인보다는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재해가 많은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근적외 CCD카메라와 분광반사계를 사용한 식생의 분광반사특성을 이용하여 산불의 피해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육안 관측에 의해 산림 피해도를 무(無), 중(中), 강(强)으로 구분하여 산림의 활성도를 평가하여 산림의 소생가능성을 파악하였다. 분광반사계와 근적외 CCD 카메라에 의한 분광 반사 특성간의 상관 관계를 구한 결과, 피해도 무(無), 중(中), 강(强)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산불피해 조사시 분광반사계와 근적외 CCD카메라를 병용하여 사용함으로서, 육안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산불의 피해를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희 (1997), 인공위성 LANDSAT TM IMAGE DATA를 이용한 고성산불 피해지역 조사해석,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2. 양인태, 김응남 (1991), 근적외 디지털 카메라에 의한 수목의 NDVI 추출과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Vol. 19, No. 3-1, pp. 49-57
  3. 최승필, 박종선 (2004), 산불피해지역에서 정규산화율지수와 정규식생지수의 비교분석, 한국측량학회학회지, Vol.22, No.3, pp. 261-268
  4. 최승필, 유영걸, 김응남, 양인태 (1998), GSIS에 의한 산불피해지점의 공간분포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V), pp. 485-488
  5. (주)AbeSekkei, 2703MM ver2 portable photometer Manual
  6. Itto, K., Otusk., K., and Kamichicha, M. (1996), The Independent Estimation of Vegetation Cover Rates and Vegetation Vigor using Spectral Reflectance. JSPRS, Vol. 16, No. 4.41-49
  7. Los, S. O. (1993), Calibration adjustment of the NOAA AVHRR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without recourse to component channel 1 and 2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 14, pp. 1907-1917 https://doi.org/10.1080/01431169308954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