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ongdueui in Joseon Dynasty

조선시대 몽두의에 관한 연구

  • 박성실 (단국대학교대학원 전통의상학과)
  • Published : 2005.12.01

Abstract

Mongdueui(蒙頭衣) and mongduri(蒙頭里) in the Joseon dynasty was one of women's robe. The style of Mongdueui was same as Chinese baeja(褙子 $\cdot$ vest) having non-overlapping front opening with collar, This form was conformed through the wonsam excavated baeja from tomb of South Song dynasty. The basic construction was same as Joseon dynasty's except the colla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noble women wore Jangsam(長衫) as an outer wear, the common and lower class women wore Mongdueui, and the queen and royal household we baeja. The court lady wore baeja as well as Mongdueui for funeral ceremony. The style of women's robes wa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by the literature Byungwajip(甁窩集). The first was the hongjangsam(紅長衫長) in red for noble women. The other was the mongduri for the common lady. Whangchosam the outer wear of Jeongjaeyong(呈才女伶), a professional women entertainer, having non-overlapping front opening with collar, has been examined in the painting. And it had been evolved into the shaman's clothing in the last stage of Joseon dynasty.

Keywords

References

  1. 김진구 (2001). 조선시대 복식용어 연구 1 복식문화연구, 9(3), p. 183
  2. 太宗寶錄 卷23, 太宗 12年, 6月 丁卯
  3. 金用淑 (1987). 朝鮮朝 宮中風俗 硏究. 一志社, p. 429
  4. 이명은 (2003). 궁중발기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59
  5. 劉頌玉 (1991). 조선왕조 궁중의궤복식. 修學社, pp. 343-354
  6. (영조정순후)嘉禮都監儀軌(1759), (순조순원후)嘉禮都監儀軌 (1802) 반차도 기행나인
  7. (철종철인후)嘉禮都監儀軌(1851) 반차도
  8. (숙종인현후)嘉禮都監儀軌(1681) 반차도
  9. 世宗實錄 卷134, 五體 凶禮儀式 服制條
  10. 肅宗實錄 卷65, 肅宗 46年(1720) 6月, 癸卯條
  11. 英祖實錄 卷1. 英祖 卽位年(1724) 8月, 更子條
  12. 英祖實錄 卷89, 英祖 33年(1757), 2月 壬午條
  13. 王圻. 王思義(明), 三才圖會 卷三 衣服 535, 1536
  14. 譯語類解, 서울: 亞細亞文化社(영인본, 1974), P. 90
  15. 日知錄, 卷 二十八, p. 10
  16. 박성실 (1985) 적의제도의 변천연구. 단국대학교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개관4주년기념 제3회 학술세미나연구발표집, pp. 17-21
  17. 宣祖實錄 卷152, 宣祖 35年(1602), 7月 庚申條
  18. 大明會典 卷 60 親王妃 禮服
  19. (純宗純宗妃)嘉禮都監儀軌(1906) 奎章閣圖書
  20.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86). 文化財大觀, 重要民俗資料 下. pp. 64-67
  21. 大明會典 卷61 命婦冠服
  22. 박성실 (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9-142.
  23. 李衝祥. 甁窩集 卷5, 18 書
  24. 西禮便覽 卷一 冠禮
  25. 張師勛 (1997). 韓國舞踊槪論. 서울 大光文化史, p. 36
  26. 壬辰進饌儀軌 卷三 樂器風物
  27. 박성실, 조효숙, 이은주 (2005).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p. 11
  28. 서인화, 윤진영 (2001). 조선시대 연회도 서울: 민속원, p. 57. p. 213
  29. 서인화, 윤진영 (2001). 조선시대 연회도 서울: 민속원. pp. 58-59, p. 214
  30. 서인화, 윤진영 (2001). 조선시대 연회도 서울: 민속원. p. 63, p. 215
  31. 園幸乙卯整理儀軌 (1795) 服節圖
  32.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조선후기궁중연향문화 권2, 서울: 민속원. 김영운 외 5인의 분야별 연구서이며 복식사 부분은 조선후기 진작의궤. 진찬의궤류의 복식 연구. pp. 298-481 참조
  33. 김태연 (2003), 기사진표리진작의궤에 나타난 복식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1
  34.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조선후기궁중연향문화 권2, 서울: 민속원. 김영운 외 5인의 분야별 연구서이며 복식사 부분은 조선후기 진작의궤. 진찬의궤류의 복식 연구, P. 346
  35.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조선후기궁중연향문화 권2, 서울: 민속원. 김영운 외 5인의 분야별 연구서이며 복식사 부분은 조선후기 진작의궤. 진찬의궤류의 복식 연구. pp 344-348, p. 450
  36. 국립민속박물관 (1995) 큰무당 우옥주 유품전 p. 121
  37.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81). 朝鮮時代 宮中遺物, pp. 10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