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Field Trip Activiti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현장학습의 분석

  • Published : 2005.11.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ield trip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indicated there was an average of 4.25 field trip activities each semester presented in the textbook from the 3rd to 6th grade, mostly related to earth science and biology. The places for field trips were limited to in-school environment and natural sites in communities, and mostly purported to gain understanding of rudimentary concepts. Field trip activities were intended to facilitate scienc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order to integrate with the textbook content rather than offering students simple one-time activities. Most activities in the textbook guided students step by step. The starting or follow-up activities in the fields trips and reminder for cautions were not clearly presented. In order for the field trips to integrate with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n the text book, they have to be presented in the textbook systematically. It is also imperative to find out various fold trip places related to the content in the curriculum, develop efficient activities dealing with science at the appropriate level for students and increasing interests in science and its teaming.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저술된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현장학습 관련 내용을 현장학습의 유형 및 현장학습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실린 현장학습은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학기당 평균 4.25건이 제시되어 있으며, 지구와 생명 영역에 집중되어 있다. 현장학습 장소는 학교 내 환경과 지역사회의 자연 환경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기본 개념의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주를 이루었다. 현장학습에서 의 활동은 단순한 활동으로 끝나는 접근 방식보다는 과학 지식의 습득 및 이해를 이끌어 교육과정과 통합시키는 접근 방식이 많았으며, 학생 활동을 단계별로 안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현장학습의 사전활동 및 정리활동은 그 내용이 미미한 경우가 많았으며, 현장학습에서 유의점은 대부분의 경우 안내되지 않았다. 현장학습이 일회성 행사로 끝나지 않고 교육과정과 통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과서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안내하는 것이 요구되며, 교육과정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학습 장소의 발굴 및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적절하고 과학 학습과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효과적인 현장학습 활동의 개발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