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eat Flux Exchange between Atmosphere and Ocean in the case of cP Expansion accompanying Snowfall over the Adjacent Sea of Jeju Island

제주연안에 강설을 수반하는 대륙성 한기단 확장 시 대기와 해양간의 열교환 특성 사례 연구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owfall and the Bowen’s Ratio (sensible heat flux/latent heat flux) through calculation of heat exchange between air and sea for snowfall events in Jeju Island from 1993 to 2003. The four weather stations for this study are located at Jeju, Seoguipo, Seongsanpo and Gosan in Jeju Island.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snowfall forecast, the Bowen’s Ratio for snowfall, which includes influences from the atmosphere such as wind,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ir and sea for snowfall. As a results, in the case for fresh snowfall, the minimum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air and sea were 10, 12.3, 11.5, and $14.3^{\circ}C$ at Jeju, Seoguipo, Seongsanpo and Gosan, respectively. The probabilities of fresh snowfall were 26, 29, 13, and $23\%$, respectively,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s were higher than the previous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Bowen ratios were 0.59, 0.60, 0.65 and 0.65 at Jeju, Seoguipo, Seongsanpo and Gosan, respectively. The probabilities of fresh snowfall were 33, 70, 31 and $58\%$ respectively, when the Bowen ratio is higher than those.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 probability of fresh snowfall with the Bowen ratio was higher than the probability with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ir and sea. This result occurred because heat exchange by wind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snowfall, along wit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ir and sea, and the Bowen ratio. Therefore, snowfall forecast of Jeju Island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ea, whereas forecast with Bowen ratio seems to have higher reliability than that wit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ir and sea. The data analysis for the ten-year period $(1993\~2002)$ showed that when each fresh snowfall was within 0.0 to 0.9cm, the average Bowen’s ratio was 0.63 to 0.67, and when each fresh snowfall was 1.0 to 4.9 cm, the average Bowen’s ratio was over 0.72. Therefore, fresh snowfall show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Bowen’s ratio during snowfall.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3년 동안 겨울철 제주도 지방에 눈이 내린 경우를 대상으로 대기가 해양으로부터 얻은 열교환량을 계산하여 보웬비(현열속/잠열속)와 강설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대상지역은 제주도 4개 관측지점인 제주, 서귀포, 성산포, 고산이다. 적설 예측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바람과 같은 기상의 영향이 가미된 보웬비와 적설과의 관계를 해기차와 적설과의 관계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신적설 시, 지역별 최저 해기차는 제주시, 서귀포, 성산포, 고산에서 각각 10.9, 12.3, 11.5, $14.3^{\circ}C$였고, 그 이상의 해기차에서 신적설 확률은 각각 26, 29, 13, $23\%$인데 비해, 신적설시 지역별 최저 보웬비는 각각 0.59, 0.60, 0.65, 0.65였고, 그 이상의 보웬비에서 신적설 확률은 33, 70, 31, $58\%$로 나타나 보웬비가 해기차보다 높은 확률을 보였다. 보웬비에 의한 확률이 해기차에 의한 확률보다 높게 나타나는 이유는 해기차에 의해 형성된 강설의 조건에 바람에 의한 열교환이 강설의 조건을 강화시킨 것이 보웬비에 나타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0년$(’93\~’02)$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각 지역별 신적설이 $10.0\~0.9cm$ 일 때 평균 보웬비는 $0.63\~0.67$이고 신적설이 $1.0\~4.9cm$ 일때 평균 보웬비는 0.72 이상으로 조사되어 강설시 적설량과 보웬비는 비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식, 이동일, 민경덕, 1991. ECMWF 자료를 사용하여 구한 동아시아 지역의 여름철 강수와 수증기 수송의 계절변화. 한국기상학회지, 27, 241-255
  2. 김맹기, 강인식, 1995. 한반도 주변 해상에서의 바람의 응력, 현열속, 잠열속에 대한 진단적 모델림. 한국기상학회지. 1, 1995
  3. 김영의, 1991. 동해 해수 순환의 수치실험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0p
  4. 민경덕, 1974. 동계황해상의 열 및 수증기 수치해석과 이들의 시베리아기단의 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상학회지, 10
  5. 박순웅, 정창희, 1984. 동계한파 내습시 황해상에서의 공기의 변질에 관하여. 한 국기상학회, 20 (2), 35-50
  6. 봉종헌, 1976. 한국연안의 표면해수와 대기간의 열교환, 한국해양학회지, 11, 43-50
  7. 서은경, 전종갑, 1991. 1990년 1월 29-2월1일 한반도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7 (2), 227-234
  8. 안중배, 류정희, 조익현, 박주영, 류상범, 1997. 한반도 기온 및 강수량과 주변 해역 해면 온도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3, 1-10
  9. 임정선, 박순웅, 1991. 1988년 장마기간에 한반도를 중심으로한 수증기 수송과 수지. 한국기상학회지, 27, 221-240
  10. 전종갑, 이동규, 이현아, 1994.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0 (1), 97-117
  11. 정관영, 정영선, 황병준, 1999.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한반도 강설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35 (3), 466-473
  12. 최종민, 이동규, 1991. 1984년 9월 1-3일 한반도에서 발생한 오후의 열과 수분수지 한국기상학회지, 27, 267-280
  13. 한영호, 1972. 1월의 동해 남서해역에서의 열수지와 대한해협의 냉수괴. 한국해양학회지, 7, 19-23
  14. 한영호, 장선덕, 1978. 동해의 열수지와 황해냉수와의 관계. 한국 어업기술학회지, 14, 2-14
  15. Bunker, A.F., 1976. Computations of surface energy flux and annual air-sea interaction cycles of the North Atlantic Ocean. Monthly Weather Review, 104, 1122-1140 https://doi.org/10.1175/1520-0493(1976)104<1122:COSEFA>2.0.CO;2
  16. Gill, A.E., 1982. Atmosphere-ocean dynamics, Academic Press, 30 p
  17. Haney, R.I., 1971. Surface thermal boundary condition for ocean circulation model. J. Phys. Oceanogr., 1, 241-248 https://doi.org/10.1175/1520-0485(1971)001<0241:STBCFO>2.0.CO;2
  18. Hoflich, O., 1984. Climate of the South Atlantic Ocean, in 'Climate of the Oceans' (ed. H. Van Loon), Elsevier, 1-191
  19. Ishi, T and Kondo, 1987. Seasonal variation of heat balance in the East China Sea. Tenki, 34, 29-38 (in Japanese)
  20. Ishi and Kondo, 1993. Seasonal Variation of Heat balance in the East China Sea and its Vicinity. -Ocean heat transport and Ocean storage of heat. Tenki, 40, 309-324 (in Japanese)
  21. Jacobs, w.C., 1942. On the energy exchange between sea an atomosphere. J. Marine Research, 1, 37-66
  22. Kato, K., and T. Asai, 1983. Seasonal variations of the heat budget in both the atmosphere and the sea in the Japan Sea Area, J. Meteor. Soc. Japan., 61, 222-238
  23. Kraus, E.B. and C. Rooth, 1961. Temperature and steady state vertical heat flux in the ocean surface layers. Tellus, 13, 231-238 https://doi.org/10.1111/j.2153-3490.1961.tb00080.x
  24. Oort, A. H. and T. H. Vonder Haar, 1976. On the observed annual cycle in the ocean-atmoshpere heat balance over the northern hemisphere. J. Phys. Oceanogr., 6, 781-800 https://doi.org/10.1175/1520-0485(1976)006<0781:OTOACI>2.0.CO;2
  25. Smith, S.D., 1980. Wind stress and Heat flux over the ocean in the gale force winds. J. Phys. Oceanogr., 10, 709-726 https://doi.org/10.1175/1520-0485(1980)010<0709:WSAHFO>2.0.CO;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