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tical Pathway for Operable Gastric Cancer

위암수술 환자에서의 Critical Pathway의 개발과 적용

  • Song, Kyo-Young (Department of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Kim, Seung-Nam (Department of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 Park, Cho-Hyun (Department of Surger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ollege of Medicine)
  • 송교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승남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박조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Purpose: Critical pathways (CP), also known as clinical pathways, are management plans that display goals for patients and have led to improved outcomes for many disease entities.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a critical pathway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gastric cancer patients and evaluating its usefulness. Materials and Methods: A CP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a team of surgeons, nurses, nutritionists, and administrative officials. Among the 117 patients who received curative gastrectomies for gastric cancer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etween October 2003 and August 2004, 26 patients were treated according to the CP. We evaluated its usefulness by comparing the clinical characterisctics, postoperative progress, hospital stays, and costs between the CP and the non-CP groups. Patient satisfaction was also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Results: Of the initial 26 patients in the CP group, two were excluded from the final evaluation; one patient had a duodenal stump leakage, and the other had a gastric stasis postoperatively. In 8 patients, protocol violation occurred; six patients refused to be discharged on the $7^{th}$ postoperative day, one patient who had an gastric staisis postoperatively stayed for 2 additional days, and one patient who needed ICU care stayed for 4 additional days. The drop-out rate was $7.7\%$ (2/26), and the variance rate was $30.8\%$ (8/26). The mean hospital stay was 11.3 days ($10\~15$ days) for the CP group compared with 17.5 days ($9\∼68$ days) for the non-CP group, resulting in a difference of about 6 days (P<0.05). The mean hospital stays after surgery were 10.3 days ($7\∼68$ days) and 8.3 days ($7\∼12$ days) for the non-CP and the CP groups,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P>0.05). The mean charge during the hospital stay was higher in the non-CP group ( $\\$ 6,292,200) than in the CP group ( $\\$ 4,863,685). The charge per hospital day was higher in the CP group ( $\\$ 430,414) than in the non-CP group ( $\\$ 359,554).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e CP group than in the non-CP group. Conclus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critical pathway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stomach cancer patients, we could reduce the length of hospital stay as well as the cost. A multi-centered prospective study to establish a standard treatment pathway and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is needed in the future.

목적: Critical pathway (CP)는 특정질환 표준화를 통해 적정한 진료 및 최소한의 표준진료를 행하여 진료의 질을 높이고 비용을 감소시켜 환자 및 의료진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암수술 환자에서 CP를 개발 및 적용하고 이를 통해 치료결과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0월부터 2004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은 185명의 환자 중 타장기 원발암이 없고, 근치적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117예에서, CP를 적용한 26예와 동기간 동안 CP를 적용하지 않은 환자 91예의 임상적 특성, 수술 후 경과, 진료비용, 입원기간 및 환자 91예의 임상적 특성, 수술 후 경과, 진료비용, 임원기간 및 환자 만족도 등을 비교하여 위암수술에서 CP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CP를 개발하기 위하여 진료, 간호, 원무, 영양과 등이 참여하는 팀을 구성하여 외래검사 흐름도, 수술 전, 후 처방지, 경과기록 등을 표준화한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결과: CP환자 26명 중 1명은 십이지장 단단부 누출로, 1명은 술 후 위정체로 인한 장기 입원 및 재수술이 불가피 하여 제외되어 최종 분석된 환자는 24명이었다. 24명의 환자 중 8명에서 재원기간의 지연으로 인한 변이가 발생하였는데 6명은 환자가 자의적으로 퇴원을 거부하여 수술후 $1\∼2$일이 지연되었으며, 1명은 술 후 위정체로 2일 지연되었고, 1명은 수술 후 중환자실 입원 및 관찰기간이 필요하여 4일간 지연되어 변이율(variance rate)은 8/26 ($30.8\%$)였다. 평균 재원기간은 CPrns은 11.3일($10\∼15$일)이었고, Non-CP군은 17.5일($9\∼68$일)로 CPrns이 약 6일 짧았다(P<0.05), 술 후 평균 재원기간의 경우 CP군과 Non-CP군 각각 8.3일($7\∼12$일), 10.3일($7\~68$일)로 차이가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5). 양 군에서의 재원기간 중 총 진료비는 CP군이 평균 4,863,685원, Non-CP군이 평균 6,292,200원으로 CP군의 진료비가 낮았으나, 일당 진료비는 CP군은 430,414원, Non-CP군에서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P<0.05). 13가지 항목의 만족도 조사에서도 CP군이 Non-CP군에 비해 높았다(P<0.05). 결론: 저자들이 개발하여 위암수술 환자에 적용한 CP 프로그램은 재원기간을 줄이고 총 진료비를 감소시킨 반면 일일 진료비의 상승과 환자 및 의료진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향후 다기관이 참여하는 전향적인 연구를 통해 보다 적절한 표준진료지침을 개발하여 그 효용성을 객관화 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