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clinical practicality of the rebonding method with flowable resin without the removal of the residual resin on the debonded theeth and debonded bracket base after debonding. The samples of the control group (group I) were rebonded with Transbond XT using the usual rebonding method after the residual resin was removed. At experimental group, the brackets were rebonded with Transbond XT(group II) and CharmFil Flow (group III) without removal of residual resin which is the possibility becoming the index (or rebonding to similar position With initial bonding.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each group was measured. Patterns of bonding failure were evaluated with modified ARI score. and the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patterns of bonding failure at experimental group was compared. Between the control group $(6.51\pm1.21MPa)$ and the group II rebonded with Transbond XT $(6.30\pm1.01MPa)$ did not hav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shear bond strength (p=0.534), and the shear bond strength of group II was Significantly lower 4han the group III rebonded With CharmFil Flow $(7.29\pm1.54 MPa)$ (P=0.009). At control group, there was not large difference if distribution of bending failure pattern. But at experimental group, bond failure did not occur in interface between the resin-enamel. and bond failure between the resin-bracket, within the resin was distributed similarly. The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shear bond strength according to patterns of bonding failure at experimental group (P>0.05)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aid flowable resin as rebonding adhesive could be useful in clinically.
본 연구는 교정 치료 중 탈락된 브라켓의 재접착 시 탈락 전과 유사한 위치로 재접착하기 위하여 브라켓 탈락 전 위치의 지표가 될 수 있는 잔여 레진을 제거하지 않고 flowable resin을 이용하여 재접착을 시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 재접착 방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브라켓이 탈락된 치아 표면의 잔여 레진을 제거하고 산 부식 후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새로운 브라켓을 접착하는 통상적인 재접착 방법을 사용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탈락된 브라켓과 치아 표면의 잔여 레진을 제거하지 않고 치면을 산부식 후 탈락된 브라켓을 Transbond XT와 CharmFil Flow로 재접착한 군을 각각 실험군으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군간 전단 결합강도를 비교하였으며 ARI score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였고 탈락 양상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 중 Transbond XT를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6.30\pm1.01MPa)$의 전단결합강도가 대조군$(6.51\pm1.21 MP3)$에 비하여 낮긴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534), CharmFil Flow를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7.29\pm1.54MPa)$은 Transbond XT을 이용하여 재접착한 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P=0.009). 탈락 양상을 관찰했을 때 대조군에서는 레진 내부, 브라켓-레진, 레진-치면 간의 파절 양상이 고르게 나타났으나 실험군에서는 레진-치면간의 탈락 양상은 보이지 않았고 레진 내부. 브라켓-레진 간의 탈락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재접착 방법과 flowable resin의 재접착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은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