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ceness' by Christian Norberg Schultz as a Barometer of Analysing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in Korea

한국현대 박물관건축의 분석지표로서 슐츠의 '장소성' 이론 적용에 대한 연구

  • 이정화 (한양여자대학 인테리어디자인과)
  • Published : 2005.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placeness' permeated through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in Korea, and hereby to prove the possibility of coping with the modernity in Korean architecture. In this study the theory of 'placeness' which is asserted by Christian Norberg Schultz has been adopted in debating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Korea. Therefor the theory of 'placeness' has been researched to get an angle of vision on the proof of coping with the modernity in Korean architecture. Seven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which have been completed since 1990 have been examined in the view of morphology, topology, and typology which are the major factors of 'placeness'. Throughout this case study, the post-modernity in museum architecture in Korea has been proved, which establishes that the 'placeness' i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Korea.

Keywords

References

  1. Amos Ih Tiao Chang, 윤장섭 역, 건축공간과 노자사상, 기문당, 1984
  2. Christian Norberg Schultz, 민경호 외 역, 장소의 혼, 태림문화사, 1996
  3. Christian Norberg Schultz, 진경돈 . 이정국 역, 건축의 의미와 장소성, 미건사, 1994
  4. Matin Heidegger, 건립. 거주. 사유, 이상건축, 9707
  5. Martin Heidegger, Poetry, Language, Thought, 1985
  6. Merleau-Ponty, 오병남 역, 현상학과 예술, 서광사, 1983
  7. Rodney Douglas Parker, 이상현역, 예술과 장소 건축과 예술 작품에 대한 존재론적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39, 1995
  8. 강인보, Christian Norberg-Schultz 의 현상학적 건축이론에 근거한 실 존적 의미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9. 김경재, 한국현대건축에 표현된 한국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호(12), 1998
  10. 김광현, Merleau-Ponty 의 현상학으로 조명한 한국전통건축의 공간론 적 장소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1977
  11. 김기주, 동양미술에 있어서의 공간개념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1972
  12. 남정훈 . 이호진, 현대건축에 있어서 장소성 표현의 유형화에 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 20권2호, 2000
  13. 박길용, 한국의 현대건축과 포스트모더니즘, 한국학연구, 제 5집. 1993
  14. 박항섭, 윤도근, 한국현대건축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호(12), 1998
  15. 변태호, 시적 거주와 세계내 존재의 언어기호적 치환, 건축역사연구, 통권 12호, 1997
  16. 변태호, 전통의 현대적 계승과 장소의 신화, 건축역사 연구, 통권 11호, 1997
  17. 서상우, 한국의 박묻관 . 미술관, 기문당, 1995
  18. 우수영, 현대건축공간에 표현된 장소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90
  19. 조영배, 풍수의 국면과 설존공간이 갖는 공간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5호 . 2000
  20. 과거와 현재의 만남. 박물관 건축, 이상건축, 04, 1996
  21. 독도박물관, 공간, 09, 1997
  22. 잃어버린 흔적 . 되찾은 흔적 , 건축과 환경, 04, 1999
  23. 장세양, 국립김해박물관, 공간, 09, 1998
  24.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지 기념관, 건축문화, 07, 1998
  25. 청도농기구박물관, 공간, 04, 1994
  26. 홍릉산림과학관, 건축과환경, 11,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