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s of pesticide residues after treatment of criterion dose with 4 pesticides(tolclofos-m, folpet, procymidone, and triflumizole) under cultivated period and to compare the biological half-life of pesticides with 6 kinetic models(first, zero and second order kinetics, power function, elovich and parabolic model) and to establish proposed field tolerance using biological half-lives. Recovery of 4 pesticides form strawberry was ranged from 85.1 to 105.5%. For all of 4 pesticides, dissipation rate was over 73% at 5 days after application. Among 6 kinetic models, first order kinetic model (FO) was best fit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ual pattern of pesticides and time. Therefore, half-lives were calculated by FO for establishing the field tolerance. These results showed that half-life should be calculated by comparative best fit kinetic model and field tolerance can help to prevent unacceptable agricultural products from marketing. It is good for both consumers and farmers having safe agricultural products and financial benefits, respectively.
본 연구는 생산단계의 딸기에 4가지 살균제(tolclofos-m, folpet, procymidone, triflumizole)를 수확 10일전 안전사용 기준량으로 처리한 후 잔류량을 파악하였고, 이것을 근거로 6 가지 kinetic models(first order, zero order, second order, power function model, elovich model, parabolic model)에 따른 반감기를 비교하였다. 최적의 모델로 판명된 first order kinetic model로부터 구한 반감기를 이용하여 생산단계잔류허용기준(field tolerance)을 설정, 제시하였다. 잔류분석법의 적합성 판단을 위한 회수율 실험에서는 $85.1{\sim}105.0%$ 범위를 보였으며, 4 가지 약제 모두 약제 처리 5일 후 평균 73% 이상 소실되었다. 잔류량과 시간과의 상관관계는 first order kinetic model에서 가장 높은 결정계수값을 보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산출한 반감기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안)을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최적의 kinetic model로 반감기를 산출해야 한다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며, 수확 후 또는 유통 중의 잔류허용기준뿐만 아니라 생산단계에서도 허용기준을 마련하여 부적합 품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기준설정의 예로서 안전 농산물 공급과 농가소득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