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othermal Potential Mapping in Jeju Island Using Fuzzy Logic Based Data Integration

퍼지기반 공간통합에 의한 제주도의 지열 부존 잠재력 탐사

  • Baek Seung-G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Maeng-E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Geo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백승균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 박맹언 (부경대학교 환경지질과학과)
  • Published : 2005.04.01

Abstract

A fuzzy logic based data integration was applied for geothermal potential mapping in Jeju Island. Several data sets, such as geological map, the density of drainage system, the distribution density of cinder cones, density of lineaments, aerial survey map for total magnetic intensity and total gamma ray, were collected as thematic map for the integration. Fuzzy membership function for all thematic maps were compared to the locations of the spa, which were used as ground-truth control points. The older geology, the lower density of drainage, cinder cones and lineaments, and the lower intensity of magnetic and gamma ray were showed the higher fuzzy membership function values, respectively. After integrating all thematic maps, the results of gamma operator with the gamma value of 0.75 was the highest success rate, and new geothermal potential zone is prospected in western north part of Jeju Island.

제주도의 지열 부존 가능지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최근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는 퍼지이론에 기반한 GIS 통합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지질도, 수계 분포 밀도, 분석구 분포 밀도, 선구조 분포 밀도, 항공자력도, 항공방사능도 등 각 주제도의 통계적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퍼지소속함수(Fuzzy membership function)를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현재 온천 발견 위치와 상관성은 용암류의 분출시기가 오래될수록 높았다. 수계, 분석구 및 선구조에서는 분포밀도가 낮은 곳에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항공자력도와 항공방사능도에서는 대자율 및 감마선 강도가 중간 범위인 곳에서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퍼지 연산자 중에서는 $\gamma$ 연산자($\gamma$=0.75)가 가장 높은 성공 비율을 보였으며, 제주도 서북부 일부지역에서 새로운 지열 부존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기원, 1991. 제주도 서귀포층의 지하분포 상태와 지하수와의 관계. 지질학회, p.528
  2. 고기원, 1997. 제주도의 지하수 부존 특성과 서귀포층의 수문지질학적 관련성.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3. 김헌국, 1994. 제주도 온천에 관한 연구. 최고경영 관리자과정 논문집, 부산수산대학교, 11: 157-173
  4. 박노욱, 지광훈, Chung, C.J.F., 권병두, 2003. 퍼지 이론을 이용한 GIS 기반 자료유도형 지질 자료 통합의 이론과 응용. 자원환경지질, 36(3): 243-255
  5. 박준범, 권성택, 1991. 제주도 화산암의 암석화학적 진화(2); 제주 동부 월라봉 부근 시추코아 연구. 지질학회, p.531
  6. 윤상규, 김원영, 1984. 제주지역 지열조사 연구. 국토이용지질조사 연구, 한국자원연구소, 83- 5-08: 109-140
  7. 윤선, 고기원, 김인탁, 1995. 제주도 형성사. 제주도지, 98: 148-164
  8. 제주도, 2000. 제주도 지하수 보전.관리계획 보고서
  9. 제주도, 한국수자원공사, 2003. 제주도 수문지질 및 지하수자원 종합조사(III)
  10. 통상산업부, 1996. 제주도 지열자원탐사 및 최적활용방안 연구(III)
  11.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986. 항공방사능 및 자력도 (제주도동부, 제주도서부)
  12. 한국자원연구소, 1992. 제주도 온천자원 조사 보고서
  13. 한국자원연구소, 2000. 제주(백아도, 진남포) 지질 도폭 설명서(1:250,000)
  14. An, P., W. M. Moon, and A. Rencz, 1991. Application of fuzzy set theory to integrated mineral exploration, Canadian Journal of Exploration Geophysics, 27(1): 1-11
  15. Aronoff, S., 1989.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 management perspective, WDL Publications, Ottawa, Canada
  16. Burrough, P. A. and R. A. Macdowell, 1998. Principle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Natural Resources Research, 10: 125- 136 https://doi.org/10.1023/A:1011500826411
  17. Choi, S. W., W. M. Moon, and S. G. Choi, 2000. Fuzzy logic fusion of W-Mo exploration data from Seobyeog-ri, Korea, Geosciences Journal, 4(2): 43-52 https://doi.org/10.1007/BF02910126
  18. Chung, C. F. and A. G. Fabbri, 1999. Probability prediction models for landslide hazard mapping,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65(12): 1389-1399
  19. Duda, R. O., P. Hart, and N. Nilsson, 1976. Subjective Bayesian methods for rule-based inference systems, Proceedings of the 1976 National Computer Conference, 1075-1082
  20. Giggenbach, W. F., 1988. Geothermal solute equilibria. Derivation of Na-K-Mg-Ca geoindicator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52(12): 2749-2765 https://doi.org/10.1016/0016-7037(88)90143-3
  21. Lee, K. W. and K. H. Chi, 1995. Spatial integration of multiple data set regarding geological lineaments using fuzzy set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11(3): 49-60
  22. Moon, W. M., 1998. Integration and fusion of geological exploration data: a theoretical review of fuzzy logic approach, Geoscience Journal, 2(4): 175-183 https://doi.org/10.1007/BF02910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