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fter the Construction of River Barrage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연안사주의 지형변화

  • Kim, Sung-Hwan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성환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nges of deltaic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Estuary and especially their spatial variations after barrage construction. We analyzed shorelines, geometrical centroids, and areas to reveal the changes of barrier islands. Here, we suggest three interesting points from this study. First, each individual barrier island in the Nakdong estuary goes through a different stage of the geomorphic cycle. The frontal barrier islands such as Sinja-do and Doyo-deung grow because they are located in front of the gates of the barrage. Sediments in water out of the gates are moved to offshore and then reworked by coastal processes such as waves and tides. Second, on the contrary, Baekhap-deung located behind Doyo-deung now diminishes indicating that sediments mainly move to the frontal growing island. Third, there is no morphological change in several barrier islands far away from the main flow of the Nakdong river such as Jinwoo-do, Daema-deung, and Jangja-do. In conclusion, barrier islands in the Nakdong estuary show distinct spatial variations. As a barrier island is closer to the main channel or is in the frontal location, there happens a very dynamic change in the morphology of the island.

이 연구는 낙동강 하구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의 삼각주 연안사주에서 나타나는 지형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항공사진 측량기법을 이용하여 1987년, 1996년, 2001년의 해안선을 추출하고 연안사주의 형태변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안사주의 형태변화 분석에는 해안선의 변화와 연안사주의 면적변화, 그리고 기하학적 중심인 도심의 이동방향을 살펴보았다. 낙동강 삼각주 연안사주의 형태변화 분석에서 하구둑 건설 이후 새로이 출현한 도요등의 면적 증가가 두드러졌고, 이로 인하여 배후에 위치하는 백합등의 면적 감소와 쇠퇴로 이어졌다. 신자도의 경우에는 하구둑 건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면적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진우도와 대마등. 장자도의 경우에는 면적변화와 도심의 이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낙동강 하구역의 삼각주 연안사주 지형변화는 성장/정체/쇠퇴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현재 하천수의 유출이 이루어지고 있는 낙동강 본류의 하구를 중심으로 해안선을 형성하고 있는 연안사주에서는 성장 양상이 나타난다. 도요등과 신자도의 경우 해양 프로세스에 의해 지속적으로 퇴적물 공급이 이루어져 성장양상을 보인다. 외해 쪽으로 새로운 연안사주가 출현하기 이전까지 해안선을 구성하고 있던 연안사주는 쇠퇴양상을 보이고 있다 백합등은 하구둑이 건설된 이후 도요등이 출현함에 따라 현재는 연안사주의 전면부가 파괴되어 사라지는 쇠퇴양상을 보이고 있다. 백합등의 쇠퇴 양상은 도요등 배후 지역으로 음의 퇴적물 수지가 형성되고 있음을 지시한다. 연안사주 가운데 출현 시기가 가장 이른 진우도와 대마등, 장자도의 경우는 뚜렷한 성장이나 쇠퇴가 나타나지 않는 정체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반용부, 1984, '낙동강 하구의 간석지,' 지리학연구, 9, 537-559
  2. 반용부, 1986,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 부산여대논문집, 21, 463-518
  3. 반용부, 1987, 낙동강 삼각주의 지형과 표층퇴적물 분석,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반용부, 1995, '낙동강 하구 연안사주 지형의 변화,' 부산여대논문집, 40, 155-195
  5. 반용부, 1997, '낙동강 삼각주 지형 경관 변화,' 부산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3, 111-138
  6. 반용부, 2003, '낙동강 유역분지 지역의 지질과 지형,' 낙동강백서, 3-41
  7. 반용부, 2004a, '대저도의 지형경관 변화,' 부산연구, 1, 7-51
  8. 반용부, 2004b, '명호도 남단의 Barrier Islands 지형변화,' 부산연구, 1, 53-99
  9. 반용부, 2005a, '낙동강 삼각주의 환경,' 부산연구, 2, 7-49
  10. 반용부, 2005b, '낙동강 하구에 발달한 연안사주,' 낙동강 하구둑의 득과 실
  11. 부산광역시, 2004, 명지대교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12. 부산대학교.부산발전연구원. Ramsar Center Japan, 1998, 낙동강 하구 습지의 보전과 관리
  13. 부산발전연구원, 2005a, 낙동강 하구역의 생태.경제학적 가치 평가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14. 부산발전연구원, 2005b, 낙동강 하구둑의 득과 실
  15. 부산지방환경청, 1992, 낙동강 하구언 축조전후 주요환경 변화조사
  16. 서울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 1998, 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생태계 보존대책 연구
  17. 오건환, 1988, '낙동강 하구둑 건설로 인한 삼각주 말단의 지형변화,' 낙동강, 7, 38-47
  18. 오건환, 1992, '낙동강 삼각주의 형성과정,' 부산지리, 1, 1-16
  19. 오건환, 1999, '낙동강 삼각주 말단의 지형변화,' 한국제4기학회지, 13(1), 67-78
  20. 한국수자원공사, 1988, 낙동강 하구둑 공사지, 77-114
  21. Carter, R.W.G., 1988, Coastal Environment, Routledge
  22. Elliot, T., 1986, Deltas, in Reading, H.(ed),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Facies, Oxford, 113-154
  23. Fisher, J.J., 1968, Barrier island formation: Discussion, Geol. Soc. America Bull., 79, 1421-1426 https://doi.org/10.1130/0016-7606(1968)79[1421:BIFD]2.0.CO;2
  24. Goudie, A., 2000, The Human Impact on the Natural Environment, MIT Press
  25. Goudie, A., 2004, Encyclopaedia of Geomorphology, Routledge
  26. Guo, Q. and Psuty, N., 1997, Flood-tide deltaic wetlands : Detection of their sequential spatial evolution, PE&RS, 63(3), 273-280
  27. McBride, R.A., et al, 1995, Geomorphic reponse-type model for barrier coastlines: A regional perspective, Marine Geology, 126, 143-159 https://doi.org/10.1016/0025-3227(95)00070-F
  28. Oertel, G.F., 1985, The barier island system, Marine Geology, 63, 1-13 https://doi.org/10.1016/0025-3227(85)90077-5
  29. Pethick, J., 1984, An Introduction to Coastal Geomorphology, Edward Arnold
  30. Pilkey, O.H. et al, 2004, How to Read a North Carolina Beach, Chapel Hill
  31. Stutz, M.L. and Pilkey, O.H., 2001, A review of global barrier island distribution,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4, 15-22
  32. Stutz, M.L. and Pilkey, O.H., 2002, Global distribution and morphology of deltaic barrier island system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6, 694-707
  33. Titus, J.G., 1990, Greenhouse effects, sea level rise, and barrier islands: case study of Long Beach Islands, New Jersey, Coastal Management, 18, 65-90 https://doi.org/10.1080/0892075900936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