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Coordination in the John Galliano's Fashion Show

존 갈리아노 패션쇼에 나타난 현대패션코디네이션 특성

  • Jin Kyoung-Ok (Dept. of Fashion Design, TongMyuong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 진경옥 (동명정보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Fashion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otal coordination in creating an image. Therefore, modern fashion is not the conformation of fixed beauty but it exist in the expressed form of the variety and the comple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personality for the self image of the clothes, the hair and make-up, the accessories and the like.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one of the tendency of modern fashion coordin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John Gallianos fashion work and there upon, an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John Galliano's fashion show, who is one of the most leading fashion designer, by dividing them Into four categories in large: 1) The maximum effect of fashion image by make-up and hair style 2) Adventurous fashion coordination with daring decoration 3) Fascinating fashion coordination Harmonized with color 4) Enlargement in the concept of fashion coordination by experimental way of clothing

Keywords

References

  1. 이언영.이인성 (2004). 토탈 코디네이션 요소로서의 헤어와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복식. 54(6)
  2. 김미영 (1996). 패션연출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6)
  3. 허갑섬. 이병화 (1999). 패션연출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1)
  4. 이응도 (1996). 색체이미지와 코디네이션에 관한연구. 효성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임희진 (2000). 토탈 코디네이션을 위한 메이크업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손미경 (2002). 현대패션에 나타난 팝아트 스타일의 토탈 코디네이션 연구. 성균관대학교 의류학과 석사학위논문
  7. 이송림, 송명견 (2000). 샤넬이미지를 통한 패션 코디네이션연구. 복식, 50(8)
  8. 장애란외 (2000). 패션코디네이션. 서울: 예학사, p. 11
  9. 진경옥 (2004). 그녀들은 왜 옷을 입는가?. 서울: 교학연구사. p. 10
  10. 최수현 (1994). 복식의 미적범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2
  11. 이은영 (1995). 복식의장학. 서울: 교문사. p. 382
  12. 이호정 (1986). 의류상품학. 서울: 교학연구사. p. 116, p. 176
  13. 정인희, 이은영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p. 213
  14. 김미영 (1996). 패션연출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6), p. 1178
  15. 정인희, 이은영 (1996). 의복과 자기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0(1). p. 207
  16. 김미영 (1996). 의상 연출학의 개념정립. 한국의류학회지, 20(6), p. 1184
  17. Jay and Ellen Diamond (1994). Fashion apparel accessories. Delmer Publishers Inc., p. 359
  18. 장미숙. 양숙희 (1999).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네오아방가르트 경향에 관한 연구. 복식, 7(3). p. 79
  19. 김명섭 (2000). 존 갈리아노의 작품세계와 미적특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효진 (1997). 현대 패션디자인 소재에 표현된 예술적 조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2, p. 176
  21. Charlotte Seeling (1999). Fashion-the century of the designer. koneman. p. 476
  22. 박명희 (1992). 1980년대 패션잡지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부설 생활과학연구소 연구보고, 15, p. 151
  23. 나현신, 전혜정 (2000). 현대패션에 나타난 역사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4), p. 25
  24. 김보현, 신명아 공역 (1992). 포스트모더니즘과 사회. 한신문화사. p. 257
  25. Caroline Evans & Minna Thornton (1989). Women & Fashion. N.Y.: Quartet Book. pp. 59-80
  26. 정흥숙 (1995). 포스트모더니즘의 복고성에 관한 연구. 복식, 25 p. 72
  27. 나현신, 전혜정 (2000). 현대패션에 나타난 역사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4), p. 464
  28. John A. Walker. 정진국 역 (1993). 대중매체시대의 예술. 서울: 열화당. pp. 96-104
  29. Richard Martin & Harold Kode (1989). The historical mode. N.Y. : Rizzoli, pp. 7-15
  30. 마리 프랑스 포크나. 박기완 역 (2002). 디오르. 도서출판 노라노. p. 18
  31. Andrew Tucker (1998). The Iondon fashion book. London: Thames and Hudson. p. 46
  32. 공미선. 채금석 (2003). Christian Dior. 오뜨꾸뛰르의 디자인 오리지날리티. 복식, 53(2), p. 66
  33. 木幡順三, 강손근 역 (1995). 미와 예술의 논리. 집문당, p. 47
  34. 김주영, 양숙희 (1997). 현대복식에 나타난 외부로부터의 해체현상(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1(8), p. 1266
  35. Gerda Buxbaum (1999). Icons of fashion. London. N.Y. : Prestel. P. 168
  36. WWD. Mon. Oct. 11. 1993
  37. 질 리포베츠키, p. 134
  38. 박은경 (2002). 테크놀로지 아트와 테크놀로지 패션이미지의 미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6), p. 171
  39. Murray (1990). Changing styles in fashion. N.Y.: Fairchild. pp. 232-3
  40. H. Glockner (1939). Karl Rosenkranz und K. Fischer als Asthetik der Hegelschen Schule, pp. 443-453
  41. 안선영. 양숙의 (1995). 현대복식에 표현된 추의 개념. 복식. 19(12). p. 75에서 재인용
  42. Andrew Tucker (1998). The Iondon fashion book. London: Thames and Hudson. p. 44
  43. Andrew Tucker (1998). The Iondon fashion book. London: Thames and Hudson. p. 43
  44. 질 리포베츠키, p. 205
  45. 장미숙. 양숙희 (1999). 현대 메이크업에 나타난 네오아방가르트 경향에 관한 연구. 복식, 7(3). p. 87
  46. Susan Irvin (1984). Webster;s new world dictionary. Simon and Shuster, p. 36
  47. Juliet Ash & Elizabeth Wilson (1992). Chic Thrills. Univ. of Ca. p. 5
  48. 정홍숙 (1995). 포스트 모던 복식의 복고성에 관한 연구. 복식. 25 p. 79
  49. 구미지 (2001). 디오르 작품에 대한 갈리아노의 현대적 재해석에 관한 연구. 복식, 51(8), p. 45
  50. 칸단스키, 권영필 역 (1979). 예술에 있어서 정신적인것에 대하여. 서울: 열화당. pp. 52-58
  51. 르네위그. 김화영 역 (1983). 예술과 영혼. 서울: 열화당. p. 197
  52. Valerie Mendes, Amuy de la Haye (1999). 20th century fashion. London: Thames & Hudson Ltd. p. 273
  53. Rene Huygle. 르네위그. 김화영 역 (1983). 20th century fashion. London: Thames & Hudson Ltd. p.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