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velopment of the Color Story and Color Scheme for Domestic Makeup Product Based on the Personal Color Images

개인의 색채이미지 유영에 의한 국내 색조화장품의 스토리 개발과 색채 계획

  • Kim Youngi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Joo Miyoung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Lee Hyunjoo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 Kim Heeyeon (Dept. of Human Environment & Design, Yonsei University)
  •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 주미영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 이현주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 김희연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생활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09.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keup color range for developing the new makeup product line of domestic cosmetic brand, and suggest the special color stories and color palettes appropriate to characteristics of brand image For this study, personal color image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of Korean womens' skin rotor like korean PCDS and japanese PCS. Also, a total of 3879 colors were selected from the 18 cosmetic brands and were analyzed by hue/tone color system. Based on the color analysis, the color range for makeup products are determined, and the typical colors of 4 personal color images are suggested. As a results, personal color image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DEW of p, lt, b tone; FLASH of s, v tone; MIST of ltg, g, sf, d tone; TERRA of dk, dkg, dp tone. we developed the color stories through five senses and lifestyles based on the consumers' emotion, and the rotor palettes suitable to each type of personal color images are developed.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인 (2004). 한국여성의 색조화장, 서울: 도서출판 국제. p. 6
  2. 김영인, 이지현 외 (2003). Personal Color Design System 개발. (주)태평양 연구보고서
  3. Sumie Matsuura. 이영아 역 (2003). 퍼스털컬러진단. 부산여자대학 피부미용과. 한국인체예술학회 주최 workshop 자료집. pp. 8-10
  4. 김영인. 주미영 외 (2001). 색조제품의 유행색 데이터관리를 위한 색체분석. (주)태평양 연구보고서
  5. Howard & Dorothy Sun. 나선숙 역 (2003). 내 삶에 색을 입히자. 서울: 예경. pp. 153-156
  6. Sumie Matsuura. 이영아 역 (2003). 퍼스털컬러진단. 부산여자대학 피부미용과. 한국인체예술학회 주최 workshop 자료집. pp. 1
  7. 김경순 (1999). 피부색과 어울리는 메이크업 색상의 이론적 고찰. 한국미용학회지, 5(1). p. 54
  8. 박화순 (2001). 대학생들의 피부색과 머리카락색에 따른 개인색체유형 분류. 한국의류학회지. 25(3). pp. 516-524
  9. 이민아. 김구자 (2002). 한국 여성의 피부색 분류와 의상 선호색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1)
  10. 김영인, 이지현 외 (2003). Personal Color Design System 개발. (주)태평양 연구보고서, p. 25
  11. Sumie Matsuura. 이영아 역 (2003). 퍼스털컬러진단. 부산여자대학 피부미용과. 한국인체예술학회 주최 workshop 자료집. pp. 6-10
  12. Sumie Matsuura. 이영아 역 (2003). 퍼스털컬러진단. 부산여자대학 피부미용과. 한국인체예술학회 주최 workshop 자료집. pp. 9
  13. 류영미, 이미령 (2000). 효과적인 메이컵을 위한 색체연구. 한국미용학회지, 6(1). p. 89
  14. 김영인. 추선형. 조주연 (2003). 국내 패션업계 활용색의 복종별 대표색 추출과 데이터 베이스 구축. 한국색채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 63
  15. 김영인, 이지현 외 (2003). Personal Color Design System 개발. (주)태평양 연구보고서, p.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