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Kingdom of KokuRyo, King's Costumes, MyunRyu Kwan Bok

중국 남북조시대 고구려 국왕 사여복식과 고구려 면류관에 관한 연구

  • Im Myung-Mi (Dept. of Clothing & Textiles, DongDuk Women's University)
  • 임명미 (동덕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The results from the consideration of this are as follows. 1. Kokuryo has been the exchange foreign relationship with the Han dynasty era, from king DaiMuSin 25 years to Bojang 27 years. 2 King of Kokuryo, from The North-Wei-dynasty has been received ceremonial costumes, first-third class of China's official rank. After unification of China, Su, Dang dynasty's envoy and missionary and many commercial men and artist come from China to Kokuryo, therefore, influenced their costume habbits and behabiers from royal families costumes and common peoples costumes, without concern of that one's social position. 3. Kokuryo King's ceremonial costumes are not the same as the China. Kokuryo performed a religious service an emperor's ceremony. And the Kokuryo King's religious mind was the Budism and Daoism. So that mural painting just showing the symbolic of the king's costumes , Myunryukwanbok.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순 역 (1996). 신석, 禮記. 홍신신서, pp. 271-274
  2. 정 3품, 국사편찬위원회 (1986). 중국정사 조선전 역주 (2). 북사열전, 고구려전, 역문, p. 149
  3. 김종완 (2002). 남조와 고구려와의 관계. 사단법인 고구려연구회 발표논문
  4. 南史. 권 79, 열전 고려조
  5. 균등찬 (1988). 역대직관표. 상해 고적출판사, p. 822
  6. 송서 효무제기, 및 리만전, 남제서 동남리전, 南史 리백전, 하, 삼국사기
  7. 남제서, 동남리전, 양서 제리전, 남사 리백하, 삼국사기
  8. 남제서. 권 58, 열전. 제 39, 동남리. 1010; 북주서, 권. 49, 열전 제 41, 이역 상, p. 885
  9. 이빙 (2002). 北魏兩位高氏皇后族屬考. 사단법인 고구려연구회 발표논문
  10. 이빙 (2002). 北魏兩位高氏皇后族屬考. 사단법인 고구려연구회 발표논문
  11. 魏書. 권 113, 황후 열전
  12. 이빙 (2003). 고구려와 북조와의 관계. 사단법인 고구려연구회 발표논문
  13. 領護東史
  14. 중랑장
  15. 太和十五年....賜衣冠服物車旗之飾, ...魏書. 卷 100, 高句麗傳
  16. 北史. 열전, 고구려조
  17. 양서. 권54, 열전. 제49, 제리
  18. 수서. 권 11, 지제. 6, 예의 6
  19. 양서. 권54, 열전. 제49, 제리
  20. 북사. 열전 조선전, 위서, 고구려전, 자치통감, 149, 梁記 5, 삼국사기
  21. 남조와 고구려의 관계. 고구려 연구
  22. 균등 찬 (1988). 역대직관표. 상해 고적출판사, p. 12
  23. 出帝初.....賜衣冠服車旗之飾....魏書. 卷 100, 高句麗傳
  24. 국사편찬위원회 (1986). 중국정사 조선전 역주 (2). 북사열전, 고구려전, 역문, p. 62
  25. 위서권 열전, 88, 고구려조, 주서. 권 49, 열전. 제 41, 이역, 상 1
  26. 북주서, 권 49: 열전 제 41: 이역. 상, P. 885 북사 열전
  27. 수서. 권 81 ; 열전. 제 46, 동리
  28. 북사. 권 94 ; 열전. 제 82, p. 3117 고려
  29. 구당서. 권, 199, 상; 열전, 제 149. 상, 동리
  30. 오종철 편저 (2000). 고구려본기 신주해. 하, 서울: 구미서관, p. 325
  31. 국사편찬위원회 (1986). 중국정사 조선전 역주(2) 북사열전. 고구려전, 역문, p. 62
  32. 구당서. 권, 199, 상: 열전. 제 149, 상, 동리
  33. 국사편찬위원회 (1986). 중국정사 조선전 역주(2) 구당서 동리열전. 고구려전, 역문, p 245
  34. 양서. 권 54, 열전. 제49, 제리
  35. 수서. 권 11, 지제 6, 예의 6
  36. 북사 위본기(魏本紀), 효문제 태화 10(太和 10: 486) 년조
  37. 수서, 권 10, 지제 5, 예의 5
  38. 唯備五輅, 各依方色, 수서, 권 10, 지제 5, 예의 5
  39. 수서. 권 81, 열전, 제 46, 동리
  40. 수서, 권 11, 지제 7, 예의 7
  41. 손기 (1992). 중국 고여복 논총. 북경: 문물출판사, p. 248
  42. 한국방송공사 (1994). 고구려 고분벽화, 주식회사, 예당; 전호태, 집안 고구려 고분 벽화개관, p. 21
  43. 김일권 (1997). 고구려고분 벽화의 천문사상 특징. 고구려 연구 3, 고구려연구회, p. 94
  44. 서길수 (2003). 대륙에 남은 고구려. 사단법인 고구려 연구회, p. 38
  45. 안휘준 (1998). 고구려 고분벽화의 흐름. 강좌미술, p. 10
  46. 한국방송공사 (1994). 고구려 고분벽화, 주식회사, 예당; 전호태, 집안 고구려 고분 벽화개관, p. 11
  47. 池內宏, 梅原 末治 (1940). 通構. 下卷. 日滿文化協會
  48. 주영헌 (1987). 주요 고구려의 벽화무덤 주인공에 대하여. 조선화보사. 동경: 강담사, p. 1
  49. 조선화보사 (1987). 고구려고분벽화. 도판 217
  50. 한국방송공사 (1994). 고구려 고분벽화, 주식회사, 예당; 전호태, 집안 고구려 고분 벽화개관, p. 158
  51. 전호태. (1994). 집안 고구려 고분 벽화 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