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for Substitutability of Sand Mat with Fiber Mat

Fiber Mat의 Sand Mat 대체가능성평가를 위한 실험적 연구

  • 이송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정용은 (서울시립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5.07.01

Abstract

At present, there are several problems related with sand mat which is used as a way to accelerate consolidation settlement, to act like an underground drainage layer and to increase trafficability simultaneously. First of all, the unbalance of the demand and supply of sand i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which causes not only price rise but also delay of the term of the total construction work. Secondly, the damage of ecosystem and scenery is triggered by thoughtless sand dredging or mining. So, the need that sand mat should be replaced with a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has been increased. Fiber mat may be one of the proper materials that suits the need. Therefore, we intended to compare the drainage properties of sand mat with those of fiber mat by experimental model tests. On the basis of the test results, fiber mat took shorter period of consolidation than sand mat and the amount of settlement in the farmer showed a little bit bigger than in the latter. As a conclusion, the substitutability of sand mat with fiber mat could be placed highly in view of drainage efficiency. Furthermore, when fiber mat is used, it has an advantage that spoiled soil of the construction site or nearby site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rafficability in addition to a role of drainage layer.

연약지반 상에 시공시 지하배수층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압밀침하를 촉진시키고 주행성을 증가하는 역할을 하는 샌트매트와 관련한 여러 문제점들이 있다. 이중 무엇보다도 모래의 수급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모래가격의 상승과 전체 시공공정의 지연을 야기하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모래확보를 위한 무분별한 채굴과 준설로 말미암은 환경 및 자연경관의 파괴도 이러한 문제점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Sand Mat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재료에 대한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마도 섬유매트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적적한 재료중의 하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모형실험을 통하여 샌드매트의 배수특성과 섬유매트의 배수특성을 비교하여 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섬유매트의 경우가 샌트매트에 비하여 짧은 압밀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동일시간의 침하량이 다소 크게 발생하였다. 섬유매트의 샌트매트 대체가능성은 배수효율적인 측면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더욱이 섬유매트는 배수층으로서의 역할 룬만 아니라 당 현장이나 인근현장의 사토를 장비주행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병기, 장용채, 이강일 (1995), '연약지반에서의 토질공학', 도서출판 새론, pp.204-230
  2. 이 송, 정상국, 전제성, 김원영 (1999), '연약점토 지반의 수평배수 압밀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 논문집(II), pp.431-434
  3. 이 송, 정용은, 최재균 (2004), '천연섬유배수재의 압밀배수특성', 선진화 해안도로 건설을 위한 국제 심포지움(International Symposium Cosntructing Advanced Coastal Road), pp.105-117
  4. 최재균, 이 송, 정용은 (2004), '천연섬유배수재의 압밀배수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가을정기학술발표대회, pp.5338-5343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자연친화형 도로건설을 위한 친환경 배수재 활용 연약지반개량기술 연구(I)', '03 건설기술기반구축사업 1차년도 연구보고서, pp.47-98
  6. Asaoka, A (1984), 'Observational Procedure of Settlement Prediction', Soil and Foundations, Vol.18, No.4, pp.87-101
  7. Button, S. J. (1953), 'The Bearing Capacity of footings on a Two-layer Cohesive Subsoil', Proceedings of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Vol.1, pp.332-335
  8. Skempton A. W. (1951), 'The Bearing Capacity of Clays', Proceedings of Building Research Congress. London, pp.180-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