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tting frequency and level of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botanical composition and forage yield of alpine pasture. Field experiment was established at 600 m (a.s.1) altitude with two cutting frequency schedules (two and three times annually) and two levels of fertilizer application (lower level of fertilizer, 200-200-200 kg / ha and standard level of fertilizer, 280-200-240 kg / ha; N, $P_2O_5$ and $K_2O$, respectively). Higher grass to clover ratio was observed in two cutting frequencies. The clover ratio was highest as $16\%$ in thee cutting frequencies with lower level of fertilizer application End the ratio of weed was low in all treatments ($3.7 {\~} 6.7\%$).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forage dry matter (DM) yield among treatments, however forage DM yield in three cutting frequencies tended to be greater in standard level of fertilizer application compared to lower level of fertilizer application. The forage quality was greater in three cutting frequencies, but not changed with different levels of fertilizer application.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ree cutting frequency and standard level of fertilizer application system are considered to be proper management methods at alpine grassland of 600 m altitude considering the botanical composition, forage DM yield md forage quality.
본 실험은 고랭지 산지초지에서 예취횟수와 시비수준이 목초의 식생변화와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3년간 실시하였다. 실험은 표고 600m에서 예취횟수를 2회와 3회, 시비수준을 ha당 질소-인산-칼리 200-200-200kg의 소비구 및 280-200-240kg/ha의 표준시비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화본과목초의 비율은 2회 예취가 3회 예취보다 높았으며, 클로버 비율은 3회 예취한 소비구에서 $16.3\%$로 가장 높았다. 잡초는 모든 처리구에서 $3.7 {\~} 6.7\%$ 비율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 평균 건물수량은 예취횟수와 시비수준 처리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3회 예취구에서 표준시비구가 소비구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3회 예취구가 2회 예취구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은 높고 조섬유함량이 낮았다. 시비수준에 따른 사료성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관령지역의 표고 600m에서 적정 예취회수는 식생구성, 건물수량, 사료성분 및 영양소수량 면에서 3회 예취가, 시비수준은 표준시비구(질소 - 인산-칼리 280-200-240kg/ha)가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대관령지역과 같이 지역적인 여건(복잡지형, 기후불순 등)이나 축산 농가 개인의 여건(수확기계 미비, 인력 등)이 불리한 경우에는 2회 예취, 소비구(질소-인산-칼리 200-200-200 kg/ha)도 가능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