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Fashion Design Process Model for Mass Customized Clothing

대량 맞춤화(Mass Customization)형 의류 제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 박진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과) ;
  • 이주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과)
  • Published : 2005.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ffective design process model f3r mass customized clothing. Therefore, this study was to propose two models of mass customized fashion design processes which were different in the customized degree and to compare their efficiencies and appropriateness with those of the existing fashion design process.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survey of 150 female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during April in 2003. It was analysed by frequency, $X^2-test$, crosstabulation, correlation, t-test and multiple-regression. The results of survey were: Many respondents$(62.0\%)$ preferred mass customized products and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model which suggested more choices to presumers. The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was considered to be applicable to the present domestic clothing market. In the case of the whole respondents, color was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in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model; because of this, the opportunity to choose colors will be essential in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In the case of respondents who have higher preference on mass customized products, textile(texture) was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In the cases of both(whole respondents and respondents who have higher preference on mass customized products), style was the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 in fashion design process. To summarize, it proposed that to accept the mass customized clothing will be possible in this study. What is more, the guidelines to develope mass customized fashion design process model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Keywords

References

  1. 김정희. (1987). 유행 선도력에 따른 의복 구매 의사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지영. (2002). 국내 여성복 소비자의 최근 패션 트렌드 수용과 배정 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내 멋에 삽니다. (2004, 3. 29). 경향신문
  4. 민경우 (1995). 디자인의 이해. 서울: 미진사
  5. 송정아. (2001). 패션 모델과 여대생들의 의복관여와 유행 선도력과의 관계. 한국의류산업학회지, 3(4), 323-329
  6. 신상무. (1999). CAD를 이용한 대량맞춤 QR 시스템 구현에 적합한 기본원형 설계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섬유공학회지: 36(3), 257-267
  7. 신현숙. (2000). 패션트렌드에 대한 국내 여성 소비자의 수용 현황과 수요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서울: 수학사
  9. 이경화, 김혜수. (2002). 남성 정장류 생산업체의 개별주문 생산 실태. 대한가정학회지. 40(8), 61-70
  10. 이순철. (1997). 새로운 경영전략: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서울: 청양
  11. 이순철, 유순안. (2000). 디지털 경제 시대 도래에 따른 E-Transformation과 E-Business/ 인터 넷 마케팅 : 효과적인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 실행을 위한 전략: 한국기업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2000년 추계국제학술대회', 297-307
  12. 이지원. (2002). 대량 맞춤화형 나염 의류 상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지은 (2001 ). 스포츠웨어 트렌드의 분석과 소비자 수용을 기반으로 한 골프웨어 디자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정혜영. (2004). 여대생들의 의류 구매 의사결정 스타일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12(3), 468-484
  15. 조경익 (1998). Mass Customization 통한 맞춤 마케팅. 광고정보, 5월, 50-53
  16. 조윤정 (2000). 유행 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세분집단의 심리적 특징과 의복추구혜택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최선형, 이은영. (1987). 유행 선도자의 특성 연구 -유행 선도력, 사회적 성격, 의복 동조성, 유행정보원 사용 간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11(3), 3015-3024
  18. 최유돈. (2002). 국내 여성복 브랜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최신 패션 트렌드 선호도에 따른 패션 상품기획의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Crayton, T. (2001). The Design Implications of Mass Customization. Architectural Design, 71(2)
  20. Pine, Joseph. (1993). Mass Customizati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1. Rebecca Duray, Glenn, W. Milligan. (1999).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Mass Customization. Quality Progress
  22. ViewPoint. (2000). issue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