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egiving Behaviors and Emotional Solidarity between Parents and Adult Children

기혼자녀(아들$\cdot$딸)와 부모간의 정서적 결속도에 따른 부양행동

  • Kim Myung-Cha (Major in Family & Resource Management, College of Human Ecol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Son Seohee (Major in Family & Resource Management, College of Human Ecol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김명자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정관리학과) ;
  • 손서희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2005.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caregiving behaviors of adult children and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caregiving behaviors of adult children. This research wa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620 adults, from 30 to 59 years old,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th at least one living parent.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WIN including frequencies,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n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giving behaviors of adult children varied with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birth ranking and job for the children-related variables, and age of mother, income level and type of living for the parents-related variables. Second, the level of caregiving behaviors of adult children varied with the degree of emotional solidarity between the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ird, the caregiv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s gende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the motives for caregiving behaviors.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1997). 비동거 성인자녀의 부양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준희(2000). 기능취약 노인에 대한 가족부양자의 부양행동과 부양스트레스 및 만족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명자, 안선영, 한정화(1996). 신세대와 중년기 부부의 노부모 부양에 따른 부양 부담감 및 보상감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97-110
  4. 김명자, 이선재, 김현숙, 송정자, 이재연, 양숙희, 박전자, 계선자, 이정우, 이소희(1999). 현대 노년학.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5. 김미경(2000). 노인복지에 대한 가족사회학적 접근: 노인부양문제를 통해 본 노인복지와 여성복지의 관계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사회학, 34, 65-84
  6. 김송애(1991). 가족주의 가치관과 노부모 부양에 관한 연구 -기혼여성의 시가와 친가에 대한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순옥, 송현애(1988). 부양을 중심으로 한 노모-성인자녀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6(2), 83-101
  8. 김유경(2000). 세대간의 유대관계와 노인의 삶의 질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노부모와 성인자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태현(1981). 한국에 있어서의 노인부양에 관한 연구: 가족부양의 실태와 부양만족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혜연, 김성희(1999). 노인의 부양유형 선호와 영향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37(2), 85-97
  11. 김효정(1995).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 및 노부모- 성인자녀간 결속도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민무숙(1995). 노모와 성인딸/며느리간의 상호원조 유형이 부양부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5(1), 74-90
  13. 박성수(1999). 노인부양형태와 부양의식에 대한 연령별 비교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희성(1993). 기혼자녀의 친모에 대한 애착과 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서병숙, 장선주(1990). 노부모와 기혼자녀간의 생활 교류연구 -아들동거노인과 딸동거 노인의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28(3), 171-186
  16. 서소영(1998). 며느리의 시부모부양에 따른 보상, 부양의식, 부양 행동.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성미애(1991). 부모세대의 피부양 만족도와 기혼자녀세대의 부모부양 부담도.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8. 신수진(1993). 성인 초기 자녀의 부모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교환론과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신효식(1993). 노부모-성인자녀간의 결속도, 자아존중감, 심리적 손상간의 인과모형탐색.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신숙, 서병숙(1993). 부양자 스트레스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3(1), 39-54
  21. 이신숙, 서병숙(1994). 기혼여성(며느리, 딸)의 노부모 부양 스트레스와 영향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2(4), 57-71
  22. 이윤정(1994). 성인자녀의 노부모 부양부담정도와 부양에 따른 부담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임월(1997). 중년기 부부의 노부모 부양행동 및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임춘희, 정옥분(1988). 분거한 도시 장남부부의 부양 의식유형 -세대간 유대관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26(1), 163-177
  25. 장인협, 최성재(1996).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6. 전길량(1993). 노모와 성인딸간의 상호작용과 부양 기대감 -부양기대요인을 중심으로-. 성신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조병은(1990).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결속도와 노부모의 인생만족도. 한국노년학, 10, 105-125
  28. 조병은, 신화용(1992). 사회교환이론적 관점에서 본 맞벌이 가족의 성인 딸/며느리와 노모의 관계. 한국노년학, 12(2), 83-98
  29. 조윤주(2002). 대학생의 부모와의 애착, 갈등 및 부양의무감과 부모부양의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최정혜(1992). 노부모가 지각하는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및 갈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통계청(2005). http://www.nso.go.kr
  32. 홍달아기(1998). 노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에 대한 감정과 교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2), 115-127
  33. Chatters, L. M., Taylor, R. J., & Jackson, J. S. (1985). Size and Composition of the Informal Helper Networks of Elderly Blacks. Journal of Gerontology, 40(5), 612-613
  34. Horowitz, A. (1985). Sons and Daughters as Caregivers to Older Parents. The Gerontologist, 25(6), 612-617 https://doi.org/10.1093/geront/25.6.612
  35. Kaufman, G., & Uhlenberg, P, (1998). Effects of Life Course Transitions on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4), 924-938 https://doi.org/10.2307/353635
  36. Leigh, G. K. (1982). Kinship Interaction over the Family Life Spa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1), 197-208 https://doi.org/10.2307/351273
  37. Peters, N. D., Moss, M. S., & Pruchno, R. A. (1999). Children-in-Law in Caregiving Families. The Gerontologist, 39(1), 66-75 https://doi.org/10.1093/geront/39.1.66
  38. Spitz, G., & Logan, J. (1990). More Evidence on Women(and Men) in the Middle. Research of Aging, 12, 182-198 https://doi.org/10.1177/0164027590122003
  39. Thompson, L., & Walker, A. J. (1984). Mothers and Daughters: Aid Patterns and Attach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2), 313-322 https://doi.org/10.2307/352463
  40. Umberson, D. (1992). Relationships between adult children and their parents: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both gener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4(3), 664-674 https://doi.org/10.2307/353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