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Architecture and Fashion of the Modernism Period

모더니즘 시대의 건축과 패션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ye-Young (Dept. of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 Hur Da-Sul (Design Graduate School, Sungkyunkwan University)
  • 김혜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 ;
  • 허다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의상학)
  • Published : 2005.07.01

Abstract

The modern period was the time that the most radical and extensive social and mental changes were occurring throughout the history, and modernism was prevailing as a general cognition system of people. Modernism, which carries principles of progress, belief in applica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worship of reason, ideal of liberty as a col-e value of civilization, was plated as a leading ideology in the realm of society, culture and art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stud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modernism seen in architecture and fashion are analogized and analyzed in four ways ell the basis of the theory of p. Greenhalgh. First, 'Standardization for mass-production', which is analogized which P. Greenhalgh's 'Decompart-mentalisation', 'Social Morality', and' Technology'. Standardization for mass-production in architecture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design prototype in order to mass produce; the development of ready-made clothes is actively done ill the fashion area for the same purpose as well. Second, 'Rational functionality' coming from P. Greenhalgh's 'The total work of art' and 'Function'. While rational functionality in architecture puts an emphasis on the rational operation of all the functions in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each part and the whole, rational functionality in fashion call be mainly seen in a dramatic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which could be hardly found before the modernism period. Namely, all the fashion design elements are developed for a certain rational and functional design on each part as well as on the whole in order to greatly increase physical activity. Third, 'the pursuit for genuineness of objects and universality of beauty' is on the analogy of P Greenhalgh's 'Truth', 'Anti-historicism', 'Abstraction', 'Internationalism/Universality'. This idea is adopted in architecture in the form of design of geometrical abstraction. In the same way, design using geometrical abstraction comes to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fashion of the modernism period. So to speak, modernism architecture and fashion can be reborn to become an inter·national style by giving up the decorative and regional design prevailing before modernism and by expressing universal aesthetics in the form of simplicity and abstraction instead. Fourth, 'Expression of progress through a change in a viewpoint' stems from P. Greenhalgh's 'Progress',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Theology'. In architecture, this concept appears by using new 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and by representing new aesthetical idea. As a result, it makes it possible for people to make progress for better lives. Like in architecture, new attempts for material application and processing are made in fashion. This gives rise to a general change in a viewpoint related to fashion, so that a flew fashion design which there has never been before can come out.

Keywords

References

  1. Peter Collins 저. 이정수 외 역 (2001). 근대 건축의 이 념과 변화. 서울: 태림문화사. pp. 312-323
  2. Charles Jenks 저. 이용재 역 (1987) . 근대건축운동. 서울 집문사. pp. 2-10
  3. 정현숙 (1995) 예술사조와 패션과의 parallelism에 관한 연구 -모더니즘과 플래퍼룩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3(2)
  4. 김은덕 (1995) 현대패션에 나타난 최소표현기법에 관 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혜원 (1998) . 플래퍼 패션 디자인 연구 -미국 재즈시 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박사학위 논문
  6. 하지수 (2001) . 20세 기 기능주의 패션디자인에 대한 연 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강진석 (1990) . 샤넬복식에 나타난 '機能主義'와 '클래 식스타일'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전혜정 (1991). Clair McCardel 의 Modernism 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87, pp. 1-12
  9. 박명희 (1986). 변천하는 여성미가 인체에 미치는 영 향 중앙의학, 50
  10. 박숙현 (1998). 현대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 G abrielle Chanel & Andre Courreges 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논문집, 19(2)
  11. 이미숙 (1998), 샤넬 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의류직물학과 박사학위논문
  12. 유수경. 김의경 (2002) 마들렌느 비오네의 작품에 나 타난 기하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6). pp. 763-780
  13. Lauer, J. C. and Lauer. R. H. (1981). Fashion power. New Jersey Prentice-Hall, Inc.. pp. 6-19
  14. Broby Johansen. R. (1968). Body and clothes. N.Y. Reinhold Book Co.. p. 5
  15. 정 현숙 (1995),예술사조와 패션과의 parallelism에 관한 연구 -모더니즘과 플래퍼룩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3(2) p. 263
  16. Paul Greenhalgh (1995). Midemism in desing. London Reaktion Books Ltd
  17. Paul Greenhalgh, (1995), Modemism in design. London Reaktion Books Ltd, pp.1-24
  18. 변태호 (1994) 건축에 있어서의 본질과 존재를 위한 소나타-루이스 칸과 하이데거의 건축에 대한 사색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0 (7) , p. 110
  19. 윤장섭 (2004) 서앙근대건축사. 서울: 기문당, pp. 239
  20. 길성호 (1999). 현대건축사고론 서울: 시공문화사. p 229
  21. 길성호. (1999) 현대건축사고론 서울- 시공문화사, p. 230
  22. St Anislaus von Moos 저 최창길(외) 역 (1988). 르 꼬르뷔제의 생애, 서울: 기문당. p. 42
  23. 류지연. 김태영 (1997) 기하학적 구성에 나타난 서정 성에 관한 연구-르 꼬르뷔제의 1920년 대 주택 작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7 (1) . p. 114
  24. William J. Metchell 저 김경준(외) 역 (1994). 건축 의 형태 언어, 서울: 민음사. p. 187
  25. Allsopp Bruce (1977). A modern theory of architecture. London: Routlede and Kegan Paul. p. 96
  26. 길성호. (1999) 현대건축사고론 서울- 시공문화사. p. 143
  27. 삼전경얼 저. 양광용 역 (985). 건축론 서울. 동명 사. P. 80
  28. 길성호, (1999) 현대건축사고론 서울- 시공문화사, p. 151
  29. Patrick Nuttgens 저, 윤길순 역 (2001) . 건축이야기 서울. 동녘. p. 272
  30. Gary Stevens (1990). The reasomng architect: Mathematics and science design. New Your: McGraw-Hill Inc. p. 3
  31. 길성호. (1999) 현대건축사고론 서울- 시공문화사, p. 235
  32. 길성호. (1999) 현대건축사고론 서울- 시공문화사, p. 236
  33. 길성호. (1999) 현대건축사고론 서울- 시공문화사, p. 233
  34. V. M. lampugnani (1985). The gesture and it's shadow. A+U. p.50
  35. 길성호, (1999) 현대건축사고론 서울- 시공문화사, p. 173
  36. 길성호. (1999) 현대건축사고론 서울- 시공문화사, p. 199
  37. C. Norberg Schulz 저. 정영수. 윤재희 역 (2002). 서 양건축의 본질적 의미 서울. 세진사. pp. 363-366
  38. 민경우 (1995) 디자인의 이해. 미진사. p. 156
  39. 하지수. 20세 기 기능주의 패션디자인에 대한 연 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3
  40. Alice Mackrell (1992), Coco chanel. New York: Hol mes & Meier. p. 74
  41. J. Anderson Black 저. 윤질순 역 (1997), 세계 패션 사. 서울, 자작아카데미. p. 114
  42. 이미숙. (1998), 샤넬 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의류직물학과 박사학위논문, p. 92
  43. 이미숙, (1998), 샤넬 스타일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 학교 의류직물학과 박사학위논문, p. 93
  44. J. Anderson Black 저. 윤질순 역 (1997), 세계 패션사. 서울. 자작아카데미, p. 122
  45. 정흥숙 (1999). 서앙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369
  46. Aimy de la Hei 저. 깅정은 역 (2003). 20서|기 패션 서울. 시공사. p. 55
  47. Pamela Golbin (2001). Fashion designers. New York Watson Guprill
  48. 박숙현, (1998). 현대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 G abrielle Chanel & Andre Courreges 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논문집, p. 6
  49. 조규화 (1984). 1920년 대 가르손느의 출현과 그 복식. 한국의류학회, 8(3), p. 213
  50. 박혜원, (1998) . 플래퍼 패션 디자인 연구 -미국 재즈시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박사학위 논문, p. 48
  51. 박숙현. (1998). 현대 패션에 나타난 모더니즘에 관한 연구- G abrielle Chanel & Andre Courreges 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논문집, 19(2), p. 316
  52. Valerie Guillaume 저, 박기완 역 (2002). 세계 유명 패션디자이너 시리즈 서울: 노라노. p. 24
  53. Jeean-Luc Daval 저. 홍승혜 역 (1990). 추상미술의 역사 서울: 미진사. PP. 59-64
  54. Valerie Guillaume 저. 박기완 역. (2002). 세계 유명 패션디자이너 시리즈 서울: 노라노. p. 9
  55. Valerie Guillaume 저. 박기완 역. (2002). 세계 유명 패션디자이너 시리즈 서울: 노라노. pp. 40-41
  56. Pamela Golbin, (2001). Fashion designers. New York Watson Guprill, p. 35
  57. Pamela Golbin. (2001). Fashion designers. New York Watson Guprill. p. 164
  58. Valerie Guillaume 저. 박기완 역, (2002). 세계 유명 패션디자이너 시리즈 서울: 노라노, p. 14
  59. J. Anderson Black 저. 윤질순 역- 1997), 세계 패션사. 서울. 자작아카데미, p.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