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vorable Condition of Culture and Sclerotial Formation by Inonotus obliquus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의 배양조건과 균핵 형성

  • Lee, Won-Ho (Division of Bio-Resourc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ung-Jin (Division of Bio-Resourc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Ho-Kyung (Mushtech Co. Ltd.,Division of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a, Joo-Young (Field Science Center for Northern Bioshpere, Hokkaido University) ;
  • Kim, Tae-Woong (Division of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ung, Jae-Mo (Division of Bio-Resources Engineer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원호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공학부) ;
  • 박영진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공학부) ;
  • 김호경 (주) 머쉬텍,강원대학교 생명과학부) ;
  • 차주영 (일본 북해도대학 북방생물권 필드과학센타) ;
  • 김태웅 (강원대학교 생명과학부) ;
  • 성재모 (강원대학교 생물자원공학부)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Altogether twenty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Wakayama, Japan. The optimum mycelial growth of I. obliquus was observed in BMYA and MCM.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mycelial growth were $25^{\circ}C\;and\;6.0{\sim}7.0$, respectively. The optimum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dextrose and yeast extract, respectively. Similarly, the optimum mineral salt was $K_{2}HPO_{4}$. The optimum number of mycelial discs for the mycelial growth was $6{\sim}7$ per 100 ml. Similarly, the optimum culture period was $21{\sim}22$ days in liquid broth. The optimum brown rice : water ratio was 1 : 1. No difference in mycelial growth was observed in all the four types of tree stumps used.

차가버섯의 균사생육에 적합한 배지로는 BMYA 배지, MCM 배지로 조사되었으며 이 결과 MYA를 공시균주의 기본배지로 사용하였다. 배양환경 조사로 균사생육에 적합한 온도는 $25^{\circ}C$, 초기 적정 pH는 $6.0{\sim}7.0$으로 나타났다. 영양원 선발로 탄소원은 2%의 농도에서 Dextrose를 사용하였을 때 균사 생장 및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질소원은 0.2%의 농도에서 Yeast extract를 사용하였을 때 균사생장 및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무기염류 조사에서는 여러 가지 무기염류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0.1%의 농도에서 $K_2HPO_4$를 사용하였을 때 약간의 높은 균사 생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가버섯의 액체 접종원 배양환경 조사에서 균사절편 6개 절편을 접종하는 것이 삼각플라스크 배양에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사의 형태가 pellet 형태로 생장이 되었다. 배양기간에 따른 균사 생육조사에서 삼각플라스크 액체배양 시 300ml의 진탕배양용 Shake flask에 균사 절편 6개를 접종하여 22일간 배양하였을 때 높은 균체 건중량을 보였다. 현미배지를 이용한 균사체 형성에 관한 조사에서는 현미배지의 수분함량에 따른 조사를 하여 본 결과 현미 200 g와 수분을 200 ml로 하였을 때 균핵형성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4개의 수종을 이용한 균사배양 실험 결과, 참나무, 자작나무, 은사시나무, 오리나무의 4종 모두 균사 생장이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원호, 김수영, 박영진, 김태웅, 김호경, 성재모. 2004. 목질진흙버섯(Phellians lineus)의 적합한 균사생장. 한국균학회지 32(2): 95-100 https://doi.org/10.4489/KJM.2004.32.2.095
  2. 홍성준. 2002. 액체종균 자동접종시스템을 이용한 느타리.팽나무버섯의 자실체 형성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Kier, L. 1961. Triterpenes of Poria obliquus. J. Pharm. Sci. 50: 471-474 https://doi.org/10.1002/jps.2600500605
  4. Kumada, Y., Naganawa, H., Linuma, H., Matsuzaki, M., Takeuchi, T. and Umezava. H. 1976. Dehydrocaffeic acid dilactone an inhibitor of catechol-o-methyl transferase. J. Antibiot. 29: 862-889
  5. Kumada, Y., Takeuchi. T. and Umezava, H. 1977.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 dehydrocaffeic acid dilactoneforrning enzyme from a mushroom, Inonotus sp. K-1410. Agric. Biol. Chem. 41: 869-876 https://doi.org/10.1271/bbb1961.41.869
  6. Shivrina, A. N. 1967.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mpounds extracted trorn lnonotus obliquus. Chem. Abstr. 66: 17271-17279
  7. Wasser, S. P. 2002. Medicinal mushrooms as a source of antitumor and imrnunomodularing polysaccharides. Appl. Microbiol. Biotechnol, 60: 258-274 https://doi.org/10.1007/s00253-002-10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