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rganizational Justice Affecting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Trust in Supervisor

조직공정성이 사회복지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e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pontaneous extra-role behavior of social workers,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vision of qualitative service for the clients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agencies. Starting from the importance of OCB for the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antecedents such as organizational justice(procedural and distributional) and trust in supervisor on the OCB.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360 social workers and 59 their supervisors working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paired the self-reported data and the supervisor-rated data,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the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organizational justice(procedural and distributional) has no direct effect on the OCB, but indirect effect on the OCB through the mediator of trust in supervisor, and that procedural justice has more effect than distributional jus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nagement of spontaneous behavior of social workers is not a separated fragmentary phenomenon but should be understood and managed comprehensively in the continuation of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for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resulting affectivity toward their supervisor, and their behavior in the organizational life.

사회복지사의 자발적 초역할 행동인 조직시민행동(OCB)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질적 서비스와 사회복지조직성과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중요성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 상사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실효성 있는 조직관리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사(360명)의 자기보고응답자료와 상사(59명)가 측정한 조직시민행동의 paired data를 활용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므로 선행변수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직간접영향을 구조방정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절차, 분배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상사신뢰를 통해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분배공정성에 비해 절차공정성의 영향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자발적 행동에 대한 관리는 파편적 현상에 대한 개입이 아니라 조직관리에 대한 성원의 인지와 그로 인해 야기되는 태도 그리고 행동이라는 조직생활의 연속선상에서 포괄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