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n the Reemployment of the Unemployed : Centered on the Applications of Human Capital and Human Capability Perspective

실업자의 재취업에 관한 분석: 인적자본관점(Human Capital Perspective)과 인간능력관점(Human Capability Perspective)의 적용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hazard rate of reemployment by conducting the Cox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two gender groups are subjected to comparative analys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human capital and human capability perspective on reemployment. For this purpose, 1,871 cases are selected from the 5th year data from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human capital, such as education, appropriateness of skill level, and job tenure hold negative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reemployment, while factors of human capability, such as basic learning ability, health insurance, social insurance, residential area(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old positive on the probability of reemployment. It is interesting note that there are different sets of factors that affect the probability of reemployment in the two gender groups. This trend is even more apparent in the case of factors that pertain to human cap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factors of human capability, which stress the socio-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s comparab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factors that pertain to human capital when it comes to the estimation of reemployment. Also, results of this comparative study teach us that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dual labor market theory and gender-segmented labor market theory, should be factored in for reemployment discussion as well.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elivers several significant messages since it introduces the concept of human capability perspective, subjected to few empirical analyses in the past, and also heralds the way for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mpact of the factors pertaining to human capability on reemployment.

1990년대 후반 경제위기를 경험하며, 우리나라에서 실업의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더불어 실업자의 재취업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재취업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인적자본이론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해 왔는데,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Sen에 의해 제시된 인간능력관점을 기초로 하면서 이러한 요인의 실업자 재취업에의 영향력을 인적자본론 요인과 비교론적 차원에서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인간능력관점에서 논하는 사회적 능력 요인 중 핵심적 요인으로 간주되는 성별 차이라는 요인에 주목하면서 성별에 따라 인적자본요인과 인간능력요인이 재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5차년도 자료 중 연구목적에 적합한 1,871사례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재취업의 위험도를 콕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력, 기술수준 적합도, 근속기간 등의 인적자본이론 요인들은 기대와는 다르게 재취업의 가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기초교육능력, 의료보험가입과 사회보험수혜 및 수도권거주여부 등의 인간능력요인들은 기대한 바에 일치하며 재취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를 보면, 성별에 따라 각 요인들이 상이하게 재취업에 영향을 주는데 그러한 경향성이 인간능력요인에서 더욱 부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취업에 있어서 인적자본관점에서 제시되는 요인들에 대한 고려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인간능력관점에서 강조하는 사회 제도적 요인이 역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비교연구 결과는 재취업 현상에 대해서 인간능력관점과 더불어 성분절적 노동시장구조에 대한 관점과 함께 이에 대해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실증적으로는 주로 국가단위에서 분석되었던 인간능력관점을 개인단위차원에서 분석하면서 재취업에의 영향력을 다각적인 시각에서 검증하여 인간능력개발과 관련된 사회복지적 개입의 의미를 제고시킨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