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Influencing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우리나라 노인 빈곤의 원인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previous experience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previous employment type and job type are related to the economic status and poverty in the elderly in Korea. Previous studies are limited in explaining the causes of poverty by using only the proxy variables such as age, marital status, and gender to classify the poverty status of the elderly after poverty has been identified. Therefore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economic well-being after retirement is interrelated with previous job experiences in the labour marke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ast job type and type of employment a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economic status of elderly. Job type in the labour market is critical for the lifetime economic status of an individual. These findings imply that we might need to reconsider the current public pension system which directly relates the benefit level to the amount of contribution. A system introducing a basic pension or a minimum pension benefit based on the citizenship or residence might be an alternative worth to consider.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과거의 고용형태와 직종 그리고 생애근로기간 등이 노후의 빈곤여부 및 경제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후 빈곤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성별, 연령과 같이 노후 빈곤이 발현된 이후의 대리변수들에만 관심을 갖고 직접적 원인인 과거의 노동경험이 노후빈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간과하였다. 분석결과, 최종 직종과 고용형태가 노후 빈곤 및 경제적 상태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이나 결혼형태 등은 과거 노동경험의 영향을 통제할 경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과거 노동경험이 노후빈곤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현행 공적연금의 급여를 기여에 기초한 것 뿐 아니라 시민권에 기초한 급여형태로 전환하여 노후빈곤을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