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Understanding for Acceptance of Kitsch and Vernacular concepts in Product Design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의 제품디자인 수용을 위한 이해

  • 류승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
  • 문찬 (한성대학교 미디어디자인컨텐츠학부)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is study analysis if the concepts of kitsch and vernacular remains as cultural elements for product design. Because their function and aesthetic value have vivid possibilities for general product design fields. For the purpose, this study limits its range within post modernism, kitsch, and vernacular, and analyzes their relationships. Against functionalism, post modernism had cultural pluralisms to approach into popular styles, and some of them was amusing design. That post modernism designs stimulated human beings' emotion by decorations or some symbolic forms from specific objects is similar to the symbolism, regionalism, or pluralism of kitsch or vernacular. Kitsch is a free style that is not limited in any specific trends. It is a Meta culture that has influenced into various fields including design, so kitsch does not have a parallel position with a product or design. In product design, kitsch is the behavior and result of imitating existing objects' images. It could have amusement according to which objects are imitated. So if human beings feel amusement by kitsch, it could be same as the direction of post modernism. Kitsch is determined by design atmospheres. They cannot be specified abjectly, and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people. With symbolism and regionalism, kitsch and vernacular appeared according to people's needs. While kitsch is consumer's tastes-oriented, vernacular is cultural tradition-oriented. Kitsch has symbolism that specifies products' functions or design concepts, and it i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human being and products. Because vernacular is province-oriented, it has a lot of styles according to regional living environments and cultural differences. So vernacular design reflects continued traditional lifestyles. By restorative memory, regionalism, cultural pluralism, amusement, and symbolism, kitsch and vernacular could be understood the sub or parallel concepts of post modernism. They might be easily miss-understood mixed concepts that have western and national characters. But in kitsch and vernacular concept, modernizing pas by using the pluralism of post modernism should be considered positive. So, the range of the further study is also supposed to be focused on more widened fields to, to establish cultural identification in design.

본 연구는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이 앞으로의 산업사회 속에서 제품디자인을 위한 문화 요소로서 존재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왜냐하면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의 기능과 미적가치는 공예 적 성격의 제품뿐만 아니자 일반 제품디자인 분야들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모더니즘, 키치, 버내큘러를 주된 범위로 한정하고 그 상호관계를 분석한다. 기능주의에 반대하여 대중적인 취향에 접근한 포스트모더니즘은 문화적 다원주의를 표방했으며, 그 노력의 일부는 유희적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 디자인들이 장식을 배제하지 않거나 또는 특정 사물의 상징적 형태를 구현하여 인간의 감성을 자극한 것은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이 갖는 상징성과 지역성, 또는 다원화와 유사하다. 키치는 특정한 사조에 속하지 않는 자유로운 양식으로서, 디자인 및 기타의 장르들에 영향을 끼쳐 온 메타문화이므로 키치는 제품이나 디자인과 동등한 위치를 갖지 않는다. 제품디자인에서의 키치는 기존 사물의 이미지를 모방하는 행위로서, 모방한 결과와 그에 따른 분위기에 따라 디자인의 유희성이 나타날 수 있다. 비록 모방의 결과가 저급한 것이 되더라도 키치를 통해 인간이 즐거움을 느낀다면 그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방향과 공통되는 것이다 제품의 키치 적으로 느껴질지의 여부는 디자인의 분위기에 의해 좌우되는데, 그 것은 객관적으로 정량화 할 수 없으며 사람에 따라 다르게 느껴진다. 상징성과 지역성을 갖는 키치라 버내큘러는 일반의 필요에 의해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된 것으로서 키치가 소비자 취향 중심이라면 버내큘러는 문화적 전통 중심이다. 키치는 제품의 기능이나 디자인 컨셉을 구체화차는 상징성을 갖는데 이것은 인간과 제품 사이의 의사소통 도구이다. 버내큘러는 향토적인 성격을 가지며, 지리적 생활환경과 문화적 차이에 따라 여러가지의 양식을 갖는다. 따라서 버내큘러 적 디자인은 계승된 전통적 생활양식들을 반영한다. 복고적 향수, 지역성, 문화적 다원주의, 유희성, 상징성에 의해 이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하기 또는 병렬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은 서구 디자인에 민족적 성격을 가미한 것으로 오해되기 쉽지만, 포스트모던디자인의 다원주의를 차용하여 키치와 버내큘러 개념 속에서 과거를 현대화하려는 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제품디자인 뿐만이 아닌 다른 다양한 분야들에게로 그 범위가 확대되어 디자인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