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Quality of Impact Design of Ads Expression in Newspaper - On The Possibility To Form A Inter-subjectivity of Ads Creation Through The Lifestyle of Ads Creator -

광고표현의 '임팩트 성' -광고크리에이터의 라이프스타일을 통한 광고크리에이션의 공주체성에 관하여-

  • 전기순 (국립삼척대학교 시각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 ;
  • 박인기 (국립삼척대학교 시각멀티미디어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5.11.30

Abstract

Advertisement is a creation. However, it is not a sort of self-sufficient creation as can be found in the fine arts that start from and end with an artist's personal sense but an inter-subjective creation formed from the dos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senses of other persons as social factor and the meanings of symbols. In this respect, how to systematically express the cultural aspects seen from the convergence of 'words' and ‘images' that are coexisting within the ads expression depends on the inter-subjective mutual sensitivity between ads creator and consumer.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quality of impact the ads expression has is not a personal sense of ads creator based on a consumer survey but an intuitive judgement made by both of them who share their lifestyles. In conclusion, the finding of the quality of impact of ads expression through the lifestyle of ads creator is to make sure that, by directly applying the lifestyle exposed from within the prerequisites of customer to that of ads creator, the inter-subjective ads creation needs to be formulated.

광고는 크리에이션이다. 그러나 순수미술과 같이 작가 개인의 의미 작용 속에서 출발하여 끝을 맺는 종류의 크리에이션이 아니라 사회적 인자로서 타인 및 상징적 기호들의 의미와의 친밀도 속에서 서로 구성하는 공주체(inter-subjective)적 크리에이션이다. 광고 표현에 있는 '말'과 '그림'이 융합하여 나타나는 문화적인 범주를 어떻게 과학적으로 표출할 것인가는 광고크리에이터와 소비자와의 공주체적 상호감수성(Mutual Sensitivity)에 달려 있다. 따라서 소비자와 광고 크리에이터가 공유하는 지평은 욕구, 개성, 경험과 같은 개인적 차원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니라 양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문화적 차원임을 가정한다 문화는 산발적이지 않고 체계적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이를 '문화적 체계'라고 이해한다. 결론적으로 매체 융합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오늘날 소비자의 머리와 가슴으로부터 얻어오는 창작의 지평이 곧 광고크리에이터의 라이프스타일과 점점 동일해 진다는 사실을 주장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