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essment of the Health Promotion Education Effectiveness through K-WIFY Model

건강증진교육을 위한 K-WIFY 모형의 적용

  • Nam, Eun-Woo (Department of Health Administration, College of Health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Jo, Eun-Joo (Department of Health Sciences,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
  • Park, Jae-Sung (Department of Health Sciences, Graduate School of Kosin University) ;
  • Moriyama, Masaki (Department of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al Sciences, Fukuoka University)
  • 남은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
  • 조은주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 박재성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 Published : 2005.06.30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K-WIFY model that was a participatory heal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WIFY, this study developed K-WIFY that was only focused on health related issues rather than all broad ranges of life issues. This study evaluated changes in health related recognition, self-efficacy, self-esteem, social support,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barriers, and situational barriers of the subjects after participating the program. Methods: During from March 16 to April 1, 2004, 216 study subject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ubjected to a quantitative survey and 187 subjects of the total subjects were exposed to qualitative survey.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ealth related perception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after taking participatory a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K-WIFY. The amount of improvement was 6.36. 2. After participatory health promotion education using K-WIFY, self-efficacy(p=.029), self-esteem(p=.019) and perceived benefits(p=.031)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before.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health education promotion using K-WIFY. We recommend K-WIFY to national and regional health promotion plans and health promotion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양희. 청소년 건강증진 인터넷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박사학위논문]. 부산: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3.
  2. 계수연, 문인옥. 성교육 실시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변화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99;16(2):137-155
  3. 김보경, 정문숙, 한창현.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와 관련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2;19(1):59-85
  4. 남은우, 조은주, 남정자, Toshihiko Hasegawa. 한국과 일본의 건강증진 정책 비교.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4;21(3):20-21
  5. 류은정, 권영미, 이건세.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건강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1; 18(1):49-60
  6. 무토 타카시, 후쿠와다리 야스사. 보건교육 및 건강 증진의 평가 방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8
  7. 박정숙, 박청자, 권영숙. 건강교육이 대학생의 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1999;26(2):359-371
  8. 백경신, 최연희. 여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2):127-147
  9. 서인선, 안옥희. 보건교육을 통한 일부 여성의 AIDS에 대한 지식 및 태도의 변화.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8;15(2):95-104
  10. 오혜경. 한국 여대생의 성인식에 대한 문화기술지[박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1. 윤은자.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이행. 성인간호학회지 1997:9(2):262-271
  12. 이미라, 소희영. 건강교육 교과목 학습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997;9(1):70-85
  13. 이병국. 시뮬레이션 학생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PBL)방법의 적용. 평생교육학연구 2001;7(1): 89-114
  14. 이원재, 반덕진. 일부대학생들의 건강관련 행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99 ;16(2):157-17 1
  15. 임미영. 한국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예측 모형 구축[박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7.
  16. 조은주. K-WIFY 모델을 이용한 대학생의 참여적 건강증진교육 효과 분석[박사학위논문]. 부산: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4.
  17. 전미영, 김명희, 조정민.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된 요인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2;19(2):1-13
  18. 최은진, 박천만.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에 대한 구성 주의 방법의 적용. 한국보건교육학회지 1998; 15(2): 43-53
  19. 허인자, 김대환. 대학생들의 아침식사 습관과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99 ;16(2):121-135
  20. 허혜경, 김기연, 박소미, 신윤희. 건강증진 교육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성, 음주, 홉연에 대한 지식, 태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3:20(2):19-33
  21. Green LW et al. Health Education Planning: A Diagnostic Approach. Mayfield Publishing Co. Palo Alto. 1980:7-9
  22. IUHPE,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역. 건강증진효과의 Evidence. 계축문화사, 서울: 2003
  23. Moriyama Masaki. Participatory Learning and Assessment of Subject's Environmentrelated concern by the use of visual Format(version 1.1). 1996. Japan
  24. Moriyama Masaki. Workbook for Holistically Thinking by WIFY. 2001. Japan
  25. Moriyama Masaki , Tetsuo Suwa, Michinori Kabuto, Tetsuhito Fukushima. Participatory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 from Children's Viewpoints, Tohoku J. Exp Med., 2001:193(2):141-151
  26. 守山正樹(모리야마 마사끼). 参加と働きかけ, 21世紀における國民健康づくり運動(健康日本21)について,總論/参考資料/参考2,Webベーヅ, wify 2000a:7
  27. 守山正樹(모리야마 마사끼).住民参加と地方自治体 の役割('健康日本21'と自治体3). 公衆衛生 2000b:64(6):427-434
  28. 守山正樹(모리야마 마사끼). 子どもの健康づくりと健康日本21(新しい時代の小児保健活動). 小児科臨床. 增刊号. 2000c: 53: 1053-1058
  29. 守山正樹(모리야마 마사끼). 住民の立場から作り上げる目標値どは?月刊 保健衛生ニ ユース 2000d:1083:10-14
  30. 守山正樹(모리야마 마사끼). wify によってわっかたこと:T縣,市町村保健婦夏季研修會にて. web ページ,2000e:wify:3-2
  31. 守山正樹(모리야마 마사끼). '参加'を重視した子どもの健康づくリとは?ニつの21(健康日本21&健やか親子21).から考えゐ.月刊 生活敎育. 2001:45(3):42-44
  32. 石井敏弘(이시히 토시히로). 地方分權時代の健康政策實踐書(守山正樹,'bottom-up 型の方法論). Life Science Center. 2001: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