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 Analysis of Rambling Impediment of New Graduates and Entrants Between Occupations and Educations in Korea IT Labor Market -A central focus on recent unemployment of one factor findings in korea IT labor market

한국의 IT분야 신규 전문인력의 노동이동 저해 분석 - IT 신규 졸업자의 실업원인 규명을 위하여 -

  • Published : 2005.12.25

Abstract

The central focus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explore the recent structural core empirical unemployment reason of IT new professional manpower who graduated in higher education level in Korea. The final goal of this issue is to estimate and analyze rambling impediment in IT manpower labor market between 26 detail occupations and between detail occupations and 3 educational levels of new graduates and entrants who entered in IT 6 occupational groups composing 26 particular occupations. This study uses the 2004 dat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ICT and relies upon bot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wo-way analysis variance to tackle the issue. According to the ANOVA results, 2 main points were delineated In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ethod. the total sum of squares (SST) is decomposed into two major components: within sum of squares (SSW) (6 detail occupations, 85%) and between sum of squares (SSG) (26 detail occupation, 15%) The other major finding is that total sum of squares (SST) is decomposed into three major components: between detail occupations (SSG) (19.3%), between educations (SSB) and errors (SSE) (56%) in IT SIW development design group.

현재 노동시장 고용과제 중 큰 과제는 경기침체 등으로 비롯되는 청년실업의 문제다. 본 연구는 특히 지식 정보화시대에 IT 부문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고 대학을 졸업하는 신규 전문인력의 취업률이 타 부문에 비해서 높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취업률이 비교적 저조하게 나타나는 경기 외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IT 인력은 전체적으로 양적으로는 초과공급이지만 질적으로는 초과수요를 보이고 있는 점을 분석하였고 동일한 직업 내에도 학력별로 초과수요와 초과공급이 존재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취업의 구조적 원인을 세부직업 부문별로 학력별로 인력이동의 저해가 발생하는 가를 실증적으로 추정 분석하였다. 그 결과 IT 노동시장의 26개 세부직업 부문 중 부문 간 저해는 15%, 부문 내 저해요인은 85%로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IT 노동시장의 직업군별로 세부직업별/학력별 인력이동 저해요인을 분석하였다. 추정결과 이동 저해를 저해하는 학력별 요인이 세부직업별 요인보다 1.3배에서 11배 이상 인력이동을 더 제한하고 있었다. 학력별 요인이 큰 것은 직업 내 학력별로 IT 전문직업 능력의 차이 즉 기술 불일치를 반영하고 있었다. 오차의 크기도 직업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IT 직업별 노동시장마다 다른 제도적 요인과 시장적 요인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정책제언은 신규 인력이 꼭 필요한 IT 전문직업 능력의 제고와 철저한 노동시장 수요를 기초로 초과공급으로 평가받은 IT 학과는 공급이 부족한 IT 학과로 전환시키거나 정원을 축소 조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원 장진규(1995). 과학기술인력 장기수급 전망 및 대응방안. 과학기술정 책관리연구소
  2. 고상원 김태기(1999). 구조조정기의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및 대응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 고상원(2000). 연구개발인력의 중장기(2000-2010) 수급예측. 한국과학재단
  4. 고상원 . 이경남(2003.10). IT 인력의 취업률, 전공종사율, 임금수준분석. 'KISDI 이슈리포트 03-17'. 정보통신정책연구원
  5. 고상원 외(2004). IT 전문인력 수급전망 방법론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부
  6.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통계연보. 각년도
  7. 김승택 외(2000). 산업기술인력수급 실태분석 및 전망과 효율화 방안. 산업연구원
  8. 김해동 외(2004). IT 전문인력 공급 실태조사. 정보통신부
  9. 박재민 외(2002). 고급과학기술인력의 중장기(2001-2010) 수급전망 분석. 한국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 사단법인 디지털밸리(2002), IT 전문인력 활용실태조사
  11. 안주엽(2002).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02-2010. 한국노동연구원
  12. 유경준 편저(2000). '고용창출에 관한 연구' .비봉출판사
  13. 이상돈 장창원 최영섭(2002). 지식기반제조업 분야의 인력수요전망 및 양성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4. 이상돈 윤여인 이진면(2003). 국가인력수습 전망과 정책과제( Ill).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15. 이상일(2002). 인력예측모형의 국제비교. 한국노동연구원
  16. 창원 외(2003). IT 전문인력 수급차 분석 및 전망 연구. 정보통신부
  17. 최강식(1997). 기술진보와 노동시장의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18. 최강식(1999). 중장기 인력수급전망-(2000~2005). 명지대학교
  19. 한국교육개발원(2003). 2003학과{전공)분류자료집
  20. 한국노동연구원(1999). 정보통신분야의 직업분류에 관한 연구
  21. 한국노동연구원(2003). IT 전문인력 공급실태조사
  22. 한국은행(2003), 2000년 사업연관표
  23.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2004). IT 인력통계 구축 및 통합에 관한 연구
  24. Cohen, S.I.(1998). 'Manpower Planning Models with Labor Market Adjustments: Applications to Columbia, Republic of Korea and Pakistan'. Economic Modelling, Vol. 5, 19-31 https://doi.org/10.1016/S0264-9993(98)90004-9
  25. Denison, E. F.(1985). Trends on American Economic Growth, 1929-1969.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26. Gordon, D.F.(1974). 'A Neoclassical Theory of Keynesian Unemployment'. Economic Inquiry, 12, pp 431-459 https://doi.org/10.1111/j.1465-7295.1974.tb00415.x
  27. Hall, R.E.(1975). 'The Rigidity of Wages and the Persistence of Unemployment'.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301-35
  28. Mincer, J.(1974). Schooling, Experience, and Earnings. New York: NBER
  29. Newbold, Paul(1987). Statistics for business and economics. New Jersey: Prentice Hall
  30. Psacharopoulos, G.(1987). 'The Manpower Requirements Approach', in Economics of Education: Research and Studies. Oxford: Pargamon Press
  31. ROA(1999). Annual Report 1998. Maastricht: ROA
  32. Schmidt, Susanne L., Schsmann, Klaus & Tessaring, Manfred(2003). Early indentification of skill needs in Europe. CEDEFOP
  33. Van der Velden, R.K.W. and L. Borghans(1993). Competition on the Labour Market: An Analysis of the Position of Types of Training. Maastricht: ROA
  34. Yellen, lL.(1984). 'Efficiency wage models of unemployment'. American Economic Review(Papers and Proceedings), 74, pp 20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