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준설점토지역에서 적용되는 지하수위는 설계 기준에 따라 현장의 계측치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진행되었으나 실제로 잔류수위의 차이가 계측을 통하여 확인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광양항의 컨테이너부두 및 배후부지에 대한 지반개량공사의 계측관리중 지하수위에 관한 측정 사례를 살펴보고, 항만공사의 지반개량 설계 및 공사시 적용되는 지하수위 및 개량 후, 시공후 9년이 지난 시설물 사용 과정에서 측정된 잔류수위를 중심으로 컨테이너부두 및 부지 개발의 설계 및 시공, 사용시의 적용할 수 있는 지반개량지역의 잔류 지하수위(R.GWL) 적용의 합리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Grounwater level applied on dredged and reclaimed clay layer was assumed to be the same value under design criterion as field test one, but actually differences are found through the monitoring test. In this study, a case study of measuring residual groundwater level is performed in ground improvement construction of Gwangyang container terminal and hinterland. With priority given to residual groundwater level measured dur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eriod of 9 years, it is investigated that residual groundwater level (R. GWL) could be applied reasonably to the design, construction, and use stages of the container harbor and lan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