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샘추위의 발생 분포와 변화 경향

Distribution and Changing Trend on the Occurrence of Spring Colds

  • Kwon Young-Ah (Department of Geography, Konkuk University) ;
  • Kim Jiyoun (Department of Geography, Konkuk University) ;
  • Lee Seungho (Department of Geography, Konkuk University)
  • 발행 : 2005.06.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9개 지점의 일평균기온을 분석하여 꽃샘추위 발생 일수의 분포와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꽃샘추위 발생일은 일평균기온과 일평균기온 평년값(1971-2000)의 편차를 계산하여 일평균기온이 평년값보다 낮은 상위 $10\%$에 해당하거나 당일과 2일전과의 평균기온 차에서 당일의 평균기온이 낮은 상위 $10\%$에 해당하는 날로 정의하였다. 꽃샘추위 발생일은 서해안이 동해안보다 많고, 위도가 높아질수록 많다. 꽃샘추위 발생일의 순별 분포 유형은 기압계 및 지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동해안과 서해안 지역, 도서 지역으로 구별된다. 꽃샘추위의 발생 일수는 한반도가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는 빈도 및 강도와 관련이 있으며 최근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이다. 그러나 울릉도와 동해안 지역에서는 꽃샘추위 발생 일수 변화가 거의 없어 꽃샘추위 발생 원인이 다르다.

This paper was examined distribution and changing trends on occurrence days of Spring Cold(cold surge in the flowering season) from the end of February to early in April during 1973-2004. We defined an occurrence day of Spring Colds as above $10\%$ of the anomalies of mean daily temperature or above $10\%$ of the difference of the daily mean temperature between the day before two days. In the west coastal region, the occurrence days of Spring Colds is higher in the end of February and less frequent in the early in April. In the east coastal region, the occurrence days of Spring Colds is higher in the early in April. Spring Colds is closely related with frequencies and a intensities of Siberian High. The occurrence days of Spring Colds has decreased in the most area except Ulleung island and the east coastal reg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기상연구소, 2002, '기후변화 협약대응 지역기후 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I),' 383-399
  2. 김정렬, 1987, 꽃샘추위의 기후학적 특성, 경북대학교 석사 학위청구논문, 87pp
  3. 류상범, 2003, '우리나라 겨울철 한파 내습 과정에 관하여,' 대기(한국기상학회보), 13(1), 310-313
  4. 류상범, 권원태, 2002, '남한의 한랭 겨울과 혹한일의 기후학적 특성,' 대기(한국기상학회보), 12(1), 288-291
  5. 류상범, 문승의. 조병길, 1993, '남한의 도시화에 따른 기온변동,' 한국기상학회지, 29(2), 99-116
  6. 문승의, 1977, '남한의 최근 30년간의 이상기상의 특성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13(1), 51-57
  7. 이병설, 1985, '삼한사온과 기온특이일,' 한국기상학회지, 21(1), 1034-1045
  8. 이승호, 1995, '한반도 주변의 기압배치형에 의한 한국의 자연계절 구분,' 지리학연구, 26, 65-78
  9. 이승호, 2003, '우리나라 동.서 해안의 기온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9(1), 43-57
  10. 임병환.변희룡.서동일, 2000, '시베리아 고기압의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 봄 초청강연 및 학술발표회, 195-197
  11. 정영근, 1983, '겨울철 남한에서의 이상고온과 이상저온의 출현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19(2), 2078-2087
  12. 정창희, 1975, '한파 내습에 따른 우리나라 일기변화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11(1), 1-10
  13. Bonsal, B. R., Zhang X., Vincent L. A. and Hogg W. D., 2001, Characteristics of daily and extrem temperatures over Canada, J. of Climate, 14, 1959-1976 https://doi.org/10.1175/1520-0442(2001)014<1959:CODAET>2.0.CO;2
  14. Degaetano A. T., and Allen R. J., 2002a, Trends in Twentieth-century temperature extremes cross the United states, J. of Climate, 15, 3188-3205 https://doi.org/10.1175/1520-0442(2002)015<3188:TITCTE>2.0.CO;2
  15. Degaetano A. T., and Allen R. J., 2002b, A homogenized historical temperature extreme dataset for the United states, J. Atmos. Oceanic Technol., 19, 1267-1284 https://doi.org/10.1175/1520-0426(2002)019<1267:AHHTED>2.0.CO;2
  16. Houghton, J. T., Ding Y., Griggs D. J., Noguer M., van der Linden P. J., Dai X., Maskell K. and Johnson C. A., 2001, Climate Change: The Scientific Basis,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87-185
  17. Joung, C. H. and Hitchman M. H., 1982, On the role of successive downstream development in East Asian polar air outbreaks, Mon. Wea. Rev., 110, 1224-1237 https://doi.org/10.1175/1520-0493(1982)110<1224:OTROSD>2.0.CO;2
  18. Maejima, I., 1967, Natural Seasons and Weather Singularities in Japan, Geogr.Rep. 2, 77-103
  19. Suzuki, H., 1976, Weather Singularities according to Solar and Lunar Calendars Known in Japan, Bull. of Dep. of Geogr., 8, 25-40
  20. Yoshino, M. and Yamakawa S., 1985, Pressure Pattern Calendar of East Asia, 1971-1980, Institute of Geoscience University of Tsukuba, 1-38